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충주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륭탑 (靑龍寺普覺國師定慧圓融塔), 국보 197호

younghwan 2010. 8. 13. 20:12
반응형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사리탑중에서 국보로 지정된 많지 않은 문화재 중의 하나입니다. 조선초기에 유명한 승려인 보각국사를 기리기 위해서 태조가 직접 '정혜원륭'이라는 탑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충주 청룡사는 지금은 없어진 사찰로서 그 규모나 형태는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사리탑만 일부 남아 있습니다. 8각형의 목조건축물을 연상시키는 탑으로로 섬세한 부조상들이 새겨져 있습니다.

충주 남한강 하류쪽 북쪽편에 있는 청계산 중턱에 자리잡은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입니다. 일반인이 보기에도 탑의 조형미가 뛰어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잘 만들어진 사리탑입니다. 조선 태조가 직접 보각국사라는 시호를 내리고 '정혜원륭'이라는 탑이름을 지은 국보로 지정된 사리탑입니다.


청룡사지에 남아 있는 보각국사 정혜원융탑


보각국사정혜원륭탑의 탑신에 새겨진 조각상입니다. 몸돌에는 무기를 들고 있는 신장상을 새겨놓고 있으며 그 사이로는 승천하는 이무기를 새겨 놓았습니다.


몸도에 새겨진 부조


받침돌은 연꽃무늬를 장식해 놓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8각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가운데 돌에는 사자상과 구름에 휩싸인 용을 교대로 새겨놓고 있습니다.


사리탑의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가 높이 들려 있는데, 목조 건축물의 지붕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당시의 부도는 종모양이 주류를 이루는 이 사리탑은 8각의 평면을 이루는 특이한 양식을 하고 있습니다.


충주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륭 사리탑은 자체만으로도 예술적인 가치가 높지만, 석등,사리탑,탑비가 온전하게 일렬로 배치되어 있어 사리탑으로서의 완결성을 가지기때문에 그 가치가 더 높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청룡사지 보각국사정혜원융탑, 탑비, 석등





청계산 중턱의 청룡사에 자리한 부도로, 보각국사의 사리를 모셔놓았다. 보각국사(1320∼1392)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12세에 어머니의 권유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이후 불교의 경전을 두루 연구하여 높은 명성을 떨치었다. 특히 계율을 굳게 지키고 도를 지킴에 조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하였다. 조선 태조 원년(1392)에 73세의 나이로 목숨을 다하자, 왕은 '보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이름을 ‘정혜원륭’이라 내리어 탑을 세우도록 하였다. 탑은 전체가 8각으로 조성되었는데, 바닥돌 위에 아래·가운데·윗받침돌을 얹어 기단(基壇)을 마련하고 그 위로 탑몸돌과 지붕돌을 올려 탑신(塔身)을 완성하였다. 기단은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8각으로, 아래받침돌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윗받침돌에는 솟은 연꽃무늬를 새겼다. 가운데돌에는 사자상과 구름에 휩싸인 용의 모습을 교대로 새겼다. 탑신의 몸돌은 각 면마다 무기를 들고 서 있는 신장상(神將像)을 정교하게 새겨 놓았으며, 그 사이마다 새겨진 기둥에는 위로 날아오르는 이무기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에서 높이 들려있는데 마치 목조건축의 아름다운 지붕 곡선이 살아난 듯하다. 태조 3년(1394)에 완성을 보게 된 이 부도는 양식상 종모양이 주류를 이루던 시기에 8각의 평면을 이루는 형식으로 건립된 몇 안되는 부도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전기 조형미술의 표본이 되는 귀중한 유물이다. 또한 탑 가득히 새겨진 조각과 둥글게 부풀린 외형이 어우러져 화려함을 더해주고 있다. 탑신의 기둥과 지붕의 곡선, 그리고 지붕 귀퉁이의 용머리조각 등에서 목조건축의 양식을 엿볼 수 있어 당시의 건축과 비교하여 감상할 만하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