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가헌은 사육중 한명이 박팽년의 후손들이 모여사는 세거지인 묘골마을과 낮은 산을 경계로 하여 자리잡은 주택으로 11대손인 삼가헌 박성수가 1769년에 사랑채를 짓고 자신의 호인 '삼가헌'을 현판으로 걸었다. 삼가헌은 원래 초가였으나 19세기초에 안채와 사랑채를 현재의 모습을 지었다고 한다. 별당인 하엽정은 원래 서당으로 사용했던 것을 누마루를 붙여서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다. 삼가헌은 2009년 화재로 안채가 불타버렸다고 하며, 현재의 안채 건물은 최근에 다시 복원하였다고 한다. 삼가헌이 있는 마을은 주민이 많이 살지 않는 곳으로 사육신을 모신 서원이 낙빈서원이 있는 곳으로 낙동강에 수백m 정도 떨어진 곳에 낙동강 경치를 즐기기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달성 삼가헌은 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가 보이며, 안채는 사랑채를 거쳐서 출입할 수 있다. 안채와 사랑채는 트인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으며, 사랑채는 앞면 5칸의 'ㄱ'자형으로 구조로 넓은 대청마루와 온돌방, 마루방. 청지기방.작은 사랑이 배열되어 있다. 방마다 작은 골발과 사랑방의 수납공간이 매우 다양하게 분배되어 있다.
달성 삼가헌 사랑채. 앞면 5칸의 'ㄱ'형 건물로 왼편 2칸은 대청마루로 왼쪽 3칸은 온돌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랑채를 통하여 안채로 들어갈 수 있으며, 왼쪽편에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이 있다.
사랑채의 넓은 대청마루. 안채쪽으로도 마루방이 있어 상당히 넓어 보인다.
'삼가헌'이라는 당호가 대청마루에 걸려 있다.
달성 삼가헌
사랑채와 붙어 있는 초가를 얹은 작은 광. 땔감이나 연장등을 보관하고 있다.
서당으로 사용했던 건물에 누마를 붙여서 만든 별당건물인 하엽정. 연못에 연꽃이 만개해 있고, 연못주위에 배롱나무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수목을 잘 꾸며놓고 있다.
삼가헌 담장과 별당으로 출입하는 출입문.
문간채. 문간방이 있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삼가헌 대문과 담장
삼가헌 옆에 최근에 신축한 것으로 보이는 전통한옥
삼가헌이 있는 마을은 가구수가 많지 않으며, 들판 또한 그리 넓지 않다.
삼가헌 뒷편 사육신을 모신 서원인 낙빈서원. 구한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것을 강당건물만 복원하여 재실로 사용하고 있다.
삼가헌 인근 낙동강 풍경
달성 삼가헌, 달성군 하빈면 묘리 800
달성 삼가헌은 1769년 충정공 박팽년의 11대손인 삼가헌 박성수가 현재의 정침터에 지은 살림집이다. 이 건물은 처음에는 초가였으나 그의 아들인 박광석이 이를 헐고 1809년에 안채를, 18년 후에 새로 사랑채를 지었다. 1874년에는 박광석의 손자인 박규현이 파산서당으로 사용하던 건물에 누마루를 부설하여 별당채를 짓고 '하엽정'이라는 현판을 달았는데, 하엽정과 어우러져 운치를 더하는 연당 역시 이 때 만들어진 것이다. 사랑채의 당호인 삼가헌의 유래는 건물 내부 벽에 걸린 '상가헌기'에 기록되어 있는데, '삼가'란 천하와 국가를 바르게 할 수 있고, 벼슬과 녹봉을 사양할 수 있으며, 날카로운 칼날을 밟을 수 있다'는 뜻이다. <출처:달성군청>
'고택_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 학림리 최영덕씨 고가, 학동마을의 오래된 고택 (2) | 2011.08.27 |
---|---|
달성 묘골마을, 사육신 박팽년 후손들이 모여사는 전통마을 (2) | 2011.08.27 |
달성 도곡재, 사육신 박팽년 후손들이 모여사는 묘골마을 고택 (0) | 2011.08.24 |
달성 태고정 (보물 554호), 사육산 박팽년 종가에 있던 별당 건물 (0) | 2011.08.23 |
성주 경산리 성밖숲, 재앙을 막기 위해 조성된 오래된 숲 (0) | 201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