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등은 불상을 모신 불전, 사리를 모신 탑의 앞에 불을 밝히기 위한 석조물로 서양 기독교 등 각종 종교에서 다양한 촛불을 밝히는 것과 같은 기원을 두고 있는 보이는 대표적인 공양물이다. 불교에서는 불을 밝히는 것으로 공양 중에서 으뜸으로 여겼기때문에 불전, 탑 외에도 승려의 사리를 모신 승탑 앞에도 석등을 세워 놓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석등은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알져져 있지 않지만 백제 미륵사지에서 발견된 석등이 가장 오래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석등은 승탑이나 석탑처럼 목조건물 형태를 하고 있음 기본적으로 4각, 5각, 8각형을 하고 있으며, 기단이 되는 하대석, 기둥인 중대석과 그 위의 상대석, 불을 밝히는 화사석과 지붕 보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물 231호로 지정된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은 고려말에 만들어진 승려의 사리탑 앞에 세워진 석등으로 당시 석등 양식을 대표하는 유물이라 할 수 있다. 석등은 전체적으로 화강석을 사용하고 있으나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조각을 하기에 좋은 납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 까닭에 화사석에는 비천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조각상을 새겨 놓아 화려한 느낌을 주는 석등이다.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앞 석등, 보물 231호,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천송리
이 석등은 보제존자 나옹의 부도를 밝히기 위해 서 있다. 평면 팔각형의 구도를 지닌 이 석등은 일반적인 석등과 마찬가지로 화강석을 사용하고 있으나 등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납석(곱돌)을 사용하고 있다. 높다란 팔각형의 지대석 위에 놓인 기단은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고 하대석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간주석에는 연주문으로 구획을 나눈 후 그 안에 亞자형의 안상을 배치하고 있다. 상대석에도 하대석과 마찬가지로 연꽃을 새겼다. 납석으로 된 화사석은 높게 만들어졌는데, 반룡문을 새긴 원형기둥과 화창, 비천, 창방, 평방 등을 가득 조각하였다. 팔각형인 지붕돌의 추녀끝은 살짝 들어 올려졌고 지붕돌 위에는 복발과 보주를 놓아 상륜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석등은 나옹이 신륵사에서 세상을 떠난 뒤 부도를 세웠던 고려 우왕 5년(1379)에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 후기 석등의 대표적인 양식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무덤 앞에 놓이는 장명등의 선구적인 예로 평가되고 있다. <출처:여주군청>
고려말을 대표하는 승려로 양주 회암사 주지를 지냈으며, 이곳 신륵사에서 입적한 나옹선사 사리를 모신 석종형부도 앞에 세워진 석등. 석등은 불전이나 석탑 앞에 세우는 것으로 불교에서 중요한 공양으로 여겨진다.
석등은 하나의 돌로 연꽃무늬를 새긴 하대석, 중대석, 상대석위에 납석으로 만든 화사석과 지붕돌, 보주를 얹어 놓은 형태이다. 화사석을 납석으로 만들어 창은 세련되게 만들어 놓았다.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하대석, 중대석, 상대석
조각하기에 용이한 납석으로 만들어진 화사석. 기둥과 벽면에 비천상, 용 등을 화려하게 조각해 놓고 있다.
화사석 창문 위에 새겨진 비천상
용무늬가 새겨진 화사석 기둥
화사석 위에 올려 놓은 화강석으로 만든 지붕돌과 보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과 석등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보물 59호)와 절터 출토 유물 (0) | 2013.05.11 |
---|---|
고양 북한산 태고사 원증국사 승탑(보물 749호)과 탑비(보물 611호) (1) | 2013.05.03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보물228호)과 석종비(보물229호) (0) | 2013.04.20 |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보물 230호), 목은 이색이 대장경을 인쇄하고 대장각을 세운 내력을 적은 비석 (0) | 2013.04.15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226호)과 삼층석탑, 남한강 수로와 나룻터 이정표가 되었던 탑 (1) | 201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