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직단은 종묘와 더불어 조선의 정신세계를 아우러는 중대한 두개 축 중에 하나이다.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아주 중요한 유적지이지만 종묘와는 달리 이해 당사자가 존재하지 않은 관계로 일제에 의해서 공원으로 격하된 장소이다. 사직단 정문은 규모의 크기나 형태의 화려함이 없어서 소흘히 지나치기 쉽지만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로 유교의 격식에 맞게 단정하고 소박한 느낌을 주게 만든 정문이다.
사직단이란 나라와 국민 생활의 편안을 빌고 풍년을 기원하며 제사 지내는 곳으로 사(社)는 땅의 신을, 직(稷)은 곡식의 신을 말한다. 또한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나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든 때에 의식을 행하기도 하였다. 이 문은 사직단의 정문으로 태조 3년(1394) 사직단을 지을 때 함께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버렸다. 그 뒤 숙종 46년(1720) 큰 바람에 기운 것을 다시 세웠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으로 미루어 임진왜란 후에 새로 지은 것으로 짐작한다. 지금 있는 자리는 1962년 서울시 도시 계획에 따라 14m 뒤쪽으로 옮긴 것이다. 건물의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는 장식구조는 새부리 모양의 부재를 이용해 기둥 위에서 보를 받치고 있다. 전체적으로 소박한 기법과 튼튼한 짜임새를 갖추고 있어, 사직단 정문의 법식과 넉넉한 느낌을 주는 건축 문화재이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
'궁궐_종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사직단(社稷壇)]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 제를 올리는 제단 (0) | 2010.09.03 |
---|---|
[서울 사직단 (社稷壇)] 사직단 출입문과 담장 (0) | 2010.09.03 |
[서울 종묘(宗廟)] 정전(正殿), 역대 국왕의 신주를 모신 건물 (0) | 2010.09.03 |
[서울 종묘(宗廟)] 정전(正殿) 앞 마당(하월대), 출입문 外 (0) | 2010.09.03 |
[서울 종묘(宗廟)] 영녕전(永寧殿) (0) | 201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