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보령 성주사지 서3층석탑 (보물47호)

younghwan 2010. 12. 24. 13:41
반응형


 보령 성주사지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석탑가운데 서쪽에 있는 3층석탑이다. 탑에는 장식물을 달았던 흔적으로 보이는 구멍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탑을 장식하는 장식물들을 달아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사찰 가람배치는 신앙의 대상이었던 탑을 중심으로 하고 그 뒷편에 금당과 강당을 두는 것이 보통인데, 성주사지는 금당뒷편에 3기의 석탑, 앞편에 1기의 석탑이 배치된 특이한 형태이다. 경주 감은사지나 불국사의 경우 2개의 탑을 두고 있고, 익산 미륵사지는 목탑과 석탑이 나란히 3기가 서 있는 가람배치를 하고 있는데, 이 곳 성주사지는 금당앞에 1기의 오층석탑과 뒷편에 3기의 3층석탑이 있다. 동쪽편 석탑이 다른 곳에서 옮겨 왔다고 하니 아마도 2개의 3층석탑이 금당뒷편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통일신라말기의 전환기에 나타난 현상이 아닌가 생각된다.

 성주사지 서3층석탑은 2층의 기단부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날렵하면서 직선적인 느낌을 주고 있는 석탑으로 조각수법은 비록 정형화되었지만 잘 다듬은 것으로 보인다. 기단석과 탑신에는 목조건물처럼 기둥을 새겨 놓고 있으며, 탑신1층 몸돌에는 문짝과 자물쇠가 부조로 새겨져 있다. 조각수법과 창건연대 등을 고려해 볼 때 통일신라말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성주사지 서3층석탑은 2층의 기단부, 3층의 탑신, 상륜부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통일신라 3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정형화된 형태이지만 잘 만들어진 석탑으로 보인다.


석탑을 받치고 있는 기단부 1층은 높이가 높지는 않고, 안정감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기단석 2층은 약간 높게 만들었으며, 기둥만 새겨놓고 있다. 사천왕상이나 팔부중상 등 부조는 새겨놓지 않고 있는 정형화된 석탑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기단석 상층부에는 여러개의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데, 아마 장식물들을 걸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3기의 석탑 중에서 의미가 높았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게 한다.


3층으로된 탑신은 귀퉁이가 하늘로 살짝 치겨올라가게 만들어서 경쾌한 느낌을 준다. 각 탑신의 지붕돌에 뚫려 있는 작은 구멍들은 장식물을 매달던 곳이라고 한다.


1층 탑신 몸돌에는 문짝모양과 자물쇠, 문고리를 부조로 새겨 놓고 있으며, 양쪽에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다.


성주사지 서3층석탑을 동쪽에서 본 모습


서쪽에서 본 석탑


성주사지 금당터 뒷편에는 3기의 석탑이 나란히 서 있다.



성주사지에서 금당터로 보이는 곳의 뒤쪽으로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탑 중 가장 서쪽에 있는 석탑이다. 성주사는 구체적 유래는 전하고 있지 않지만 백제 땅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사찰로, 그 배치구조가 특이하며 이외에도 또 다른 3기의 탑과 석비, 귀부, 석축, 초석 등 많은 석조유물이 남아 있다. 탑을 받치고 있는 기단(基壇)은 2단으로 되어 있으며, 기단 맨윗돌에 1층 탑몸돌을 괴기 위한 별도의 받침돌을 두어 고려석탑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준다. 3층을 이루는 탑신(塔身)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짐승얼굴모양의 고리 1쌍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이 있으며 네 귀퉁이는 경쾌하게 약간 치켜올라갔다. 꼭대기에는 탑의 머리장식이 남아 있지 않고, 장식을 받쳐주던 네모난 받침돌(노반)만 놓여 있다. 1971년 해체 ·수리 당시 1층 몸돌에서 네모난 사리공을 발견하였으나 그 안에 향나무 썩은 가루와 먼지만 남아 있었다고 한다. 함께 위치한 다른 두 탑에 비해 너비가 넓어 장중한 느낌이 드는 탑으로, 기단이나 지붕돌의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