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건축(불전_요사)

화성 용주사, 주불전인 대웅보전

younghwan 2009. 11. 18. 18:53
반응형

 용주사 중심불전인 대웅보전은 조선후기 정조때 지은 건물로 당대의 사찰 건축 기술과 궁궐 건축 기술이 합쳐진 건물이다. 앞면 3칸의 건물로 화려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화려한 단청에 용머리를 새겨 놓고 있으며, 금빛 글씨가 빛나는 '대웅보전'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편액이 걸려 있다. 대웅전 내부에는 김홍도가 관여했다고 알려진 탱화와 닫집 등이 있다. 대웅전 하단부 초석은 일반 사찰과는 달리 자연석을 쓰지 않고, 궁궐 건물에서 사용하는 장대석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붕의 형태를 보면 궁궐 건물등에 사용하는 치미를 사용하고 있어 다른 사찰의 불전과는 많이 다른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초석으로 궁궐건축물에 사용하는 장대석을 사용하고 있으며, 건물 전체적으로 사찰건물이 아닌 궁궐 건물 양식이 적용되어 있다.

대웅전 문. 간결하면서 단정하게 장식되어 있으며, 문에 고리가 달려 있어 위로 걸 수 있게 되어 있다.

대웅전 편액

편액 좌.우의 용머리 장식.

측면에서 본 대웅전. 건물 네 귀퉁이를 기둥으로 받치고 있다.

대웅전 뒷쪽

천보루를 들어서면 보이는 대웅보전. 큰 규모의 건물임에도 크지 않게 보이면서도 웅장하게 보인다.

용주사 대웅보전 지붕. 사찰 건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치미를 사용하고 있다.

추녀끝에 매달린 작은 종

불을 밝히는 정료대



먼저 장대석을 쌓아 성역공간을 마련하고 중앙에 대우석(大隅石)을 설치한 6단의 계단을 두었고, 대우석은 보통의 경우, 사찰에서는 연꽃무늬·당초무늬 등으로 장식하는데 용주사는 이와 달리 삼태극(三太極)·비운(飛雲)·모란의 무늬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는 절과 어깨를 맞대고 있는 융릉 정자각의 대우석과 동일한 양식인데 융릉과 용주사가 불가분의 인연을 가졌던 만큼 융릉을 이전하는데 참여했던 공장(工匠)들이 절을 짓는데도 관여하였음을 보여주는 유물입니다. 대웅보전은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사원건축양식을 지닌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형식으로 공포(拱包)는 각 기둥과 평방위에 설치한 다포계(多包系)양식입니다. 처마는 2중의 겹처마로 위로 약간 치솟았으며 그 네 귀퉁이에 활주(活柱)를 세웠으며, 문은 빗꽃살무늬로 처마에 고리가 달려있어 위로 들어 걸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예는 사찰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문을 활짝 올려 제치므로서 불전내부의 성역공간과 외부의 세속공간이 차별없이 하나로 합일되는 역할을 합니다.외벽의 3면에는 석가모니의 탄생설화를 벽화로 묘사하였으며 건물의 규모는 57평으로 큰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장중한 위엄과 함께 산뜻한 조화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1993년 5월에는 모든 전각의 외부에 단청불사를 하여 가람이 마치 갓지은 건물처럼 산뜻함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출처:용주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