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시대 한양 도성을 이루는 성벽 중에서 남쪽 대부분을 차지하는 남산 능선을 따라서 쌓은 성벽이다. 남대문에서 남산타워 오르는 길 입구까지의 도성 성벽은 대부분 허물어지고, 남산을 오르는 계단 옆으로 성벽이 남아 있다. 수도를 방어하는 중요한 성벽이지만, 남쪽 방향으로는 적의 침입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는지 성벽이 높지고 견고하지도 않은 편이다. 아마도 도성의 상징적인 의미를 강조한 부분이 아닌가 생각된다. 남산을 오르는 산책길 자체가 원래 성벽을 왕래하던 통로를 확장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반응형
'성곽(산성_읍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북한산성] 대동문에서 대성문까지 (0) | 2010.09.23 |
---|---|
[서울 북한산성] 대남문, 청수동 암문 (0) | 2010.09.23 |
[서울성곽] 남산 동쪽 장충동 일원 (0) | 2010.09.22 |
[서울 성곽] 이간수문과 주위 성벽 흔적, 동대문운동장에 묻혀 있던 조선시대 수문 (0) | 2010.09.22 |
[서울 성곽] 혜화문, 한양도성 동소문에 해당하는 성문 (0) | 2010.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