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조시대는 여러국가들이 흥망을 거듭하면서 물가가 급등하고 경제는 혼란스러웠으며 다양한 화폐가 발행되기는 했지만, 한무제때 발행하기 시작한 오수전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혼란기를 통일한 수나라와 이를 계승한 당나라는 옛화폐를 폐지하고 통일된 새로운 화폐를 발행한다. 당고조는 당나라 개국을 의미하는 개원통보를 발행했는데 반량전, 오수전과 함께 중국 화폐 중 가장 잘 알려진 화폐이다. 송나라때에는 연호가 새겨진 화폐가 지속적으로 발행되었는데 발행된 화폐의 종류가 가장 많은 것이 특징이다. 당.송대에서 화폐는 왕조의 권위를 보여주는 의미가 강했는데 왕조를 상징하는 예서체와 전서체로 쓴 글씨가 새겨졌으며 송나라 휘종의 경우 직접쓴 글씨를 새긴 '숭녕통보'를 발행하였다.
또한 송대에 중앙으로 진출한 이민족 왕조인 요, 금, 서하, 원은 중국의 전통적인 동전형태인 원형에 사각형 구멍이 뚫린 형태를 유지하면서 한자와 함께 이민족 고유의 문자인 거란문자, 서하문자, 티벳문자가 적힌 동전을 발행하기도 하였다. 왕조의 권위와 기축통화로서의 의미를 갖던 동전은 송대와 원대에 지폐가 발행되고 유통되면서 기축통화로서의 의미가 줄어들면서 그 발행양 또한 줄어들었다. 다른 통화수단과 같이 유통되면서 계속 발행되던 중국의 동전은 19세기말 광서제때 서양의 동전제조 기계를 도입하면서 전통적인 동전형태는 역사에서 사라지고 세계통화체제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당.송대(618~1279), 우아한 서예와 동전 (Coins with Elegant Calligraphy)
당나라 무덕4년(AD621년), "개원통보(开元通宝)" 동전이 주조된 이래 "보문제(宝文制)" 구조의 동전은 1300년동안 계속 사용되었다. 통치자와 관련된 명칭이 북조와 남조의 송나라에서 사용되었다. 글자는 도장 글씨 형태로 새겨졌다. 예서와 전서로 쓴 필기체 글씨가 동전에 새겨졌다. 대부분의 글들은 주인에 의해 쓰여졌다. "순화원보"는 송왕조 태종이 전서체로 선글씨이며, 왕이 직접 글씨를 쓴 "어서전(御书钱)"의 시초돤 '숭녕통보'는 송왕조 휘종이 쓴 글씨이다. 게다가 북송대 발행된 "교자(交子)"는 세계 최초의 지폐이다.
The fourth year of Wude in Tang Dynasty(AD 621), "Kai Yuan Tong Bao" coin was cast which started structure of "Bao Wen" and was used for the following 1300 years. Reign Title Coin was popular in North and South Song Dynasties. Words were carved in seal character. Li script, zhen script running hand and cursive hand of the coin. Most of the words were written by masters. "Chun Hua Yuan Bao" written by Emperor Tai Zong in Song Dynasty in zhen script, running hand and cursive hand started "Yu Shu" coin: Emperor Hui Zong in Song Dynasty cast "Chong Ning Tong Bao' and wrote coin words in regular script. Besides, 'Jiao Zi" issued in North Song Dynasty was the earliest paper money in the world. <출처:칭다오시박물관>
당나라 화폐(618~907). 당나라 고조때 당나라 개국을 기념하는 의미로 개원통보가 발행된 이래로 위폐를 방지하기 위해 건원중보, 대력원보 등 개량된 화폐를 지속적을 발행하였다. 그중 개원통보와 건원중보가 잘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고려 목종대에 개원통보가 발행되었다고 한다.
1. 개원통보(开元通宝), 2. 건봉천보(乾封泉宝), 3. 건원중보(乾元重宝)
당나라 화폐(618~907), 1. 득이원보(得壹元宝), 2. 순천원보(顺天元宝), 3. 회창개원(会昌开元)
북송(태조, 태종, 진종, 960~1127). 송나라대에는 당나라 화폐제도를 본떠서 시행되었으며, 당나라와는 달리 연호를 적는 것이 관례가 되어 다양한 종류의 동전이 발행되었다.
1. 송원통보(宋元通宝), 2. 태평통보(太平通宝), 3, 순화원보(淳化元宝), 4.지도원보(至道元宝), 5. 함평원보(咸平元宝), 6. 경덕원보(景德元宝), 7. 상부원보(祥符元宝), 8. 천희통보(天禧通宝)
북송(인종, 960~1127)
1. 천성원보(天圣元宝), 2. 명도원보(明道元宝), 3. 경우원보(景祐元宝), 4. 황송통보(皇宋通宝), 5. 경력중보(庆历重宝), 6. 지화원보(至和元宝), 지화통보(至和通宝), 7. 가우원보(嘉祐元宝), 가우통보(嘉祐通宝)
북송(영종, 신종, 철종, 960~1127)
1. 치평원보(治平元宝), 치평통보(治平通宝), 2. 희녕원보(熙宁元宝), 희녕통보(熙宁通宝), 희녕중보(熙宁重宝), 3. 원풍통보(元丰通宝), 4. 원우통보(元祐通宝), 5. 소성원보(绍圣元宝), 6. 원부(元符通宝),
북송(휘종, 흠종, 960~1127)
1. 성송원보(圣宋元宝), 2. 숭녕통보(崇宁通宝), 숭녕중보(崇宁重宝), 3. 대관통보(大观通宝), 4. 정화통보(政和通宝), 5. 선화통보(宣和通宝), 6, 정강원부(靖康元宝)
남송(고종, 효종, 1127~1279)
1. 건념통보(建炎通宝), 건념원보(建炎元宝), 건념중보(建炎重宝), 2. 소흥원보(绍兴元宝), 3. 융흥원보(隆兴元宝), 4.건도원보(乾道元宝), 5. 순희원보(淳熙元宝), 순희통보(淳熙通宝)
남송(광종, 영종, 1127~1279)
1. 소희원보(绍熙元宝), 2. 경원원보(庆元元宝), 경원통보(庆元通宝), 3. 가태원보(嘉泰元宝), 가태통보(嘉泰通宝), 4. 개희원보(开禧元宝), 개희통보(开禧通宝), 5. 가정원보(嘉定元宝), 가정통보(嘉定通宝)
남송(현종, 도종, 1127~1279)
1. 대송원보(大宋元宝), 대송통보(大宋通宝), 2. 소정통보(绍定通宝), 3. 단평원보(端平元宝), 단평통보(端平通宝), 4. 가희통보(嘉熙通宝), 가희중보(嘉熙重宝), 5. 순우원보(淳祐元宝), 순우통보(淳祐通宝), 6. 황송원보(皇宋元宝), 7. 개경통보(开庆通宝), 8. 경정원보(景定元宝), 9. 함순원보(咸淳元宝)
통합된 화폐(Unified Coin), 이민족 왕조(요, 금, 서하, 원)
북쪽지방의 요, 금, 서하, 원같은 이민족 왕조들도 그들이 중국 중심부를 점령했을때 한나라 문화의 영향을 받은 고유의 동전을 발행했다. 그들은 중국동전과 마찬가지라 원형에 사각형 구멍이 뚫린 형태를 하고 있으며 중국 한자를 비롯하여 그들 고유의 문자인 거란어, 서하어, 티베트 문자인 팔사파문자를 적었다. 북방 이민족에 발행한 동전에서 당시 국가적인 융합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Minority powers in north such as Liao, Jin, Western Xia and Yuan started to cast their own coins influenced by han culture when they invaded central China. They used the structure of round coin with square hole, and carved words in China character as well as words of Qidan, Western Xia and Ba Siba. Coins cast by minority powers proved national fusion. <출처:칭다오시박물관>
요(916~1125). 요나라는 광업,염업 등이 발달하여 화폐제도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자리잡았다고 한다.
1. 통화원보(统和元宝), 2. 청녕통보(清宁通宝), 3. 함옹통보(咸雍通宝), 4. 대강원보(大康元宝), 대강통보(大康通宝), 5. 수창원보(寿昌元宝), 6. 건통원보(乾统元宝), 7. 천경원보(天庆元宝)
금(1115~1234). 1. 정륭원보(正隆元宝), 2. 대정통보(大定通宝), 3. 태화통보(泰和通宝), 태화중보(泰和重宝)
서하(1032~1227)
1. 대하보전(大安宝钱, 서하문자), 2. 천성원보(天盛元宝), 3. 황건원보(皇建元宝), 4. 광정원보(光定元宝)
원(1271~1368). 원나라는 금나라의 화폐제도를 받아들여 송과 바찬가지로 연호가 적힌 동전을 발행하기는 했으나 세계적인 제국을 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국가가 보증하는 지폐를 발행하여 국가의 통화수단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지폐는 고려를 비롯하여 주변국가에서 영향을 미쳐 고려에서도 결제수단으로 보초가 유입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1. 중통원보(中统元宝), 2. 지원통보(至元通宝), 3. 대덕통보(大德通宝), 4. 지대통보(至大通宝), 5. 대원통보(大元通宝, 八思巴文), 6. 지치통보(至治通宝), 7. 지순통보(至顺通宝), 8.지정통보(至正通宝), 9. 지정지보(至正之宝)
명.청대 (1368~1911), 보조화폐로서 동전(Quanhuo Conins)
원나라에서 지폐가 폭넓게 사용됨에 따라, 명왕조에서는 지폐와 동전이 같이 사용되었으며, 동전은 발행이 줄어들었고, 송.당대처럼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청왕조에서는 복잡한 형태와 다양한 재질의 동전을 발행하기 위한 정부기구를 설립하였다. 서양으로 은화와 동전을 주조하기 기계가 19세기말 광서제때 도입되었다. 그때부터 동전제조에 기계가 이용되었으며, 2000년간 계속 사용되어 오던 원형에 사각형 구명이 뚫린 중국의 동전은 역사에서 사라졌다.
As the wide use of paper money in Yuan Dynasty, both paper money and coin were used in Ming Dynasty, but fewer coins were cast and the words on coins were not so elegant as those in Tang and Soing Dynasty. In Qing Dynasty, government founded Monetary Bureau to cast coins with complex format and various copper. Machines were introduced from west to cast silver coin and copper coin in Guag Xu Period. From then on, it changed from manual coin casting to machine money manufacture, and Round Coin with square hole, existing more than 2000 years with feudal dynasties, withdrew from the historical stage. <출처:칭다오시박물관>
남명(1644~1662) 시대 동전
1. 대명통보(大明通宝), 2. 홍광통보(弘光通宝), 3. 융무통보(隆武通宝), 4. 영력통보(永历通宝), 5. 영력통보(永历通宝, 郑成功铸)
명(1368~1644)
1. 융력통보(隆历通宝), 2. 만력통보(万历通宝), 3. 태창통보(泰昌通宝), 4. 천계통보(天启通宝), 5. 숭정통보(崇祯通宝)
1. 대중통보(大中通宝), 2. 홍무통보(洪武通宝), 3. 영동통보(永东通宝), 4. 선덕통보(宣德通宝), 5, 홍치통보(弘治通宝), 6. 가정통보(嘉靖通宝)
청(1644~1911)
1. 천명한전(天命汗钱), 2. 천총한전(天聪汗钱), 3. 순치통보(顺治通宝), 4. 강희통보(康熙通宝), 5. 옹정통보(雍正通宝), 6. 건륭통보(乾隆通宝)
청(1644~1911)
1. 가경통보(嘉庆通宝), 2. 도광통보(道光通宝), 3. 함풍통보(咸丰通宝), 함풍중보(咸丰重宝), 함풍원보(咸丰元宝), 4. 함풍통보(咸丰通宝), 5. _상통보(_祥通宝), _상중보(_祥重宝), 6. 동치통보(同绐通宝), 동치중보(同绐重宝), 7. 광서통보(光绪通宝), 광서중보(光绪重宝), 9. 선통통보(宣统通宝)
기계로 만든 화폐(机制货币, Machine-made Coin, 청, 1644~1911)
1. 광서통보(光绪通宝), 2. 대청동폐(大清铜币), 3. 광서원보(光绪元宝), 4. 선통원보(宣统元宝), 5. 대청은폐(大清银币)
기념품 동전(Gift Money)
화전(花钱), 또는 압생전(压胜钱)으로 불린 이 동전은 고대 중국의 화폐시스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화전(花钱)은 동전처럼 생겼지만 실제로 화폐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 동전은 금융시스템에서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전통민속에 의미가 있는 것들이다. 이런 동전들은 주로 장난감이나 장식, 선물 용도로 사용되었다. 한왕조 이래로 화전(花钱)은 점점 더 유행했다. 행운의 문구나 그림이 새겨진 화전(花钱)에는 민속예술, 종교문화와 사회관습에 관한 내용들이 주로 새겨졌다.
"Hua Qian" also called "Yasheng Qian" or "Yansheng Qian", was part of the ancient monetary system in China. "Hua Qian" couldn't be used as money although it shaped as coin. It was not used for circulation, but to carry traditional folklore. It was mainly used as gifts, playthings and decoration, etc. From Han Dynasty, "Hua Qian' became more than more popular. Luckily words as well as lucky pictures were carved which mainly come from folk art, religious culture and social customs, etc. <출처:칭다오시박물관>
길어전(吉语钱, Coin-shaped Charm), 동전모양의 기념품, 복을 바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생소전(生肖钱, Coin-shaped Charm), 복을 바라는 다양한 문양들이 새겨져 있다.
정용품압승전(正用品压胜钱, Coin-shaped Charm)
1. 대관통보화전(大观通宝花钱), 2. 주원통보화전(周元通宝花钱), 3. 함풍통보화전(咸丰通宝花钱), 4. 홍무통보화전(洪武通宝花钱), 5. 도광통보화전(道光通宝花钱)
루공압생전(镂空压胜钱, Coin-shaped Charm)
'해외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칭다오박물관] 명.청대 다양한 유약을 바른 도자기 (Glazed porcelain, 清纯隽永色粙瓷) (0) | 2014.01.26 |
---|---|
[중국 칭다오박물관] 명.청시대 도자기, 청화자기(青花, Blue and White Porcelain)와 채색 자기(Colored porcelain) (0) | 2014.01.23 |
[중국 칭다오박물관] 중국 화폐 이야기 (선사시대~남.북조시대) (0) | 2014.01.20 |
[중국 칭다오박물관] 1921년 중국공산당 성립 이후 칭다오 (0) | 2014.01.17 |
[중국 칭다오박물관] 5.4혁명 이후 근대산업도시로의 발전 (0) | 201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