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성곽(산성_읍성)

청주 상당산성, 서문(미호문)에서 동암문까지

younghwan 2012. 12. 27. 23:43
반응형


 상당산성은 삼국시대 백제가 이곳에 토성을 쌓았을 것으로 짐작되며, 조선시대까지도 산성이 이곳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당산성은 서쪽의 청주도심과 북쪽의 청원, 증평지역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지형적 특징으로 볼 때 청주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것임을 알 수 있다. 현재의 산성은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거친 후 내류지역 주요 거점에 대한 방어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충청병영을 청주로 옮기면서 크게 증축한 것이다.

 산성에서 청주도심이 내려다 보이기 시작하는 남암문을 지나서 서문인 미호문까지는 상당산성을 둘러싸고 있는 봉우리 정상부 능선을 따라서 성벽을 쌓고 있으며, 청주도심과 연결되는 지역이라 성벽을 상당히 높고 견고하게 쌓고 있다. 반면에 서문에서 산성 동북쪽 출입문인 동암문까지는 대체로 크고 작은 산봉우리가 연결되어 있고, 성벽 바깥 언덕의 경사가 급한편이라 성벽을 낮게 쌓아 놓고 있다. 서문은 청주시 북쪽 청원군 내수읍 지역과 연결되는 출입문으로 청주에서 진천, 용인, 광주 등을 거쳐 서울로 연결되는 교통로와 연결되는 성문이라 할 수 있다. 서문에서 동암문까지의 성벽에서 마을까지는 상당히 떨어져 있고, 산성과 연결되는 산길도 그리 많지 않아서 그런지 암문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대체로 낮게 석축을 쌓고 있기는 하지만, 자연지세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 부분이 많은 지역이다.



청주 상당산성 서문인 미호문. 홍예식 성문을 하고 있는 공남문과는 달리 평거식 성문을 하고 있다. 청주병영이 있던 청주 구도심과 가장 가깝게 연결되는 성문이지마, 경사가 급해서 그런지 지금도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 성문이다. 비상시에만 사용하기 위한 성문으로 여겨진다. 남한산성의 서문이 비슷한 지형에 위치하고 있다. 성문에 별도의 옹성이나 치성을 쌓지 않고, 성문 양쪽 성벽을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옹성과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성문 왼쪽편에는 성벽의 방향을 직각으로 바꾸면서 치성과 비슷한 구조를 만들고 있다.


성문 안쪽에서 보면, 바깥쪽 성벽이 옹성처럼 성문 주위를 엄호하고 있다.


서문으로 올라오는 산길. 다른 길에 비해서 그리 편리해 보이지 않으며, 지금도 등산객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성 내부에서 본 미호문.


미호문에서 산성내 마을로 들어가는길. 성문 바깥쪽길과는 달리 산성내로 들어가는 길은 평이한 편이다.


미호문에서 동쪽으로 연결되는 성벽. 청주도심과 연결되는 서쪽편에 비해서 성벽이 낮은 편이다.


성벽에서 내려다 보이는 상당산성 북쪽편 청원군 내수읍 주변 지역


산성북쪽편은 성벽바깥쪽이 경사가 매우 심한편이라, 성벽의 높이가 낮다. 성벽을 쌓을 때 곡선형태로 쌓아서 치성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당산산 북쪽편 성벽


성벽은 곡선을 활용하여 치성처럼 꾸며놓은 곳이 많다.


상당산성 북쪽편 봉우리.


동쪽으로 이어지는 성벽길


상당산성 북쪽 봉우리 부근에는 예전에 장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곳을 볼 수 있다.


상당산성에서 제일 높은 봉우리 부근의 성벽이다. 가파르게 경사진 지형에 형식적으로 성벽을 쌓아 놓고 있다.


정상부 서쪽편 성벽


정상부 동쪽편으로 이어지는 성벽


상당산성 북쪽편은 대체로 높은 봉우리들로 이루어져서 그런지 능선을 따라 쌓은 성벽이 그리 높지 않은 편이며, 성벽 바깥쪽으로는 경사가 꽤 급한 편이다.


동암문이 있는 산성 동북쪽 모퉁이로 이어지는 성벽길


산성 동북쪽 모통이 정상부


동북쪽 모퉁이에서 본 상당산성 북쪽편 성벽. 큰 봉우리들이 이어져 있다.


이곳에서 성벽은 남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북쪽편 성벽은 산봉우리와 비슷한 높이에 성벽길의 경사가 심하지 않았으나, 이곳에서부터 남쪽으로는 경사가 심한편이다.


상당산성 동북쪽 모퉁이에서 조금 내려오면 작은 암문이 설치되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