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 북지리는 봉화읍에서 십여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태백산에서 발원한 큰 개천이 봉화읍으로 흘러 들어가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봉화 닭실마을을 나와서 봉화읍에서 부석사 방향으로 난 길을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서쪽편 개울가에 국보인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을 볼 수 있다.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이 있는 곳은 교통의 요지로서 신라시대에 500여명의 승려들이 있었던 큰 사찰이 있었다고 한다. 북지리 여래좌상은 자연암벽을 파서 만든 석불로서 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것으로 국보 201호로 지정되어 있다. 마침 이 곳을 방문했을 때 법회가 있어서 세부적으로 살펴보지는 못했지만, 전체적으로 크고 웅장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주변에는 이 석불을 중심으로 사찰이 들어선 것 같은데, 내력이 깊어 보이지는 않아 보였다.
북지리마애석불은 바위를 파서 만든 것으로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석불이라고 한다. 고려시대에 많이 만들어진 미륵불 입상에 비해서 조각수법이 섬세하고 뛰어나 보인다. 지금은 그 앞에 보호각을 세워서 보호하고 있는데, 그나마 개방되어 있어서 보기에는 불편하지 않아 보인다.
인자한 미소를 짓고 있는 석가여래의 모습을 하고 있다.
마침 이날 법회가 있어서 가까이 가서 보기는 힘든 아쉬움을 남겨 주었다.
이 석불 바로 옆에 있는 작은 불전
경상북도 봉화군 북지리에는 신라시대의 ‘한절’이라는 대사찰이 있었고, 부근에 27개의 사찰이 있어 500여 명의 승려들이 수도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작품은 자연암벽을 파서 불상이 들어앉을 거대한 방모양의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 높이 4.3m의 마애불을 매우 도드라지게 새긴 것이다. 넓고 큼직한 얼굴은 양감이 풍부하며 전면에 미소를 머금고 있어서 박진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어깨는 다소 움츠린 듯하지만 체구는 당당한 편이며,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가슴에서 U자형의 굵직한 주름을 이루면서 양 팔을 거쳐 길게 늘어져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까지 덮고 있다. 손모양은 오른손을 가슴에 들고 왼손은 무릎에 내리고 있는 모습으로 큼직하게 표현되어 불상의 장중한 멋을 더해주고 있다. 불상 뒤편의 광배(光背)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구분하였으며, 곳곳에 작은 부처를 표현하였고, 머리광배의 중심에는 정교한 연꽃무늬를 새기고 있다. 불상을 만든 시기는 얼굴이나 신체에 표현된 부드러운 모습 등을 고려할 때 7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며, 영주가흥리마애삼존불상(보물 제221호)과 함께 이 시기 영주·봉화 일대 불상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신라 불교조각사에 거대한 발자취를 남기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 (보물32호)와 석인상 (0) | 2010.11.24 |
---|---|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보물 30호) (0) | 2010.11.24 |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화재로 받침돌인 귀부만 남아 있는 나옹선사 부도 탑비 (보물387호) (0) | 2010.09.30 |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 부도와 석등 (1) | 2010.09.28 |
양주 화암사 지공선사 부도와 석등, 탑비 (0) | 201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