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령 성주사지 금당터 뒷쪽에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3층 석탑 중 동쪽편에 서 있는 3층석탑이다. 다른 2기의 3층석탑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반면에 이 석탑은 지방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생긴 형태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그 내력이 조각수법이 약간 떨어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사찰 경내에 신앙의 대상인 불탑이 3기씩 배치되는 것은 전례가 없는 경우로 보이는데, 이 석탑은 다른 곳에 있던 것을 이 곳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이 석탑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말기의 3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2단으로 된 기단부 위에 몸돌과 지붕돌로 이루어진 탑신을 3층으로 쌓아 올려 놓고 있다. 신앙의 대상으로 만들어졌던 전기의 석탑에 비해서 이 석탑은 장식적인 의미가 강한 석탑으로 통일신라 말기에 대량으로 제작되었던 석탑 중의 하나가 아닐까 생각된다.
보령 성주사지 동 3층석탑. 간결하면서도 직선적인 석탑으로 잘 만들어진 것 같은데, 통일신라 말기의 정형화된 양식의 석탑이라서 그 가치를 낮게 보고 있는 듯 하다.
이층으로 된 기단석. 기단석에 목조건물처럼 기둥을 새겨 놓고 있다.
3층으로 이루어진 탑신
탑신 1층 몸돌에는 문과 자물쇠를 새겨 놓고 있다.
보령 성주사지 동 3층석탑
보불로 지정된 중앙 3층석탑과 그 형태는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석탑 뒷편으로는 석불상과 강당터가 보인다.
이중기단 위에 만들어진 3층 석탑으로 면석과 탑신석에는 우주와 탱주가, 옥개석에는 4단의 층급 받침이 모각되어 있는 등 통일신라 말기의 전형적 3층 석탑 양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1층 탑신석에는 문액을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와 고리를 돋을새김 하였다. 승탑(부도)으로 추정되어 오다가 성주사사적기에 의해서 사리탑(불탑)으로 확인되었다. 발굴조사 결과 사지 내의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으로 밝혀졌다. <출처:보령시청>
반응형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보물 185호), 정림사지오층석탑을 닮은 고려초기 석탑 (2) | 2010.12.25 |
---|---|
보령 성주사지 서3층석탑 (보물47호) (0) | 2010.12.24 |
보령 성주사지 중앙 3층석탑 (보물20호) (1) | 2010.12.17 |
보령 성주사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국보8호) (2) | 2010.12.16 |
보령 성주사지오층석탑 (보물19호) (0) | 201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