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양주 화암사 지공선사 부도와 석등, 탑비

younghwan 2010. 9. 28. 13:43
반응형


 양주 회암사 언덕에 있는 여러기의 부도 중 하나인 지공선사 부도이다. 이 부도는 회암사를 창건한 인도인 승려 지공선사의 사리를 모신 것으로 부도탑, 제단, 석등, 탑비가 제대로 구성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 이래로 보이는 8각을 기본으로 한 전형적인 형태를 하고 있는데, 고려전기의 부도탑에는 화려한 조각이 부조로 새겨져 있는데 비해 이 부도는 어떤 장식도 하지 않고 있으며 돌을 쌓아 놓은 것 같은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다. 부도 앞 석등은 4각을 기본으로 한 형태로 이 또한 장식이 없고, 석재를 조립해서 만든 듯한 느낌을 준다. 탑비는 앞쪽의 무학대사비와 마찬가지로 4각의 받침돌 위에 몸돌과 머리돌을 얹어 놓은 것으로 조선후기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원래의 탑비가 놓여졌던 거북모양 이수가 탑비 옆에 놓여져 있다.


양주 천보산 회암사 동쪽편 언덕에는 나옹선사, 지공선사, 무학대사의 부도가 나란히 서 있는데 그 중에 회암사를 창건한 인도인 승려 나옹선사의 부도이다.


나옹선사 부도는 팔각을 기본으로 한 전통적인 부도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 부도는 받침돌, 몸돌, 지붕돌에 어떤 장식도 새겨 놓지 않고 있어며, 그 조각수법도 고려전기의 부도탑에 비해 상당히 많이 떨어진다.


팔각모양을 하고 있는 기단부에는 장식이 없어 그냥 돌을 쌓아 올린것 같은 느낌이다.


몸돌 또한 용이나 구름같은 화려한 무늬를 조각해 놓는 것이 보통인데, 어떤 장식도 없이 그 모양새만 부도탑이라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목조건물의 지붕을 모방해서 만든 지붕돌


부도 앞 제단


부도 앞 석등. 고려말 조선초기의 새로운 석등 형태인 사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데 단순한 형태로 조형미가 전대에 비해서 많이 떨어진다.


지공선사 부도 탑비. 사각형 받침돌 위에 비석을 올려놓고 있는데, 조선후기에 새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옛 탑비를 올려 놓았던 것으로 보이는 거북모양 이수. 이 또한 전대에 비해서 세련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부도, 석등, 부도탑



회암사에 놓여 있는 부도와 석등이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다. 회암사에 서 있는 이 부도는 회암사를 창건한 인도인 승려 지공선사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이후 많이 사용된 양식으로, 모든 부재가 8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3단으로 올렸는데 그 중 가운데받침돌만 배가 볼록하다. 아무런 장식이 없는 탑신(塔身)은 둥근 공모양이다. 지붕돌은 윗면의 여덟 모서리선이 두툼하며 처마의 각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있다. 꼭대기에는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머리장식들이 온전하게 남아있다. 석등은 모든 부재가 4각으로, 3단을 이루는 받침돌 위에 등불을 켜두는 곳인 화사석(火舍石)과 지붕돌을 올려놓았다. 화사석은 앞뒷면 2곳에만 창을 내었고, 지붕돌은 부도에서와 같이 윗면의 네 모서리선이 두툼하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가지런히 올려져 있다. 두 작품 모두 고려 공민왕 21년(1372)에 세운 것이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