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지역박물관

[육군박물관] 조선시대 기본 무기인 칼(도검), 활(각궁), 노(弩)

younghwan 2012. 3. 9. 14:45
반응형


 조선시대 개인이 휴대한 기본 무기로는 칼과 활, 창 등을 들 수 있다. 한반도는 역사 이래로 북방유목민들이 침입에 대처해야 했기때문에 들판에서 싸움을 벌이기보다는 산성에서 적을 방어하는 입장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들판에서의 싸움도 대체로 세계적으로도 용맹스러웠던 몽골, 여진족을 상대해야 했기때문에 일반적인 개인무기인 칼이나 창보다는 먼거리에서 적을 제압할 수 있는 활을 주로 사용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전통은 조선시대까지 내려와 유학을 공부하던 유생들까지도 평상시 활을 쏘면서 정신수양을 했다고 한다. 이런 까닭은 조선시대에 사용했던 복합활인 각궁은 세계적으로도 사거리나 명중율 측면에서 우수했으며, 유라시아 초원 유목민들이 사용했던 복합활의 전통을 잘 계승한 무기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병사들이 필수 휴대무기인 칼은 실전에서 개인을 보호하는 필수 무기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그 제조술이 발전하지 못하고 사용법 또한 뛰어났다고 할 수 없다. 고구려를 비롯하여 삼국시대에는 환두대도라고 불리는 칼자루에 고리가 달린 우리나라 특유의 칼이 있었으나 북방의 기마병들을 상대하는데 효율적인 활과 고려말부터 적극적으로 사용된 화포를 비롯한 화약무기를 보조하는 의미의 방어용 무기로서의 역할에 머물렀다. 조선후기 들어서 임진왜란 때 왜군의 검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다양한 형태의 검이 만들어졌지만 기본적으로 방어용 무기로서의 역할에서는 벗어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 도검의 역사
조선시대의 도검은 병사들의 필수적인 휴대무기였음에도 불구하고 화약무기와 장병기인 활에 비하여 실전무기로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취급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이러한 경향은 다소 바뀌었으나 조선시대 전체를 두고 볼 때 활과 화약무기의 보조 병기로서의 위치는 근본적으로 달라지지 않았다. 그 결과 도검의 제조술과 발전도 저조하게 되었고 이러한 상황은 삼국시대에 크게 꽃피웠던 한국의 우수한 도검 문화가 고려 조선을 거치면서 점차 쇠퇴해 나간 주요 배경이 되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실전용 도검은 길이가 짧은 환도였다. 이러한 짧은 환도는 적의 살상을 목적으로 하는 적극적인 공격용 무기라기 보다는 최후의 신변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방어용 무기로서의 기능이 강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명군과 왜군이 사용하던 도검의 영향을 받아 종류도 다양해지고 크기의 변화도 있었는데, 특히 환도의 길이가 긴 왜검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거의 두배나 길어지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도검은 용도에 따라 주술용, 의장용, 실전용 및 호신용 도검 등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다시 크기에 따라 장검(장도, 대도), 단검(단도) 등으로 나누어 진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도검류는 형태가 다양해 지는데, 연장도난 죽장도 같은 호신용 도검도 이 시기에 많이 등장한다. <출처:육군박물관>



삼인검(三寅劍),  조선, 철.금 상감장식. 인월.인일.인시에 만든 벽사용.의식용 도검이다.


사인검(四寅劍), 조선, 철.금 상감 장식. 인년.인월.인일.인시에 만든 벽사용.의식용 도금이다.


운검(雲劍), 17세기, 철, 상어가죽, 붉은 술 장식. 조선시대 무관의 관직명에서 유래되었으며 왕을 경호하는 운검(2품 무관)이 사용하던 검이다.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 등장하는 호위무사 무휼이 사용하던 검이라고 할 수 있다.


호신도(護身都, 18세기, 철.대나무), 단장검(조선시대), 어피장도(18세기, 상아.상어가죽.백동 장식). 호신도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휴대하는 짧은 칼이다. 단장검은 짧은 지팡이 모양의 검으로 지휘관들이 지휘도로 사용되는 검으로 좌장검이라고도 한다. 어피장도는 젓가락이 달린 휴대용 칼로 상어가죽으로 장식을 하고 있다.


충무공장검(보물 326호, 복제품). 이 칼은 이순신 장군이 삼도수군 통제사로 한산도 수군 통제사로 재직하고 있을 때 두명의 도검 장인을 시켜 만든 장검이다.


육방곤(六方棍), 조선후기 18~19세기, 박달나무. 포졸이나 순라꾼이 치안용구로 사용한 육각형 모양의 육모방망이.


차복(車輻), 조선후기, 황동.철. 곤봉의 일종으로 육모방망이가 병사용이라면 차복은 지휘관이 사용했던 방망이로 일종의 지휘봉이라 할 수 있다.


철질려(鐵蒺藜), 조선후기 18세기, 철. 네가닥의 뾰족한 가지가 있는 마름쇠. 적의 접근로 위에 뿌려 놓아 인마의 접근을 방해하는데 사용한다.


각궁(角弓, Horn Bow), 조선후기 18세기. 물소뿔로 만든 활 각궁. 각궁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활 중에서 가장 뛰어난 활로 주로 지휘관인 무관들이 사용한 활이다. 여러 재료(물소뿔, 소심줄, 뽕나무, 민어부레풀, 명주실, 칠 등)를 합성하여 탄력을 높힌 복합활로 그 크기는 작은 편이며, 유라시아 초원을 휩쓸었던 몽골, 터키, 만주족 등의 기마병들은 대체로 이 활을 사용했다. 각궁이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는 문헌상 남아 있지 않지만 고구려벽화에 등장하는 고구려 무사의 활도 복합궁과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으며, 고려말에 사용한 태조 이성계의 각궁이 함흥의 선원전에 보관되어 있던 것으로 볼 때 그 이전에 정형화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아있는 각궁은 대부분 활터에서 쏘는 연습용 활이며, 실전에 사용했던 각궁은 현재 남아 있지 않고 그 제조기술도 잊혀졌다고 한다.


고종의 활과 화살통, 대한제국 고종황제가 사용하던 활과 화사롱으로 궁장 장기홍이 제작함. 활에 '호미 虎尾'와 '주연 珠淵'이 움각되어 있다.

조선시대 고종(재위 1863∼1907)이 사용하던 활이라고 전하며, 당시의 활 만드는 장인 장문환이 제작하였다고 한다. 활의 전체길이는 124㎝이고, 오금너비는 3㎝이다. 한국의 전통적인 각궁은 명성이 높고 독특한 자료로 만들었다. 글자 그대로 쇠뿔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한국의 대나무, 물소뿔, 쇠심, 구지뽕나무, 참나무, 화피의 6가지 재료로 구성된다. 이 각궁은 벚나무 껍질로 만든 화피 위에 채색을 하였으며, 시위고리를 거는 새코머리는 가죽으로 감싸서 3가지 색의 천으로 발랐고 그 밑에는 아(亞)자 무늬를 새긴 검정색 종이로 감쌌다. 특히 이 활의 검은색 양 단에 각각 ‘호미(虎尾)’ 및 ‘주연(珠淵)’이라 작은 글씨가 새겨져 있어 특색을 이루고 있는데, ‘주연’이 고종황제의 호이므로 고종의 활이라는 내력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 나라는 활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각궁이 언제부터 널리 보급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함흥 선원전에 태조 이성계의 유물로서 이 각궁이 보관되어 있었고, 또 경국대전에 각궁에 관한 내용이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이미 각궁의 꾸밈새가 정형화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출처:문화재청>


죽궁(竹弓, Bamboo Bow, 복원품)과 목궁(木弓, Wooden Bow). 죽궁은 대나무로 만든 활 죽궁, 활이 클수수록 탄력이 커져 사거리가 길어짐. 단일궁이자 직궁이다. 목궁은 나무로 만든 활 목궁, 둥근 나무에 자주색 가죽을 입힌 곧은 활로 단일궁이자 직궁임. 일명 '환목직궁'이라고도 한다.


유철궁(鍮鐵弓, Brass Bow, 복원품). 놋쇠로 만든 활 철궁. 놋세로 제작한 단일 만곡궁


편전(아기살)과 통아(덧살), 조선시대. 편전(片箭)은 통속에 넣어 쏘는 작은 화살이며 통아(筒兒)는 편전을 발사하기 위한 보조기구이다. 조선을 대표하는 무기로 손꼽는 편전은 통아라고 부르는 대나무관 위에 화살을 쏘는 무기로 화살이 짧아서 상대방이 눈으로 인식하기가 어렵고, 그 사거리가 상당히 길며, 명중률 또한 높았다고 한다.


예궁(禮弓, Ceromonial Bow), 18세기, 물소뿔. 각종 의식에 쓰인 활로 길이 147cm로 현존하는 가장 큰 활임. 각궁과 같은 모양임.


화살을 딱는 수건과 관련도구와 활 쏠 때 소맷자락을 묶어주느 습(拾)과 완대(脘帶) 등. 조선후기 18~19세기. 살수건, 노루발(화살뽑기), 촉돌이(화살촉다듬기), 조승(관련 도구를 묶어 허리에 차는 고리) 등이 있다.


편전을 쏠 때 통아를 받치는 활장갑(弓手甲), 조선후기. 통아를 받치는 장갑, 면 누빔, 깍지골무:녹피


화차(火車, Fire launching Vehicle,복원품). 화차는 조선 전기 문종 1년(1451)때 독창적인 방식으로 제작된 일종의 차륜 이동식 로켓발사대이다. 조선은 화차를 이용한 월등한 화력으로 여진족 정벌전과 행주산성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다. 이 화차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로켓형 화살인 신기전을 발수 할 수 있는 총통을 탑재하도록 설계되었다.


수노(手弩, hand crossbow, 복제품), 17세기,


앉아서 발로 버티며 시위를 거는 궐장노(crossbow, 복원품) 外, 조선후기. 궐장노는 발로 노궁을 깔고 손으로 시윗줄을 당겨 노기에 걸어서 발사한다.

노(弩), 쇠뇌라고 불리는 노는 중세 유럽에서 많이 사용했던 석궁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활이다. 중국 전국시대에 처음 나타나 한나라때 맹위를 떨쳤던 무기이다. 한나라때에 강력한 기마민족인 흉노의 기마병을 제압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초기철기시대인 삼한시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여 삼국시대때 많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화살을 장착하기가 어려워 발사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지만, 사거리가 길고 명중률이 높아 대규모로 공격해오는 기마병을 방어하는데 효율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화약무기의 일종으로 오늘날 다련장로켓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신기전 화차는 이 노(弩)가 극단적으로 발전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쇠뇌의 발사장치 노기(弩機, crossbow trigger assembly), 초기철기시대 1세기, 청동



각종 쇠뇌의 제작과 사용에 관한 책 노해(弩解), 조선후기 1729년(영조5), 목판본 1권 1책. 영조때 변진영이 녹노, 연노 등 각종 쇠뇌의 제작법과 전술적 사용법을 도해한 책


고풍(古風), 1792년(정조 16), 종이에 먹글씨. 정조의 활 쏜 기록을 담은 고풍. 1792년 이해우가 정조의 활 쏜 내용을 기록한 고풍첩이다.


조선시대 국가적으로 중요한 행사 중 하나였던 활을 쏘는 경연대회인 대사례 장면을 그린 그림. 국왕이 주최한 대사례는 공식적인 기록인 의궤나 개인이 소장한 그림을 통해서 많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