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강진의 다산초당은 강진만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만덕산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작은 초당이다. 지금의 건물은 50년대 다산유적보존회에서 기와집으로 복원한 것이라고 하며, 앞으로 원래의 모습인 초당으로 복원될 예정이라 한다. 이 곳 강진의 다산초당은 18년간의 유배생활 중 가장 오랜기간 동안 머물렀던 곳으로 다산의 외가에서 마련해 준 거처라 한다. 다산은 '자화상'으로 유명한 윤두서의 종가집인 녹우당이 있는 해남이 이 곳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곳에서 다산의 실학사상을 정리하고 많은 책을 집필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 곳 다산초당에서 내려다 보는 강진만으로 풍경은 아주 똑같지는 않지만, 다산 생가가 있는 양수리 부근 한강의 풍경과 조금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으며, 다산이 고향과 비슷한 곳에 터를 잡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다산 정약용 선생이 11년간 머물렀던 다산초당. 원래는 초갓집이었으나 허물어진 것을 50년대 기왓집으로 복원했다고 한다. 앞으로 초갓집으로 복원할 예정이라 한다. 초당은 다산이 제자들을 가르치고 책을 썼던 곳으로 원래는 윤단의 산정이었으나 다산의 거처로 제공했다고 한다.
다산초당 마루와 현판, 현판의 글씨는 추사 김정희 선생의 글씨를 집자해서 새겼다고 한다.
다산초당 서암. 서암은 윤종기 등 18인의 제자가 기거하던 곳으로 차와 벗하며 밤늦도록 학문을 탐구한다는 뜻으로 다성각이라고도 한다.
다산 정약용선생이 직접 글씨를 새겼다고 하는 정석.
유배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기 직전 다산이 직접 새겼다고 전해지는 정석은 다산초당의 제1경이다. 아무런 수식도 없이 자신의 성인 정자만 따서 새겨 넣은 것으로 다산의 군더더기 없는 성품을 그대로 보여준다. <출처:강진구청>
다산초당 앞 뜰에 있는 직접 차를 달였다는 '청석'
다산초당 왼쪽에 있는 자그마한 연못. 다산 선생이 직접 조성했다고 한다.
그 안쪽에 있는 '약천'이라는 약수터
귤동마을에서 다산초당으로 올라오는 숲속길. 지금은 빽뺵한 숲속길이지만 옛날 우리나라 산들의 예로 봐사는 다산이 거처했을 당시에는 나무가 많지 않았을 것 같고, 다만 오래된 고목들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몇그루의 나무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1762∼1836) 선생이 유배되어 11년간 머물면서 많은 책을 저술했던 곳이다. 정약용은 여유당(與猶堂) 등의 여러 호를 가지고 있으며, 천주교 이름으로는 요한(Johan)이라 하였다. 정조임금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으며, 유형원과 함께 수원성을 설계하고 거중기 등의 신기재를 이용하여 수원성(화성)을 쌓기도 했다. 정조가 죽자 신하들의 모함을 받아 투옥되어 유배되었고, 그 후 18년 간의 유배생활 동안 그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정약용의 사상은 한국사상의 원형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곳에서 11년 동안 머물면서 『목민심서』와 『경세유표』, 『흠흠신서』를 비롯한 500여 권에 달하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리고 이를 총정리한 『여유당전서』는 ‘철학’, ‘법제’, ‘종교’, ‘악경’, ‘의술’, ‘천문’,‘측량’, ‘건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장래에 도움이 될 학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학술적 연구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옛 초당은 무너져서 1958년 강진의 다산유적보존회가 주선하여 건물이 있던 자리에 지금의 초당을 다시 지은 것이다. 작고 소박한 남향집으로 ‘다산초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초당 뒤 언덕 암석에는 다산이 직접 깎은 ‘정석(丁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초당 왼쪽으로 자그마한 연못이 있다. 앞 뜰에는 차를 달였다는 ‘청석’이 있고, 한 켠에는 ‘약천(藥泉)’이라는 약수터가 있어, 당시 다산의 유배생활을 짐작하게 한다. <출처:문화재청>
그의 학문과정과 생애 후기는 주로 유배생활의 시기이다. 그는 출중한 학식과 재능을 바탕으로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 그러나 1800년 정조가 죽은 후 정권을 장악한 벽파는 남인계의 시파를 제거하기 위해 1801년 2월 천주교도들이 청나라 신부 주문모를 끌어들이고 역모를 꾀했다는 죄명을 내세워 신유사옥을 일으켰다. 이때 이가환·이승훈·권철신(權哲身)·최필공(崔必恭)·홍교만(洪敎萬)·홍낙민(洪樂敏), 그리고 형인 약전(若銓)·약종(若鍾) 등과 함께 체포되었으며, 2월 27일 출옥과 동시에 경상북도 포항 장기(長鬐)로 유배되었다. 그해 11월 전라남도 강진(康津)으로 이배되었는데, 그는 이곳에서의 유배기간 동안 독서와 저술에 힘을 기울여 그의 학문체계를 완성했다. 특히 1808년 봄부터 머무른 다산초당은 바로 다산학의 산실이었다. 1818년 이태순(李泰淳)의 상소로 유배에서 풀렸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와 학문을 연마했다. 61세 때에는 〈자찬묘지명 自撰墓誌銘〉을 지어 자서전적 기록으로 정리했다. 그는 유배생활에서 향촌현장의 실정과 봉건지배층의 횡포를 몸소 체험하여 사회적 모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인식을 지니게 되었다. 또한 유배의 처참한 현실 속에서 개혁의 대상인 사회와 학리(學理)를 연계하여 현실성있는 학문을 완성하고자 했다. 〈주례 周禮〉 등 '육경사서'(六經四書)에 대한 독자적인 경학체계의 확립과 '일표이서'(一表二書)를 중심으로 한 사회전반에 걸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사회개혁론이 이때 결실을 맺었다. <출처:브리태니커>
'서원_향교_사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병산서원] 출입문인 복례문과 연못인 광영지 (0) | 2010.09.19 |
---|---|
안동 의성김씨종택 (보물) 영정실, 경묘각 (0) | 2010.09.11 |
해남 고산유적지 추원당, 해남땅에 처음 터를 잡은 어초은 선생 제사를 위한 제각(재실) (0) | 2010.09.11 |
강릉 오죽헌, 문성사와 어제각 (0) | 2010.09.10 |
해남 녹우당 비자나무숲, 어초은사당, 고산 사당 (0) | 201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