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리선은 페니키아 이래로 지중해 해상교역에 사용된 범선으로 바람으로 움직이는 돛이 달려 있기는 하지만, 주로 사람이 노를 저어서 움직이는 범선이다. 갤리선은 선박의 측면에 노를 달아서 배를 젓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2단.3탄의 대형 선박으로 발전하였다. 이 배는 주로 타원형이며 갑판을 넓게 사용한다. 아래층에서는 노예나 전쟁포로가 노를 젓고 갑판에 병사들이 전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갤리선의 최전성기는 십자군 전쟁과 그 이후인 14세기 지중해 해상무역을 장악했던 베네치아와 제노바의 대형갤리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배는 길이가 35m가 넘고 양쪽에 각각 30개 이상의 노젓는 자리가 있었으며, 상단부에는 화포를 설치하였다. 속도가 아주 빨랐으며, 기동력도 뛰어났다고 한다. 지중해 해상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갤리선 간의 해상전투는 고대 이래로 빈번한 편이었으며, 그 중 베네치아와 투르크 함대가 격돌한 레판토 해전이 가장 유명하여, 이후에 베네치아가 지중해 해상권력을 장악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칼의 대항해시대 이후에는 원양항해에 부적합한 갤리선은 쇠퇴하고 튼 돛대에 돛을 올려 항해하는 항양선이라고 불리는 범선의 시대로 발전했다.
제노바는 이탈리아반도 동안에 위치하고 있는 이탈리아 최대의 항구도시로 중세 십자군 전쟁 이후 프랑스와 지중해 연안 국가와의 해상무역을 장악함으로 크게 번영했던 도시이다. 신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를 비롯하여 대항해시대 많은 선원들을 배출한 도시로 베네치아와 함께 근대 이전 지중해를 대표하는 항구이다.
제노바 구도심 가까이 있는 구항에 정박해 있는 제노바 전성시대를 말해주는 대형갤리선이다.
3단으로 이루어진 이 갤리선 1층에는 노를 젓는 사람들이 배치되어 있고, 2,3층에는 해상전투를 위한 함포가 설치되어 있다. 그 구조는 조선의 주력함선이 판옥선과 유사해 보인다.
이 갤리선의 옆면에는 약 12개의 노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위로 함포가 설치되어 있다. 해상전투시 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2중의 문을 달아 놓고 있으며, 선박외부는 목재를 붙여서 사용하고 있다.
갤리선 갑판에는 바람을 이용하기 위해 3개의 거대한 돛대를 달아 놓고 있다. 실제로 돛은 많이 사용하지 않았고, 주로 노를 저어서 추진력을 얻었다고 한다.
갤리선 선수의 마스터에는 바다를 상징하는 신인 포세이돈과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사이렌을 장식으로 달아 놓고 있다.
항구에 정박하가 위한 장치인 거대한 닻. 해군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갤리선 선수부분을 장식하고 있는 인어상
갤리선 옆면 1층에 노를 장착하는 구멍. 해상전투시 적의 공격으로 부터 피하기 위해 문을 달아 놓고 있다.
노를 장착하는 구멍
노를 끼울 수 있는 구조물
위층에는 해상전투를 위해 함포를 장착하고 있다. 갑판 아래쪽에는 문을 달아 놓고 있으며, 갑판에 설치된 대포에는 문이 달려 있지 않고 구멍만 있다.
갑판 측면의 대포
갤리선 선수를 장식하고 있는 포세이돈 상
포세이돈 상 아래의 뿔고동을 불고 있는 사이렌
그 아래쪽의 물고기상
인어상
제노바 갤리선 측면
갤리선은 현대이 일반적인 배와는 달이 노를 장착하는 갑판 아래쪽이 바깥쪽으로 튀어 나온 형태를 하고 있다. 각 노에는 2~3명의 선원이 노를 저었다고 하며, 이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제노바 갤리선
크게 보기
갤리또는 갈레는 지중해를 중심으로 사용된 범선의 하나이다. 고대부터 지중해에서 군함으로 쓰였는데, 범선이긴 하지만 바람보다는 노에 의해 움직였다. 노는 주로 죄수나 전쟁포로를 노예로 하여 강제로 젓도록 하는 일이 성행하였다. 갤리는 대항해시대가 되자 갈레아스, 갤리온으로 진화한다. 바람보다는 주로 인력에 의해 움직였기 때문에 원양항해에는 적합하지 않았으므로 대항해시대이후에는 차츰 쇠퇴하게 되었다.영화 벤허에서는 벤허가 노예로 끌려가 갤리선의 노를 젓는 모습이 생생하게 묘사되고 있다. <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