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해외 박물관

[중국 칭다오박물관] 고대 공예품(칠기, 옥기, 청동향로, 당삼채)

younghwan 2014. 1. 27. 23:36
반응형


 공예는 실용적인 물건에 장식적인 가치를 부가하는 미술로 19세기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용어이다. 우리나라의 전통공예는 금속을 가공해서 만든 불상을 비롯한 불교공예품, 도자기, 실생활에 많이 사용한 목공예품 등이 많이 남아 있다. 반면에 중국은 땅이 넓고 인구가 많기때문에 우리나라에 비해서 재료와 형태가 다양하고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칭다오박물관에서도 우리나라 중앙박물관처럼 공예품들을 별도의 전시품으로 분리하여 전시하고 있다. 전시된 유물들은 전국시대나 한대의 것도 있지만 주로 명.청대에 만들어진 것들이 대부분으로 칠기, 당삼채, 옥기, 청동향로, 문방구 등이 있다.


중국 전통공예품을 전시하고 있는 전시실. 우리나라 박물관과 마찬가지로 청동제기를 비롯한 금속공예, 칠기, 옥공예, 당삼채 등을 전시하고 있다.


쌍관척홍박혁도반(双款剔红博弈图盘, Double-signed carved red plate with a scene of playing game, 명 선덕), 2개의 도장이 있는 바둑을 하는 모습이 새겨진 그림이 있는 붉은 칠기 접시. 칠기는 옻을 재질로 한 기물로 동양에서는 선사시대부터 이용되었다고 한다.


척홍쌍용희주문반(剔红双龙戏珠纹盘, Dish with the design of "two dragons playing with a ball, 명 가정) 2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가지고 노는 모습을 그린 붉은 칠기 접시. 척홍정대인물원합(剔红亭台人物圆盒, Round bax with the design of figures and landscape, 명 16세기), 인무과 정자 그림이 있는 붉은 칠기로 만든 둥근합.


흑갈칠육화반(黑褐漆六花盘, Black-brown lacquer plate in the shape of six-petaled flower, 송나라, 6개 꽃잎 모양의 흑갈색 칠을 한 접시). 수렵문칠치(狩猎纹漆卮, Lecquer drinking vessel with the pattern of hunting, 한나라).창금채칠쌍용희주문왜각방합(戗金彩漆双龙戏珠纹倭角方盒, Gilded lecquer square box with the design of "Two dragons playing with a ball, 명 만력)


당삼채 소완(唐三彩小碗, small tri-colored bowl of Tang dynasty, 당나라), 당삼채 병(당나라)

옥공예(琢玉成器,Carved jade wares)
Jade shining with glorious colors, are viewed as gods to protect those who have or wear them and compared to high moral character by gentlemen. Jade articles are unique in China and has a long history of 7000 years. The making technique of jades had reached a relatively high level in prehistory when the jade articles characterising conciseness, plainness and vividness. During the Shang and Zhou dynasty, conception of ingenuity and craftiness and excellent techniques were embodied in jade making. During the Nothern and Southern Dynasties, jades making fell into a low ebb. In the Ming dynasty, jade craftworks inside and outside of the royal count developed together. Craftman were stick in selecting the material and skilled in complicated techniques in the Qing dynasty. So jade articles were more and more exquisite and many quality works were left.
영롱한 색으로 빛나는 옥은 그것을 착용하는 사람들 신성하게 보이게 하고 높은 도덕성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게 하였다. 옥기는 중국 고유의 독특함과 7000년 이상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옥은 간결한, 선명성과 같은 특징으로 옥을 만드는 기술은 선사시대에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다. 상왕조와 주왕조 시기에 독창성, 기능성과 기술적인 우수성은 구현되었다. 남북조시대에 옥을 만드는 기술은 상대적으로 퇴보하였고, 명왕조대 옥을 만드는 장인들의 노력으로 발전되었다. 청왕조때까지 장인들은 재료를 고르고 복잡한 기술들에 충실했기 때문에 옥기들은 더욱 양질의 작품들이 남아 있을 수 있었다. <출처:칭다오시박물관>


청백옥사녀인물(青白玉仕女人物, Blue and white jade figure, 청나라)


청옥활환연화세(青玉活环莲花洗, Blue jade brush washer with carved Ren-center lotus flower, 청나라)


벽옥잠문벽(碧玉蚕纹璧, jade ornament, 전국시대), 청옥운문벽(靑玉云纹璧, jade ornament, 전국시대),


백옥반리문벽(白玉蟠螭纹璧, white jade ornament, 한나라). 벽(璧)은 고대 중국 옥기의 일종으로 중앙에 둥근 구멍이 있는 원반모양의 옥기로 신분을 상징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벽옥감백옥인물병(碧玉嵌白玉人物屏, Jasper screen with landscape carvings, 청 건륭).


청옥묘금삽병(青玉描金插屏, White jade pendents, 청나라)


Jade vase with tow lug handles.


백옥반리문편(白玉葫芦纹片, white jade pendant, 청나라)


청옥석류세(青玉石榴洗, Blue jade magrante-shaped brush washer, 청나라)


백옥산자(白玉山子, blue jade figures and landscape, 청나라), 청옥옥란화삽(青玉玉兰花插, Blue jade flower-shaped vase, 청나라)


청옥영지여의(青玉灵芝如意, Blue jade S-shaped penant, 청나라)


백옥쌍학(白玉双鹤, white jade cranes, 청나라), 청옥삼양존(青玉三羊尊, Blue jade jar with three sheep, 청 건륭)


백옥운룡문병대(白玉云龙纹屏壶, white jade potr wht carved patterns, 청나라)


삼채천왕용(三彩天王俑, Three-color glazed pottery figurene of a heavenly god, 당나라)


채회도쌍봉낙타(彩绘陶双峰骆驼, color pottery camel, 당나라)


삼채호인기용(三彩胡人骑俑, Three-color glazed pottery figure of a rider, 당나라)


채회도호인용(彩绘陶胡人俑, color-glazed pottery figure, 당나라), 삼채호인용(三彩胡人俑, Three-color glazed pottery figure, 당나라),청유도호인용(青釉陶胡人俑, Blue glazed pottery figure, 당나라)


채회홍도여입용(彩绘红陶女立俑, 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standing lady, 당나라)


삼채유여인입용(三彩釉女立俑, 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standing lady, 당나라)


홍도용(红陶俑, 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dwart, 당나라), 채회취생용(彩绘吹笙俑, 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musician, 당나라), 채회비파용(彩绘琵琶俑, 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playing the lute, 당나라)

법랑향로(香爐珐琅, Enamel Insense burners)
향로는 한왕조때 처음 사용되었다. 명나라 선덕제때 청동향로가 처음 만들어졌고 "선덕 향로"는 청동향로의 표준이 되었다. 명과 청나라때, 고대 기풍은 칭송받았으며 청동제기들은 사당의 제물로 만들어졌다. 이 시기 청동제기는 표면에 보석을 장식하는 새로운 기술로 특징지워진다. 법랑은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구리로 장식한 법랑과 칠법랑이다. 법랑을 만드는 방법은 원나라 말기에와 청나나초기에 소개되었다. 명나라 경태제때 장인들은 칠보라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법랑 제기를 만들었다. 법랑칠을 한 청동제기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고 생산규모가 확대되었다.
Incense burner originated in the Han dynasty. In the reigns of Xuande of the Ming dynasty, copper incense burner was first made and the "Xuande Incense Burners" became classics of its kin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cientry was admired and copperwares were made mainly for offering sacrifices in temples, most of which were tripods. Copperware in this period featured jewels embedded on the surface and new processing techniques. Enamels are categorized into two kinds: copper padding thread enamel and painted enamel. The making method was first introduced into China in the late Yuan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In the reigns of Jingtai of the Ming dynasty, craftsmen combined copperware making with the enamel making techniques and created the renowned Cloisonne. Copper-bodied enamel developed rapidly and production scale was enhanced. <출처:칭다오시박물관>


주금동로(酒金铜炉, Gilded bronze burner, 청나라), 용봉문동로(龙凤纹铜炉, Bronze burner with dragon and phoeniz patterns, 명나라)


동로(铜炉, bronze burner, 청나라), 근조식소동로(根雕式小铜炉, Stump-shaped bronze burner, 청나라), 동향로(铜香炉, Bronze censer, 청나라)


소훈로(小熏炉, Bronze Burner, 청나라), 수이훈로(兽耳熏炉, Filigree Cloisonne bronze incense burner, 청 건륭)


수족동훈로(兽足铜熏炉, Bronze bunner with animal-shaped feet, 청나라)


대좌동훈로(带座铜熏炉, Bronze bunner, 청나라), 동훈로(铜熏炉, Bronze bunner with Walrus pattern, 청나라)


법랑항아리(청나라), 겹사법랑화과(掐丝珐琅花觚, Filigree cloisonne bronze goblet, 청나라), 법랑산두병(掐丝蒜头瓶, Filigree cloisonne bronze kettle, 청나라)


겹사법랑대훈로(掐丝珐琅大熏炉, Filigree cloisonne bronze incense burner, 청나라), 겹사법랑연문촉대(掐丝珐琅莲纹烛台, Filigree cloisonne bronze candlestick, 청나라), 겹사법랑정식훈로(掐丝珐琅鼎式熏炉, Cloisonne enamel Ding-type censer, 청나라)


강희겹사법랑전지연문로(康熙掐丝珐琅缠枝莲纹炉, Filigree cloisonne bronze incense burner, 청 강희), 겹사법랑정식훈로(掐丝珐琅鼎式熏炉, Cloisonne enamel Ding-type censer, 청 강희)


법랑화병(청 건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