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리 선사유적지는 충주댐으로부터 약 3km 하류의 남한강변 충적대지에 위치한 선사시대의 대규모 마을 유적으로서 신석기.청동기시대의 문화층이 잘 보존된 곳이다. 동량면 소재지가 있는 이 곳은 역사 이래로 충주지역에서 남한강을 건너는 나루터로서 남한강 조운에서도 중요했던 지역으로 보인다. 주로 남한강 이남의 충주지역과 원주,제천지역을 연결해 주는 나루터로서 지금도 국도 19호선인 목행대교와 충북선 철도가 이 지역으로 지나가고 있다.
충주시 동량면 면사무소 앞 농경지로 지금도 이용되고 있는 조동리 선사유적지에서는 신석기시대의 문화층에서는 빗살무늬토기가 많이 출토되었으며, 청동기시대 문화층에서는 민무늬토기 외에 집터, 불땐자리, 움, 도랑 등의 다양한 생활유적이 드러나 대규모의 사람들이 큰 마을을 이루며 생활하였던 것을 알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1996년부터 3차에 걸쳐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는데 출토유물로는 각종의 토기류와 화살촉, 돌도끼, 대패날, 그물추, 가락바퀴 등의 석기류가 나왔고 쌀, 보리, 밀 등의 곡물과 복숭아 씨앗, 도토리 등이 나와 당시의 식생활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이곳은 충주지역의 신석기.청동기시대의 역사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충주 조동리유적지는 남한강이 협곡지역을 지나서 넓은 평야지대로 빠져나는 충적대지에 형성되어 있다. 남한강 강폭이 좁은 지점으로 옛부터 남한강 남북을 연결해주는 나루터가 있었던 곳이다.
조동리 선사유적지는 남한강을 따라서 쌓은 강둑 안쪽에 있는 곳으로 면소재지가 있는 마을 전체가 유적지라고 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강둑 안쪽에 농경지로 사용하던 곳에 옛 유물과 집터 등이 발굴되었다. 발굴조사가 끝난 지금은 다시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다.
조동리 유적지가 있는 조동리 마을을 지나는 도로
유적지에는 지금 출토유물 등을 전시하고 있는 박물관이 동량면사무소 옆으로 세워져 있다.
조동리선사유적지 앞을 흐르는 남한강. 충주댐이 있는 협곡지대를 빠져나와서 넓은 대지로 흘러드는 충적대지에 선사시대인들이 주거지를 형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부근에서 남한강은 강폭히 상당히 좁은 편이다.
목행대교 부근에서 본 조동리 일대. 넓은 충적평야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충주 조동리 선사유적지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니어처로 재현해 놓은 선사시대 조동리 마을 모습.
조동리 선사유적
조동리 유적은 충북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조돈마을 일대에 위치한다. 1996년 1차 조사를 실시하여 중원지역에서는드물게 신석기~청동기시대 문화층이 잘 발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1997년(2차).2000년(3차) 조사를 하였다. 3차에 걸친 조사결과 신석기층에서 불땐자리 1기와 유물 포함층이, 청동기층에서는 집터 9기.불땐자리 49기.움18기.도랑 유구 7기.둘무지 유구 1기 및 근대의 우물 1기.불땐자리 1기 등 모두 87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유구와 많은 출토유물상으로 볼 때 청동기시대에 이 곳에 대규모 취락을 형성하고 활발한 생산경제활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신석기층의 불때자리가 6,200b로, 청동기층의 집터가 2,715bp.불땐자리가 2,995bp로 측정되어, 약 7천년 전 처음 신석기인이 조동리에 와서 살았고, 약간의 공백 상태로 있다가 약 3천년 전쯤부터 다시 청동기인이 와서 농경생활을 하며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출처:조동리 선사유적박물관>
조동리 출투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 조동리유적박물관
굽잔토기, 청동기시대 (복제품)
굽잔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의 긴 네모꼴 집터에서 출토되며, 주로 경기도.강원도.충청도 등 중부지방에서 발견되고 있다. 바탕흙이 곱고 겉면에 산화철을 바르고 간 뒤 소성하여 제작하였다. 길고 가는 굽다리의 내부에 원통형 구멍이 깊숙히 뚫려 있으며, 배가 부른 몸통을 지닌 모습으로 주로 한강유역에서 출토되고 있어 강한 지역성을 띠고 있다. 이 토기는 청동기시대 토기 중 특징적인 것으로 집안에 둔 신성한 토기로서 제사와 같은 특수 목적용으로 사용되었다고 여겨진다. <출처:조동리선사유적박물관>
조동리 선사유적 발굴조사 결과 발견된 집터 현황. 유적지에는 신석기와 청동기의 2개 문화층이 존재하며, 집터.불땐자리.움.돌무지.도랑유구 등 87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유적의 지층
지층은 유적의 형성과정과 당시의 환경, 지층 형성에 영향을 미친 자연현상 및 인간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유적의 지층에는 인간 활동의 증거라 할 수 있는 유구나 유물을 포함하고 있어 당시의 생활문화상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 자료를 제공하여 준다. 조동리유적은 남한강변의 충적대지상에 위치하고 있어 전형적인 하천기원 퇴적층의 특징을 보이며, 남한강의 주기적인 홍수범람으로 인한 지층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지층의 두께는 약 6~7m이고 13~17층으로 구분되는데, 여기에 크게 신석기와 청동기의 2개 문화층이 존재한다. 이들 문화층은 안정된 퇴적환경에서 형성된 지층의 상부쪽에 발달되어 있으며, 집터.불땐자리.움.돌무지.도랑유구 등 87기의 유구가 조사되어 조동리 유적의 문화성격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출처: 조동리 선사유적박물관>
박굴관에 복원해 놓은 집터.
집터 불땐 자리. 길죽한 강자갈돌로 만들어 놓고 있다.
조동리의 집터
집터는 청동기층에서 네모꼴 집터 7기.둥근꼴 집터 2기등 모두 9기가 조사되었는데, 유적의 중앙부에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독립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내부 시설물로는 기둥구멍과 불땐자리가 있으며 출입시설은 확인되지 않았다. 불땐자리는 길죽한 강자갈돌로 만든 돌돌림 형태로 1개 또는 2개를 설치하였다. 집터의 긴 길이방향은 대체로 남한강 흐름방향과 일치한다. 특히 7호 집터는 움 벽면에 상수리나무를 가공한 판자를 대어 벽체를 형성하였음이 확인되어 주목된다. 유물은 토기.석기.뼈연모.치레거리.곡물낟알.열매씨앗 등 많은 양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연대 측정결과 2,700bp로 밝혀져 중원지역의 청동기시대 생활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다. <출처:조동리 선사유적박물관>
청동기시대 유물인 민무늬토기.
청동기시대 유물인 숫돌, 갈판, 발화석, 간돌칼, 화살촉, 대패날
'선사 유적_고인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 다율리고인돌, 안산 선부동고인돌 (0) | 2012.01.03 |
---|---|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 고려산 중턱에 분포하고 있는 지석묘 (0) | 2011.11.26 |
고성 상족암과 제전마을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0) | 2011.08.27 |
창원 진동리 선사유적지(사적 472호), 국내 최대 청동기시대 집단 묘역 (2) | 2011.08.25 |
속초 조양동 선사유적(사적 376호), 청초호가 내려다 보이는 선사시대 주거 유적 (2) | 201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