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지역박물관

[경기도박물관] 조선시대 개인의 기록들, 한글 문서

younghwan 2012. 1. 19. 00:06
반응형


 조선시대 문헌 자료 중에는 국왕의 통치행위나 공적인 영역에서 만들어진 문서가 많이 전해지고 있으며, 개인이 작성한 문집이나 편지, 문학작품 또한 많이 전해내려오고 있다. 이런 개인 문집이나 사적인 영역에서 저술한 저서들은 서원이나 문중을 중심으로 많이 보관하고 있다. 경기도 박물관에서는 이런 개인들이 문집이나 문학작품, 서신들 중 대표적인 것들을 소장.전시하고 있는데 율곡의 제자인 김장생의 문집인 사계유고, 여류문학가 허난설헌 등의 시집 등이 있다. 또한 특히한 것은 한글로 적은 분류두공부시언해를 비롯하여 한글제문, 한글편지 등이 전시되어 조선시대 사람들이 한글을 사용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문학과 예술
고대의 문학과 예술은 기억을 통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다가 한자가 들어오면서 기록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어느 때부터는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이두, 향찰, 구결 등이 만들어져 향가와 같이 이를 이용한 작품들도 나오게 된다. 하지만 기록의 방법으로 대개 한자를 사용하였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지면서 한글로 작품을 쓰기도 했고, 한문으로 된 책을 한글로 풀이하는 작업도 활발하게 진행하였다. 즉 조선후기까지 한자, 이두, 한글 등을 계층에 따라 섞어 쓰고 있었다. 문집은 한 사람이 쓴 거의 모든 작품을 모아 놓은 책이다. 주제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하고 비교적 자유롭게 쓴 글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성격이 두드러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이야기에는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역사, 철학, 민속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자료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조선후기부터는 문집의 간행이 보다 자유롭고 활발해져 많은 자료가 전하고 있다. 개인의 감상을 적은 시, 소설, 수필, 일기 등은 오늘날과 다를 것 없는 사람 사이의 정을 전한다. <출처:경기도박물관>


분류두공부시언해, 조선 성종.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었던 두보의 시를 한글로 번역하여 만든 책이다. 왕의 명을 받아 번역하여 1481년 12월 완성하였다고 한다. 책의 본문은 한문으로 된 원문과 한글 해석으로 하여 15세기 한글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출처:경기도박물관>


상설고문진보대전 4~6, 15세기, 전국시대부터 중국 송나라 말기까지의 시와 문장을 실을 책이다. 조선시대에는 '학문에 들어서는 문'이라 일컬어지며 서당에서 교과서로 많이 이용한 책이다. <출처:경기도박물관>


사계유고, 1687년, 김장생. 조선중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김장생(1548~1631)의 문집. 김장생의 본관은 광산, 호는 사계이다. 율곡 이이와 구봉 송익필의 제자이며 예학에 특히 능하였다. 이 책은 그가 죽은 후 만들어진 것이다. <출처:경기도박물관>


사계유고 본문


허난설헌 시집, 1608, 허난설헌.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여류 문인으로 뽑히는 허난설헌(1563~1589)의 시집이다. 본명은 초희, 호는 난설헌. 어려서부터 시에 뛰어났고 재주가 많아 신동으로 불렸으나 27세의 젋은 나이에 세상을 마쳤다. 작품의 일부가 중국, 일본에 소개되어 칭송 받았다. <출처:경기도박물관>

개인의 기록들
요즘처럼 전화나 인터넷이 없던 예전에는 왕도 친척이나 신하에게 편지를 쓰는 일이 적지 않았고 선비들도 서로 자주 편지를 주고 받았다. 한글이 만들어진 후에는 여성들을 중심으로 한글 편지도 많이 오갔다. 국왕이 시집간 공주에게, 남편이 부인에게, 부모가 자녀에게, 혹은 떨어져 있는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에는 나와 상대방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것은 신분, 계층의 차이를 넘어 개인의 일상사는 물론 시대상을 전하는 자료가 된다. 개인적인 동기로 만들어졌지만 당시의 생활과 문화, 그리고 생각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출처:경기도박물관>


편지, 19세기, 어윤중. 어윤중(1848~1896)이 초서로 쓴 편지이다. 어연중은 조섬말기의 정치가이자 개화사상가이며 1894년 갑오개혁에서 재정.경제부분의 개혁을 이끌었다. <출처:경기도박물관>


차거이정익고택설,


한글제문


한글편지, 전주이씨 덕천군파 백현상공 종중 기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