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한국의 풍경

서울 북촌길 걷기, 정독도서관 (옛 경기고교 자리)

younghwan 2010. 8. 28. 15:05
반응형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에 있는 북촌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곳인 정독도서관이다. 70년대 강남개발로 경기고등학교가 삼성동으로 이전하기까지 교사로 사용하던 건물이 시립도서관으로 변신한 곳이다. 전통있는 학교가 있었던 곳을 70년대 풍의 공원으로 개발되어 있다.

 1900년대 초기 주택가에 세워진 까닭에 운동장이 넓은 편은 아니지만, 마당에 벚꽃나무를 비롯하여 많은 꽃나무들을 심어 놓고 있어 계절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운동장 동쪽편에는 경복궁 건춘문 앞에 있던 종친부 건물을 옮겨 놓고 있어 고풍스러운 멋을 같이 보여주고 있다.


정독도서관 입구. 옛 경기고등학교 교문을 올라가는 전형적인 고등학교 교문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그 앞에 관광 안내소가 있고, 일본인 관광객을 비롯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교문 동쪽편으로 서울시 교육사료관이 있다. 단층 건물로 옛 경기고등학교 교사로 쓰였던 건물이며, 60~70년대 학교의 모습을 재현해 주는 많은 자료들을 전시해 놓고 있다.


정독도서관 정문을 들어서면 벚꽂나무가 터널을 이루고 있는 작은 가로수 길이 있고, 마당 한편에 옛 종친부 건물이 보인다.

1.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종친부는 조선시대 국왕의 친인척인 종친들을 관리하고, 관련 업무를 하던 관청으로 원래는 민속박물관과 건춘문이 있는 경복궁 동쪽편에 있던 것을 1980년대에 경기고등학교가 있던 자리에 만들어진 정독도서관 마당 동쪽편으로 이전했다고 한다. 현재 서울에는 육사 교정에 있는 삼군부 건물과 함께 조선시대 관청 건물 중 남아 있는 3동의 건물 중 하나로, 조선시대 관청의 모습을 실제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종친부 건물 앞에는 이 곳에서 정선의 '인왕재색도' 그렸다고 하는 기념비가 서 있다. 북촌 언덕에 위치하고 있어 인왕산이 잘 보이기는 하지만, 정설로 인정받고 있지는 않아 보인다.

2. 화동 구 경기고교 교사


서울 북촌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정독도서관은 우리나라에서 공립 중등학교의 시초가 되는 경기고등학교가 있었던 자리이다. 경기고등학교는 이 곳에 있다가 70년대 강남개발의 일환으로 1976년 강남구 삼성동으로 이전하고 그 교사는 현재 정독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다. 현재 정독도서관은 3개의 건물동으로 이루어져 있어며, 입구에는 별도로 서울교육사료관으로 사용되는 단층건물이 있다. 각동은 3층 건물로서 일반적인 학교 건물에 비해서 구조가 약간 복잡한 편이다. 이 건물들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스팀난방 시설을 설치했다고 한다.


목련과 벚꽃이 활짝 핀 정독 도서관 마당.


이 곳의 역사를 말해주는 수령 수백년의 고목이 마당 한쪽에 우뚝 서 있다.


건물 동쪽편에 있는 강당이었던 건물. 지금은 식당 겸 휴게소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 사이의 공간 언덕에도 벚꽃을 비롯하여 여러 꽃나무를 심어 놓고 있다. 특히 서쪽편 계단에 있는 벚꽃(?)은 수령이 꽤 오래된 것으로 보이며 다른 나무들과 꽃과 줄기의 모양새가 달라 보인다.


이 곳에 있었던 오래된 우물 흔적


정독도서관 3층에서 내려다 본 마당과 주위의 풍경들. 운동장을 벗어나면 서울 도심의 고층 빌딩들이 이어져 있다.


이 곳의 내력을 말해주는 여러 표지석들. 특히 이 곳에 화기도감과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 집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데 구한말 그 터에 경기고등학교를 세운것 같다.



정독도서관(正讀圖書館)은 1977년 1월 개관한 서울시립도서관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화동에 위치했던 경기고등학교 건물을 1977년 인수해 개관하였으며, 52만여 권의 장서와 1,200여 종의 연속간행물, 15,500여 점의 시청각자료, 12,800여 점 이상의 교육사료를 보유하고 있다. 관내에는 구 경기고등학교의 역사를 간략히 소개한 게시판이 설치되어 있다. 건축 당시 스팀난방시설을 갖춘 최신식 학교건축으로서, 보존 가치가 뛰어나다고 판단되어 건물 중 오래된 4개 동(사료관동, 도서관 1·2동, 휴게실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출처:위키백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