Culture & History Traveling

중앙박물관

[중앙박물관 부여/삼한실] 삼한의 무기와 도구, 철기문화의 발전

younghwan 2011. 4. 9. 21:10
반응형


 한반도 남쪽 지역에 존재했던 삼한은 중국, 일본과 주요 해상교통로에 있었으며, 고조선 멸망 이후 남하한 세력들의 우수한 기술과 지식 등으로 인해서 상당한 문화 수준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고조선의 철기문화가 도입된 삼한은 향상된 생산력으로 사회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고대국가로 발전하기 전단계에 이르런 것으로 보인다.

 삼한의 철기는 초기에는 주조로 만든 호미, 괭이 등 농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점차 철기제작 기술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무기를 제작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삼한에서는 아주 발달된 한국형 동검이 출토되기는 하지만, 청동검은 지배계층의 권위를 나타내는 의기로서 역할을 했을 뿐인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철제무기가 발전하면서 무기로서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어 사회 갈들을 해결하는 무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던 것으로 보인다. 삼한의 철제무기는 다양한 지역에서 출토되는 것으로 보이며, 후에 가야로 발전하는 변한에서는 철을 낙랑과 왜에 수출하면서 경제력을 축적했던 것으로 보인다.

철기문화의 발전
우리나라에 철기가 처음 들어온 것은 기원전 4세기 무렵이지만 전국적으로 철기가 제작.사용된 것은 기원전 1세기 무렵이다. 철기 사용으로 향상된 생산력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 왔으며, 고대 국가가 발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초기의 철기는 주조로 만든 호미와 괭이, 낫, 반달칼 등의 농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점차 중국 한의 철기 제작 기술이 보급되어 칼, 투겁창, 꺾창 등의 무기가 다양하게 제작되고, 말갖춤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의 철기는 종류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 시기의 철기는 종류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변한은 철을 낙랑과 왜 등 주변 지역에 수출하였다.

삼한의 무기
삼한에서는 철기가 널리 사용되면서 무기를 만드는 재료가 청동에서 철로 바뀐다. 이 시기의 무기는 예리한 날과 살상력이 높은 꺾창, 투겁창, 화살촉, 칼 등이 있었다. 이러한 철제 무기는 전투에서 강력한 효과를 낼 수 있어 삼한의 소국이 통합하여 국가체제를 강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포항 옥성리, 김해 양동리 등의 덧널무덤에서는 화살촉, 투겁창 등 철제 무기가 대량으로 출토되었다.


우리역사에서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로 박물관 입구에 전시되어 있는 기원전 1세기경에 만들어진 창원 다호리 무덤에서 출토된 한국형 동검이다.


칼.칼집, 기원전 1세기, 창원 다호리무덤. 옻칠된 칼집 속에 한국식 동검이 들어 있는 것으로, 청동기와 삼한 문화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1호 무덤 통나무 널 아래의 대바구니에서 출토되었다. 창원 다호리는 가야 이전 삼한시대에 지역 유력자의 무덤으로 상당히 발전된 문화수준을 보여주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된 곳이다.


1~2세기경 진한지역인 경주 사라리 무덤에서 출토된 청동검으로 한국형 동검의 모양을 하고 있다.


삼한시대의 무기인 철제 칼과 청동으로 만든 투겁창이다. 삼한의 무기는 점차 청동제에서 철제로 변화한다. 청동 무기는 재료를 구하기 어렵고, 재질이 약하여 특수한 계층의 신분을 과시하는 의기적인 성격이 강했다. 이와는 달리 실제 전투에서 강력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철제 무기는 갈등을 해결하고 사회를 통합시키는 도구가 되었다.


철로 만든 투겁창과 꺽창.


철로 만든 화살촉


환도대도라고도 불리는 고리자루칼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칼의 형태로 이른 시기부터 출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삼한의 농기구
삼한에서는 철제 농기구의 제작, 보급으로 농경지가 확대되고 본격적인 수리 시설이 만들어지는 등 농업 생산 기술이 향상되었다. 따비와 삽, 쇠스랑, 괭이, 낫 등의 철제 농기구는 경지를 가는 작업에서 곡물 수확에 이르는 모든 농사 과정에 폭넓게 사용되었다. 철제 농기구를 통한 경지의 확장과 생산력 증대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권력의 집중화를 가져와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철로 만든 도끼


가래, 따비, 쇠스랑


낫, 따비


복원한 삼한시대의 농기구

삼한의 말갖춤
말갖춤은 말을 부리기 위한 도구로, 우리나라에서는 고조선 말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말갖춤은 수레 부속구와 함께 출토되어 주로 말이 수레를 끄는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반도 남부 지역의 말갖춤 역시 수레 부속구와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있어 같은 구실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부 지역에서 출토되는 말갖춤은 말의 입에 물리는 재갈이 대표적이다. 모두 재갈멈추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초기의 것은 단순한 프로펠러 모양이지만, 후기가 되면 S자 모양으로 변하고 고사리무늬 장식 등이 더해지기도 한다.


말갖춤 모양의 변천


울산 하대리 무덤(왼쪽), 경주 사라리 무덤(가운데), 경주 조양동 무덤(오른쪽)에서 출토된 말갖춤


창원 다호리 무덤에서 출토된 말갖춤

*자료참조:
1. 중앙박물관
2. 다시찾는 우리역사, 한영우, 경세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