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건축(불전_요사)

여주 신륵사 조사당(보물 180호),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지공,나옹,무학대사 영정을 모신 곳

younghwan 2013. 4. 8. 16:54
반응형


 여주 신륵사는 남한강변에 위치한 고찰로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정확한 내용은 아닌것으로 보고 있으며, 고려말 나옹선사가 이곳에서 입적하면서 크게 번창한 사찰이다. 고려시대 남한강변 수운과 교통로상에는 큰 절이 많았는데 당시 신륵사는 상대적으로 그 위상이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부근에 있던 고달사가 여주지역에서는 큰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륵사는 조선시대에 억불정책으로 폐사되었던 주변의 다른 사찰들과 함께 크게 위축되었다가 예종대에 세종대왕 영릉이 여주로 천장되면서 원찰로서 주변지역을 대표하는 사찰로 발전했던 것으로 보인다. 신륵사에는 나옹선사 부도를 비롯하여 고려시대 석탑들이 많이 남아 있지만, 사찰건물 대부분은 임진왜란 등을 거치면서 거의 남아 있지 않고 나옹선사를 비롯한 고승들의 영정을 모신 조사당이 가장 오래된 건물로 남아 있다.

 보물 180호로 지정된 조사당은 조선이 건국되던 시기에 활동한 나옹선사를 비롯하여 무학, 나옹, 지공대사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 이들 승려들은 조선초기를 대표하는 승려들로 왕실과 관련이 깊은 조선 최대의 사찰인 회암사에 부도가 모셔져 있다. 나옹선사는 회암사 주지로 절을 크게 중창하였으며, 말년에 신륵사에서 입적했다. 나옹선사 부도는 신륵사와 회암사에 같이 모셔져 있다. 지공선사는 회암사를 창건한 인도인 승려로 나옹선사와 무학대사의 스승이라 할 수 있으며, 무학대사는 잘 알려진대로 태조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창업하는데 큰 역할을 한 승려이다. 신륵사 조사당은 조선초기를 대표하는 원찰로서 태조가 가까이 했던 회암사와 비슷한 원찰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불전이라 할 수 있다.


신륵사를 크게 중창한 나옹선사 부도가 있는 뒷동산 아래에 조선초기를 대표하는 승려인 지공,나옹,무학대사의 영정을 모신 조사당이 자리잡고 있다. 이들은 조선 왕실 원찰이라 할 수 있는 양주 회암사를 창건, 중창한 인물들로 왕실과 관련이 깊은 인물들이다.

여주 신륵사 조사당, 보물 180호,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천송리
신륵사는 봉미산 기슭에 자리잡은 신라 시대에 건립된 유서 깊은 고찰이다. 이절이 크게 번창한 것은 고려말의 고승 나옹이 이 절에서 갖가지 이적을 보이며 세상을 떠났기때문이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이 절도 크게 위축되었으나 예종1년(1469)에 제4대 세종과 비 소헌왕후 심씨의 능인 영릉이 여주로 옮겨진 후 영릉의 원찰이 되어 성종3년(1469)부터 대규모로 다시 지어졌으며 조사당은 이때 다시 지어진 것을 추정된다. 신륵사의 조사당은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기둥과 지붕이 만나는 곳에 사용되는 재료인 공포를 사용한 다포계 건물이다. 지붕가주는 오량으로 구성하였는데, 대들보 위에 가로재가 정자형으로 놓이고 그 위에 기둥을 세워 마루도리를 받도록한 특수한 구조이다. 내부에는 우물마루를 깔고 우물천정을 하였으며 뒷벽 쪽으로 불단을 설치하여 무학, 지공, 나옹의 영정을 봉안하였다. 신륵사 조사당은 작은 규모이지만 공포의 형태와 가구수법이 특이하고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외곽을 가지고 있는 조선초기의 중요한 건축이다. <출처:여주군청>


보물 180호로 지정된 신륵사 조사당. 건물은 앞면 1칸, 옆면 2칸의 단촐한 건물이지만, 화려한 단청과 조선초기 다포계 공포로 장식한 건물이다. 이 건물은 신륵사가 크게 중창되던 시기인 성종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훼손되지 않은 신륵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신륵사 조시당.


조사당 현판


작은 건물이지만 공포는 내.외 출목의 다포식 수법을 보여주는 조선초기 다포계 공포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조사당에 모셔진 조선초기를 대표하는 지공,나옹,무학대사의 영정


조사당 앞 마당에는 꽤 오래된 수령의 향나무가 심어져 있다. 향나무는 향을 피운다는 의미를 갖는 나무로 중국의 사당 등에는 많이 심어져 있으나, 우리나라에 향나무가 심어진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뒷편에서 본 신륵사 조사당



조사당 앞 마당

2009년 신륵사 조사당


2013년 신륵사 조사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