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근대_현대 건축

진해우체국(사적291호), 일제강점기 초기에 세워진 러시아풍 근대 관공서 건축물

younghwan 2012. 4. 13. 21:25
반응형


 군항 도시 진해의 중심부인 8거리로 이루어진 중원로터리에서 모여 있는 공공기관 중 하나인 진해우체국이다. 사적 291호로 지정된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가 시작되기 시작한 1912년에 세워진 러시아풍의 건축물이다. 이 건물은 원래부터 우편과 통신업무를 담당하던 우체국건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최근까지도 우체국으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이 건물은 단층건물로 136.7평 규모로 지어진 목조건물이다. 건물입구에는 강한 배흘림의 둥근 기둥이 세워졌고, 내부에 카운터가 만들어진 일제강점기에 근대화된 도심풍경을 연상시키는 건물이다. 지붕은 원래 동판으로 덮었던 것을 2차대전 당시 포탄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징발되었던 것을 1984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지어진 일제강점기 건축물 중에서는 그 연대가 상당히 오래된 편으로 러시아의 영향을 받은 일본의 초기 서양식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건물이라고 한다.

 해군부대가 주둔하는 진해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건설한 대표적인 계획도시로 비교적 이른시기부터 일본이 동아시아 패권을 장악할 목적으로 건설안 군항이었다. 우리나라 도시에서는 보기드물게 도로와 주택이 깨끗하게 정비되어 있으며, 도로폭이나 연결된 도로의 규모가 상당히 큰 편으로 21세기가 지난 지금까지도 도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잘 발달되어 있는 편이다. 진해우체국은 군항도시 진해를 건설하면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건축된 건축물로 당시 이곳에 있던 러시아영사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방도시의 관공서 건물임에도 당시 서울에 세워졌던 많은 근대식 관공서 건물에 비해서 그 규모가 작지 않은 편이다.



사적 291호로 지정된 진해 우체국 전경. 중앙과 양족에 돌출된 형태로 현관과 창문을 두어 장식성을 강조하고 있다.


중앙현관에는 강한 배흘림 기둥을 세우고 현관 위쪽에는 곡선형의 처마모양을 만들고 있어며, 전체적으로 장식성을 강조하고 있는 19세기 서양 건축물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현관은 지상보다 약간 높게 세워졌으며, 가공한 화강석으로 계단을 만들어 놓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근대식 건축물에 비해서 비용이 많이 들어간 건물로 보인다.


지붕은 동판을 사용하여 마감한 상당히 고급스러운 건물로 채광을 위해 반원형의 창이 지붕에 올려져 있다. 지붕의 동판은 2차대전때 뜯어졌던 것을 1984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 초에 지어진 건물이지만 오랫동안 공공기관 건물로 사용되면서 관리가 잘 되었고, 처음 지을때부터 고급자재를 사용해서 그런지 100년이 지난 건물이지만 최근에 지은 건물처럼 원형이 외관에서는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편이다.


우체국 마당이 있는 뒷편에서 본 건물. 장식성이 강한 앞면에 비해서 단조롭게 지었다.


우체국 뒷쪽 출입문


뒷편 진해탑에서 내려다본 진해 중원로터리. 로터리를 형성하고 있는 관공서 등이 들어서 있는 8개의 영역중 한 곳을 우체국이 차지하고 있다.


진해우체국에서 진해탑으로 올라가는 길.



진해우체국, 창원시 진해구 통신동, 사적 291호
1912년 10월 25일에 세워진 러시아 풍의 근대건축물로, 같은해 11월부터 진해우체국의 청사로 사용되어오고 있다. 세 갈래의 교차로에 위치한 631평의 삼각형 대지에, 136.7평의 규모로 지어진 단층 목조건물이다. 동판으로 덮은 지붕에는 반원형의 채광 창을 내었고, 네 벽에도 채광을 위한 여러 개의 창이 크게 만들어졌다. 지붕의 동판은 일제말기에 포탄재료로 징발되었던 것을 1984년에 복원하였다. 원래의 목조 마루는 보수 때 시멘트모르타르트로 개조되었다. 정문 현관의 양쪽에는 강한 배흘림의 둥근 기둥이 세워졌고, 내부의 카운터가 만들어져 있다. 설계자와 시공자는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러시아 풍의 건축양식은 당시 진해에 있던 러시아영사관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일제시대에 지어진 점과 지붕에 동판을 덮은 점 등은 근대화 시기의 일본에서 서양의 건축양식이 정착되어 가던 과정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출처:진해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