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회암사 동쪽 언덕에 있는 3기의 부도 중 제일 위쪽에 위치한 나옹선사 부도와 석등이다. 다른 부도와는 달리 앞쪽에 탑비는 남아 있지 않다. 나옹선사는 고려말 승려로 무학대사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으며, 양주 회암사를 아주 크게 중창한 인물이다. 나옹선사의 명성에 비해서 그 부도탑은 단촐하면서도 소박한 느낌을 주고 있다. 앞쪽에 있는 지공선사 부도탑과 함께 전통적인 고승의 부도탑 모양을 하고 있으나, 고려전기의 화려한 부도탑에 비해서는 조형미가 많이 떨어지는 것 같다. 아마도 고려말에서 조선초에는 전국적으로 부도탑을 만들 수 있는 조각가들이 거의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양주 회암사를 크게 중창한 나옹선사 부도와 석등
나옹선서 부도는 8각을 기본형으로 하고 있는 전통적이 부도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받침돌과 몸돌에 부조장식이 생략되어 있는 간략한 형태를 하고 있다. 조선전기에 크게 유행한 몸돌부분만 남아 있는 석종형 부도로 가는 과도기의 부도탑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상륜부에는 복발과 보주가 장식으로 올려져 있다.
석종형 부도로 변해가는 전단계의 모습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머리위에 올려진 복발은 전통적인 인도의 사리탑인 복발탑의 형태를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나옹선사 부도 앞에 있는 제단
석등은 사각형의 돌을 쌓은 것 같은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다.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 부도와 석등
회암사 경내의 지공선사 부도 아래쪽에 있는 나옹선사의 부도와 석등이다. 나옹선사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본명은 혜근이다. 오대산 상두암에 머물렀고, 공민왕에게 설법을 하였다. 회암사의 주지가 된 후 절을 중창하였고, 우왕 2년(1376)에 입적하였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시는 곳으로, 이 부도는 나옹선사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8각을 기본형으로, 기단(基壇) 위에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3단을 이루는 기단의 가운데받침돌은 배가 불룩한 북모양을 하고 있다. 둥근 탑신의 몸돌은 아무런 조각없이 간결하다. 지붕돌은 경사가 완만하며, 네 귀퉁이에서 살짝 치켜 올려갔다. 지붕돌 위로는 하나의 돌로 조각한 머리장식이 놓여 있다. 석등은 4각을 기본형으로, 3단의 받침 위로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을 올린 후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화사석은 앞 ·뒷면에 창을 내었다. 지붕돌은 낙수면의 경사가 느리고, 처마는 느린 곡선을 그리다 네 귀퉁이에서 위로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받침 위로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 장식),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있다. <출처:문화재청>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국보 201호) (2) | 2010.10.16 |
---|---|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화재로 받침돌인 귀부만 남아 있는 나옹선사 부도 탑비 (보물387호) (0) | 2010.09.30 |
양주 화암사 지공선사 부도와 석등, 탑비 (0) | 2010.09.28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0) | 2010.09.28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 홍융탑 앞 쌍사자석등 (보물389호) (0) | 201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