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2016/05 4

구례 운조루(雲鳥樓)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대저택인 구례 운조루(雲鳥樓)이다. 저택은 55칸 규모로 따뜻한 호남지방의 지역적 특징을 반영했다기보다는 구한말 한양의 권문세가들 사이에 유행안 안동지방의 'ㅁ'자형 주택 구조를 하고 있다. 건물은 오른쪽에 안채, 왼쪽에 사랑채가 배치되어 있고, 앞쪽에 행랑채가 있다. 사랑채는 ‘T’자형을 하고 있는데 왼쪽 끝에 누마루를 두고 있다. 안채 앞에는 사랑채와 직각을 이룬 작은 사랑채가 있다. 안채는 ‘ㅁ’자형을 하고 있는데 상당히 규모가 큰 편이다. 가운데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크고, 작은 방과 부엌, 광 등이 배치되어 있다. 안채 오른쪽에는 불천위 조상을 모신 사당이 배치되어 있다. 이 집은 삼수부사와 낙안군수를 지낸 무관출신 유이주가 구한말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

고택_정원 2016.05.31

안동 천전마을 만송헌

안동에서 영덕으로 가는 34번 국도변 임하댐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전통마을인 천전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중 하나인 만송헌(萬松軒)이다. 마을 후손 중 한명인 김세장의 종택으로 19세에 처음 지어졌다. 현재의 건물은 1960년대에 새로 중건한 것으로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된 ‘ㅁ’자형 한옥이다. 19세기 한옥의 건축 양식이 잘 남아 있는 고택이다. 안동 천전마을 뒷편에 남아 있는 19세기 고택인 만송헌. 만송헌 들어가는 골목길. 기와를 얹은 담장이 고풍스러운 전통마을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주위에 있는 고택들도 지금은 낡았지만 원래 꽤 큰 규모의 저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붙어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안동지방 전통한옥의 모습을 하고 있다. 19세기에 처음 지어졌는데 1960년대에 ..

고택_정원 2016.05.23

안동 모계정사, 금계리마을에 남아 있는 정자

안동 금계리 마을에 남아 있는 정자인 모계정사(某溪精舍)이다. 모계정사는 선비들이 공부를 하거나 손님을 접견하기 지은 정자로 마을 한쪽편에 사랑채처럼 지어졌다. 건물은 앞면 3칸에 마루와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앞쪽에 반칸정도 마루를 달아 놓고 있으며 마루는 난간을 둘렀다. 정자 건물 외 앞면 3칸 규모의 솟을대문이 있는 문간채를 두고 있다. 구한말 홍문관시강(弘文館侍講) 등을 역임한 김홍락(1863~1943년)이 세웠다고 한다. 학봉 김성일이 살았던 고택이 있는 금계리마을에 남아 있는 모계정사. 선비들 손님을 접대하고 공부를 하기 위해 지은 사랑채 역할을 했던 건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 규모로 온돌방 2칸과 넓은 마루를 두고 있다. 건물 앞쪽에는 반칸 정도 마루를 달았으며 난간을 둘렀다. 솟..

고택_정원 2016.05.11

안동 금계리마을 겸와고택

안동시 금계리 마을에 있는 고택인 겸와고택(謙窩古宅)이다. 구한말 관료를 지낸 김진형이 처음 지은 집으로, 초산댁(楚山宅)이라고도 부른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5칸으로 안채와 사랑채로 ‘ㅁ’자형 주택 구조를 하고 있다. 사랑채는 대청마루가 있는 앞면 3칸규모이며. 안채는 넓은 대청마루를 가운데 두고 양쪽에 방과 부엌을 배치히 놓았다. 학봉종택에 비해 소박하면서도 검소한 느낌을 준다.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마을에 남아 있는 전통한옥인 겸와고택이다. 구한말 관료를 지낸 김진형이 처음 지은 집으로 구한말 안동지방 양반가옥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전제적으로 가운데 마당을 두고 있는 'ㅁ'자형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바깥주인의 생활공간이 사랑채. 1칸규모의 작은 대청마루와 온돌방을 두고 있다. 안채를 출..

고택_정원 2016.05.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