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조선 관아

진해현 관아 및 객사유지, 창원 진동면 소재지에 남아 있는 관아 건물

younghwan 2011. 8. 19. 00:08
반응형



 진해현은 마산시 합포구 진동면.진북면.진전면 일대에 있었던 조선시대 지방 행정 단위이다. 진해라는 명칭은 지금은 대부분 해군 군항이 있는 옛 진해시로 알고 있지만 조선시대까지는 마산시 서쪽편 고성, 진주 사이에 있는 지역의 고을 이름이다. 진해현은 고려시대에 처음 현이 설치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계속 유지되어 왔다. 진해시는 옛 웅천현에 속했던 지역이다. 이 지역은 농토가 넓은 편이며, 남해안 연안 해로에서도 중요한 지역이었기때문에 고대 이래로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진해현 관아가 있던 진동면 소재지에는 청동기시대 최대의 집단 묘역인 진동리 유적이 발굴되기도 했다. 또한 진해현 관아에서 관리했던 조선시대 호적이 남아 있기도 하다.

 진해현 관아 건물은 조선 순조 32년(1832)에 세운 건물로 지금은 진동면사무소 마당에 건물들이 남아 있다. 부여의 홍산현 관아와 더불어 조선시대에 관아 건물이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동현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객사, 오른쪽에는 군령을 출납하는 사령청, 앞쪽에는 말을 사육하는 마방과 형방소 등의 부속건물들이 남아 있다고 한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관아 건물로 고을 규모에 비해 다른 지역에 비해 관아 건물이 약간 큰 편에 속한다.


진해현 관아 동헌. 앞면 7칸, 옆면 3칸의 건물로 가운데 5칸은 대청마루, 양쪽에 1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다. 동헌은 보통 대청마루 3칸에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는데 비해서 이 건물은 동헌건물로는 큰 편에 속한다.


동헌 앞 툇마루와 건물 기둥.


앞면 5칸, 옆면 2칸의 대청마루는 툇마루보다 약간 높게 만들어 놓고 있는데, 동헌 건물 중에는 대청마루가 상당히 넓은 편이다. 아마도 남해안에 있던 수군들과 회의가 많아서 넓은 대청마루가 필요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객사는 인근 삼진중학교 교정에 있는 것 같은데 앞면 11칸의 상당히 큰 규모인데 같은 용도로 객사도 크게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좌수영 객사인 여수 진남관이나 통제영 객사인 통영 세병관 또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목조건물이다.


진해현 관아 동헌과 마당


동헌 오른쪽에 있는 앞면 5칸의 건물로 군령을 출납하는 사령청 건물로 보인다.


이 건물은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는 구조이다.


사령청 건물 온돌방


동헌 맞은편에 있는 앞면 3칸의 작은 건물로 말을 사육하던 마방으로 보인다.


동헌 앞 마당


동헌 출입문인데 원래 문루가 없었는 지는 알 수 없지만 작은 규모이다.


동헌 출입문 앞에 모아 놓은 선정비로 보이는 비석들


동헌 옆에 있는 진동면 사무소


진해현 객사가 있었던 곳에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학교가 들어서 있다. 보통 초등학교가 들어서 있는데, 이 곳에는 삼진중학교가 있다. 객사는 아쉽게도 1985년에 불타버리고 그 터만 남아 있다.



진해현관아및객사유지(鎭海縣官衙및客舍遺止), 창원시 진동면 진동리 477
조선 순조 32년(1832) 진해현감 이영모가 세운 관아건물로 지방업무를 보던 곳이다. 중심건물인 동헌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조정에서 파견된 관리들의 숙소였던 객사, 오른쪽에는 군령을 출납하는 사령청, 앞쪽에는 말을 사육하는 마방과 지방의 형사를 담당하는 형방소 등의 부속건물이 같이 있다. 동헌은 앞면 7칸·옆면 3칸의 ㅡ자형 건물이며 객사는 앞면 11칸·옆면 3칸의 건물이었으나, 1985년 불이나 객사는 건물 기단만이 남아있고 동헌은 여러 차례 보수가 있었다. 다른 건물들은 현대식 건물로 변해서 제 모습을 찾아 볼 수 없으며, 세울 당시의 위치를 정확히 추측하기 어렵다. 조선 후기의 지어진 관아건축 중에서도 그 부속건물의 대부분을 갖추고 있는 드문 예로서 건물의 배치나 건물형식·기능 등은 건축사 연구자료로서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