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근대_현대 건축

용산신학교, 우리나라 최초의 신학교 (현 성심여고 교정)

younghwan 2010. 3. 31. 16:22
반응형

 용산신학교는 성직자 양성을 목적으로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신학교건물로 1992년에 완공된 건물이다. 조지안양식을 사용한 건물로 명동성당을 비롯하여 초기 우리나라 성당을 설계.건축한 코스트 신부가 설계했다고 알려진 건물이다. 초기 천주교인이 많이 순교한 한강변 새남터와 당고개가 가까이 보이는 곳이라 한다. 당시에 많이 유행했던 반지하에 지상2층, 또는 3층 건물로 볼 수 있는 건물로 아치형의 창호가 특징으로 당시에 지어진 다른 건물들에 비해서 창문이 큰 편이다. 부속성당인 원효로 성당과 더불어 우리나라 초기 성당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곳에 있던 신학교는 현재는 혜화동으로 이전했으며, 지금은 성심수녀회가 이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이 곳은 현재 성심수녀회에서 운영하는 성심여고 교정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건물뒷편 동산의 숲솔길을 아름답게 꾸며놓고 있다.



지상2층, 지하1층으로 지어진 용산신학교 건물. 아치형으로 만들어진 창문은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다른 건물에 비해서 크고 밝은 느낌을 주고 있다.



원효로 성당 뒷동산 아래 있는 성모마리아상.


브라질 리오의 예수상을 연상시키는 팔을 벌리고 서 있는 예수상




원효로성당 성모마리아상이 있는 뒷동산. 이 주위에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지금은 아파트나 고층건물이 시야을 가리고 있지만, 옛날에는 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경치좋은 곳이었던 것 같다.

 
용산신학교 부속 원효로 성당


성심여고 학생들이 공부하는 곳으로 생각되는 건물.


운동장에서 올려다 본 용산신학교 건물


원효로 성당과 나란히 서 있는 용산신학교. 언덕위에 건물을 배치해서 실제 건물 크기에 비해 웅장해 보인다.



용산신학교와 원효로성당은 카톨릭신학교의 전신인 예수성심신학교와 그 부속 성당으로, 프랑스외방선교회 소속 코스크 신부가 설계한 건물이다. 이 곳 일대는 원래 용산강을 굽어보던 함벽정 터로 이곳에서 성직자들이 참수된 한강가의 새남터와 많은 천주교도들이 피를 흘린 당고개가 가까이 바라보인다 하여, 고종 24년 천주교회에서 이곳을 구입하고 1892년에 용산신학교를 건립하였다.용산신학교는 조지안 양식의 벽돌을 주로 사용한 건축물인데, 둥근 아치형 창호와 더불어 간결하고 장중하게 치장된 내부구조가 특이하다. 원효로 성당은 1899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02년에 다 지어졌는데, 경사지에 지어졌기 때문에 앞에서는 일부가 3층으로, 언덕 위인 뒤에서는 1층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작은 건물이지만 당당한 외관을 보여주 있으며, 내부의 천장구성과 장식은 고딕양식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성심여고>

용산신학교와 원효로성당(龍山神學校와 元曉路聖堂)은 원래 파리외방전교회 용산신학교와 부속 성당이었다. 성직자 양성은 파리외방전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 중의 하나였다. 예수성심신학교는 1885년 현재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등평리에서 개교하였으며, 신앙의 자유가 신장되던 1887년에 현재의 위치인 용산으로 이전하였다. 이전 초기에는 한옥에서 기숙하면서 교육이 이루어졌다. 건물이 위치한 곳은 한강을 바라볼 수 있던 함벽정이 있던 곳이었다. 지척으로 병인박해 때 성직자들이 참수된 새남터와 기해박해 에 많은 천주교도들이 피를 흘린 당고개가 보이는 곳이었다. 파리외방전교회는 한불수호조약이 체결된 해인 1887년에 이곳을 매입하였다. 1891년 4월 7일 신학교 신부들과 지방 신부들의 바램에 의하여 신학교를 건축하기로 결정하였다. 1891년 5월 6일 신학교 정초식이 서울의 모든 신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으며, 1892년 6월 25일 축성식이 있었다. 이날은 신학교의 주보인 예수 성심축일이었다. 이 건물은 한국 최초의 천주교 신학교 건물이 되었다. 1928년 이 신학교가 혜화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이 건물은 성직자 휴양소로 사용되었다. 1956년 성심수녀회가 한국에 진출함에 따라 이 수녀원에 양도되었다. 신학교 건물은 프랑스 외방전교회 소속 코스트신부가 설계와 감독을 하였고, 청국인이 시공하였다. <출처:위키백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