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 (보물499호)

younghwan 2010. 12. 29. 21:47
반응형


 낙산사 원통보전 앞에 세워진 보물 499호인 칠층석탑이다. 통일신라시대 의상대사가 낙산사를 세월때 만든 3층석탑을 조선초 세조가 중건하면서 7층석탑으로 만들어 놓고 있다. 불교중심의 고려 사회에서 유교사회 조선으로 변화함에 따라 불교미술의 수준은 크게 위축되었다고 하며, 이 석탑은 고려시대 양식이 적용된 대표적인 석탑이라 할 수 있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양식을 많이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기단부는 정사각형으로 지대석이 놓여 있는데 윗면에 겹연꽃 무늬를 장식한 것 고려시대 이후의 양식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탑신부는 조선시대 다층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하며, 상륜부에는 청동 복발.보륜 등을 장식하고 있다. 상륜부의 형식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라마탑과 닮은 장식들의 거의 원형대로 잘 남아 있다. 이런 양식적인 특징이 조선시대 다층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기 때문에 보물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낙산사 주불전인 관음보살을 모신 원통보전 앞에 세워진 칠층석탑


기단무는 바닥돌위에 밑돌을 놓았는데 24개의 연꽃무늬를 새겨 놓고 있다.


탑신부 아래쪽은 원래의 3층석탑의 탑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그 위헤 4단의 탑신을 올려놓고 있는데 월정사구층석탑의 양식을 받아 들인 것으로 보인다.


청동으로 만든 상륜부는 원나라의 라마탑을 닮은 형태로 원형이 손상없이 잘 남아 있다고 한다.


낙산사 칠층석탑


원통보전이 있는 경내를 들어서면 보이는 칠층석탑의 모습


원통보전에서 내려다본 칠층석탑



이 석탑은 창건 당시 3층이던 것을 세조 13년(1467)에 이르러 현재의 7층으로 조성한 탑이다. 이때 수정으로 만든 염주(念珠)와 여의주를 탑 속에 봉안하였다 한다. 조선은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음으로써 천여년간 국교로 자리잡고 있었던 불교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와 함께 불교와 관련된 조형 미술의 분야도 위축되지 않을 수 없었는데, 그나마 조선 전기에는 불교미술 분야에서 조성 양식이나 수법이 고려적인 작품이 다소 조성되었다. 낙산사7층석탑도 고려시대의 여운이 남아 있는 석탑 중 하나이다. 탑의 받침이 되는 기단부(基壇部)는 정사각형의 바닥돌 위로 밑돌을 놓았는데 윗면에 24잎의 연꽃무늬를 새겼다. 탑신부(塔身部)는 지붕돌과 몸돌을 1층으로 하여 7층을 이루고 있다. 각 층의 몸돌 아래로는 몸돌보다 넓고 두꺼운 괴임이 1단씩 있어 특징적이다. 지붕돌은 경사면이 평탄하며 네 귀퉁이의 들림이 잘 어우러져 전체적인 모양이 경쾌하다. 탑의 머리장식부에는 찰주를 중심으로 원나라의 라마탑(喇嘛塔)을 닮은 여러 장식들이 원형대로 보존되고 있어 또 다른 특징이 되고 있다. 고려시대의 양식을 이어 받고 있으나 전체의 조형이 더욱 간략화 되었다. 강릉 신복사지삼층석탑·월정사팔각구층석탑 등의 탑신부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