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서원_향교_사당

포천향교, 옛 포천현 관아 공립교육기관

younghwan 2011. 4. 26. 14:29
반응형


 경기도 북부지역에 위치한 포천시는 조선시대 포천현과 영평군이 합쳐서 이루어진 지역이다. 현 포천시의 북쪽은 영평군, 남쪽은 포천현이었다고 한다. 양주와 가평 사이의 넓은 평지에 위치한 포천현은 조선시대 금강산과 관동팔경 유람을 떠나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어서 그런지 유명인사들이 많이 거주했던 것으로 보이며, 지금도 포천에는 2곳의 서원이 남아 있다.

 포천향교가 위치한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는 고구려가 쌓은 산성인 반월산성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옛 포천현 관아가 소재하고 있었던 지역이다. 포천현 관아 건물은 지금은 남아 있지 않고 포천향교만이 이 지역에 관아소재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포천향교는 고려초에 세워진 향교로 설립의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현재의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에 중건한 것이라고 한다. 앞쪽에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가 있고, 뒷편에 대성전을 배치하고 있다. 건물규모는 크지는 않지만 향교로서의 모습에 제대로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가 쌓은 반월산성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포천향교 전경.


포천향교가 위치한 군내면 구읍리는 옛 포천현 관아 소재지로 멀리 광릉수목원이 있는 지역까지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으서, 옛부터 풍요로왔던 지역으로 보인다. 뒷편의 반월산성이 있는 청성산은 높지는 않지만 벌판에 홀로 서 있는 모습을 하고 있어서, 포천지역 사방이 한눈에 들어오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향교 입구임을 알려주는 홍살문


포천향교 출입문이 외삼문. 이 향교의 외삼문은 양쪽에 문간채를 두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아마도 금강산 유람을 떠나는 선비들이 하룻밤을 묵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방을 여럿두고 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외삼문 양쪽에 작은 문간채는 손님들이 묵을 수 있었던 공간으로 원래부터 존재했던것이 오늘날까지 그 모습이 남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


향교에서 유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 앞면 4칸규모로 3칸은 대청마루이고 오른쪽 1칸은 온돌방인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주로 유림들이 회의를 하거나 제사준비를 하는 장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을 모신 사당인 대성전 외삼문


앞면 3칸규모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포천향교 대성전


대성전은 검소하고 경건한 분위기를 주고 있다.



포천향교
향교는 조선시대 국가에서 설립한 지방교육기관으로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양민 이상이면 향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시나 문장을 짓는 사장학과 유교의 경전 및 역사를 공부하는 경학이 주요 교육내용이었다. 또한 향교에서는 교육뿐만 아니라 중국과 조선의 선현에게 제사하였다. 이 향교는 고려 명종 3년(1173)에 세워졌다고 하며, 조선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소실된 것을 선조 27년에 다시 지었고 1916년에도 중수하였다. 그후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것을 이 지역 유림에서 뜻을 모아 1962년 다시 세웠고 1984년 보수하였다. 외삼문 안에 명류낭과 동.서재가 있고 내삼문 안에 대성전이 있는 전학후묘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출처:포천시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