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해외 박물관

[중국 칭다오박물관] 고대공예품 (금속공예, 문방구, 도용)

younghwan 2014. 2. 2. 23:21
반응형


 중국에서도 다양한 공예가 발달했지만, China라는 영어 국가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도자기공예가 중국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도자기 공예 외에도 중국에는 다른 공예들이 발달했는데 그 중 도자기 다음을 중국적인 분야가 문방구 분야일 것이다. 필구도구로서 개발된 먹과 벼루는 진.한대를 거치면서 종이의 발명과 함께 산업화되었으며, 명.청대에는 서예, 산수화 등과 연결되면서 예술품의 경지에 이른 작품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문방구와 함께 공예품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는 전국시대부터 무덤의 부장품 등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행운을 상징하는 도기로 만든 인형이 많이 만들어졌으며, 이후에는 대나무, 목재, 상아, 뿔 등을 깎아서 조각하는 공예품들도 중국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공예품이라 할 수 있다.

Carved Bamboo Wares, 剔角镂竹(척각루죽)
대나무, 목재, 상아와 뿔을 재료로 조각하는 것은 중국의 독창적인 공예기술이다. 이러한 수공예들은 전국시대와 진.한대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수공예는 당.송대에 세련되어졌으며, 명.청대에 특별한 기술로 발전되었다. 대나무, 목재, 상아, 뿔 등을 조각하는 기술은 명.청대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개별 장인들과 세련된 학자들의 서예와 회화가 작품들속에 녹아 들어가 있다. 그들은 자연물질 형태의 완벽한 이용과 정교한기술, 개념의 재발견을 통해 많은 예술적인 보물을 만들었다.
Carving with materials of bamboo, wood, ivory and horn is a unique craftsmanship of China. Those handicrafts dated back to the Warring State period and the Qin and Han Dynasties. The craftsmanship matured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and developed into a specialized techniqu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engraving art with bamboo, wood, ivory and horn reached its summit in the Ming and Qing Times. Workshops, individual craftsmen and refined scholars engaged in the art and combined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o it. They created many art treasures with refreshing conception, exquisite techniques and perfect using of the natural forms of the materials. <출처:칭다오박물관>


상아조정(象牙雕鼎, ivory cooking vessel, 청나라)


상아비각(象牙臂搁, Ivory Arm-rest, 중화민국)


죽각인물필통(竹刻人物笔筒, Carved Bamboo Brush Holder, 명나라), 상아노인(象牙老人, Carved ivory figure, 청나루)


상아영휘도삽병(象牙婴戏图插屏, Ivory plaque, 중화민국)


서각투조화지배(犀角透雕花枝杯, Rhinoceros horn cup with a flower spray design, 청나라). 코뿔소 뿔을 조각해서 만든 작품이다.


나무필동(Carved wood brush holder, 청나라), 상아산수인물필통(象牙山水人物筆筒, Ivory brush holder, 명나라)


서각조화형배(犀角透雕花型杯, Carved Rhinoceros horn cup, 청나라), 서각조리호문배(犀角雕螭虎纹杯, Rhinoceros horn cup with a Lizard design, 청나라)


홍목감은사동자기우(红木嵌银丝童子骑牛, Boys Riding on cattle, 청나라)


목조여의(木雕如意, Luck woodcarvin, 청나라)


죽각도필통(竹刻图笔筒, Carved Bamboo Brush Holder, 청나라), 죽각산자(竹刻山子, Carved Bamboo), 침향목배(沉香木杯,  wood cup)


목조관음상(Statue of Avalokitesvars, 청나라), 침향목소나한(Carved wood statues)

Inkstones and Inksticks(文房砚墨)
벼루와 먹은 중국문명에서 무엇인가를 적고 전달하는 도구였으며 신석기시대에 만들어진 것부터 발견되기 시작하다. 먹이 일상화되고 산업화된 것은 주나라와 한나라를 거치면서이다. 금나라와 당나라에서 벼루와 먹은 단순한 필기도구에서 실용적인 사용과 예술적인 감상품으로 역활이 추가되는 예술작품으로 재정립되었다. 역사.문화적인 발전에 따라, 벼루와 먹을 만드는 공예는 명.청대에 절정을 이룬다. 많은 명장들은 예술품의 경지에 이른 작품들을 만들었다. 제품의 크기는 엄청나게 커졌다. 이 시기는 중국에서 수천년에 걸친 문방구의 발전과 장인들의 예술적 재능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Inkstones and ink stick, found as early as the Neolithic Age, were tools to write down and pass on the Chinese civilization. They came to be commonly used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ink industry through the Zhou and Han dynasties. In the Jin and  Tang dynasties, inkstones and ink sticks evolved from mere tools for writing and painting  to refined artwork embodying humanistic thought and serving both for practical use and artistic appreciation. Wit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recipitation, the craftsmanship of making inkstones and ink sticks climax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Many established maestros made out diversified forms of artworks. The production scales were unprecedented large. This period symbolises the development of stationeries of thousands of years and artistic talents of craftsmen in China. <출처:칭다오박물관>


황근성묵(汪近圣墨, Wang Jin Sheng Ink Stick, 청나라), 청린수묵(Qing Lin Sui Ink stick, 청나라)


조소공금묵(Cao Su Gong ink stick, 청나라)


려산팔경투묵(Lushan Scenery ink stick, 청나라), 오천장죽형금묵(Wu Tian Zhang ink stick, 청나라), 황산삼십육봉도묵(Huaangshan scenery ink stick, 청나라)


호개문금묵(Hua kai wen ink stick, 청나라)


십팔학사도투묵("Eighteen Shcolars" packaged ink stick, 청나라),  건륭왕심농묵(Wang xin Nong ink stick, 청나라), 청랑천투묵(Dry ink stick, 청나라)


먹과 먹상자(ink sticks with box, 청나라)


만년홍주묵(Wan Nian Hong red ink stick, 청나라), 청덕당묵(Qing De Tang Ink stick, 청나라)


초수단연(抄手端砚, Duan Inkstone, 명나라)


'이정기'명 벼루 (Li Ting Ji Patterned Inkstone, 명나라), 홍사석연(Red ribbon inkstone, 청나라), '기호강'명단연(Ji Xiao Lan inkstone, 청나라)


죽절형단연(Bamboo-shaped inkstone, 청나라), 도형단연(Peach-shaped duan inkstone, 청나라)


청대동북송화연,  '옹방강'명단연(Weng Fang Gang inkstone, 청나라)


칠사연(Qisha inkstone, 청나라), '우동'명단연(You Tong Inkstone)

Earthenwares(抟土塑陶, 단토소도)
도기 제작 공예는 고대 중국까지 올라갈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니며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도기 인형를 만드는 기술은 전국시대에 크게 발전했으며, 도기 인형은 사후세계의 행운을 기원했다.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사람들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도기 인형들을 만들었다. 당나라때 도기 인형은 사실적이며 생동감이 넘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저온에서 유약을 발라서 구운 당삼채 도기인형은 동시대 도자기 조각기술의 성취를 보여줄 뿐 아니라 당왕조대의 사화적인 번영을 잘 반영하고 있다.
The craftwork of pottery producing has a long history dating back to ancient China and was passed on without any breaking off. Pottery figurines making techniques matur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hope was placed on the form of pottery figurines and good fortune was prayed for the afterlife. Using different techniques, people made out numerous pottery figurines with diversified size and form. In Tang Dynasty, pottery figurines tended to be more realistic and vivid. Especially the Tang Tricolor figurines which was made through low temperature ceramic glaze firing process combining painting and sculpture not only displayed the pottery sculpture achievements, but also reflected the social outlook of the prosperity in the tang dynasty. <출처:칭다오박물관>


채회도녀기용(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lady rider, 당나라), 채회도남기용(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rider, 당나라)


채회도립기마용(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horse, 당나라), 채회도승마(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racing horse, 당나라)


채회입마용(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horse, 당나라), 채회기용(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rider, 당나라)


채회도녀기용(Color-glazed pottery figure of a lady rider, 당나라)

금속공예
중국의 금속공예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불교와 관련된 유물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부처와 보살의 형상을 조각한 불상들과 이에 영향을 받아서 만든 도교의 신들을 형상화한 신상들이다.


불상(명나라),


동불상(Bronze figure of buddha, 청나라), 동보살상(Shi Sou bronze figure of buddha, 명나라),


동달마상(Bronze figure of Dharma, 명나라), 류금약사불상(Gilded bronze figure of a Pharmacist, 명나라), 동류금불상(Gilded bronze figure of buddha, 명나라)


류금동태자불상(Gilded bronze figure of a prince, 청나라)


류금불상(Gilded bronze figure of buddha, 청나라)


동보살두상(Bronze statue of bodhsattva, 청나라), 류금동보살상(Gilded bronze figure of bodhisattva, 청나라)


동도모상(Bronze figure of the goddess tara, 청나라)


동수성상(Bronze figure of the god of longevity, 청나라), 천후상(Bronze figure of Tin hay, 명나라), 동재신상(Bronze figure of the God of forture, 명나라)


동채하상(Bronze of eight immortals, 청나라), 문관동좌상(Bronze figure of a civil officer, 명나라)


동삼관상(Bronze figure of three gods, 명나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