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향교는 제사공간인 대성전이 앞쪽에 있고,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뒷쪽에 위치한 전형적인 전묘후학의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나주 향교의 강학공간은 중앙에 강당이라고 할 수 있는 명륜당이 있고, 마당 동.서로 유생들의 기숙인 동무.서무가 배치되어 있으며, 향교를 관리하는 건물이 명륜당 동쪽편에 자리잡고 있다. 나주향교 명륜당과 기숙사인 동무.서무는 서울 성균관의 명륜당과 기숙사를 그대로 옮겨 놓은 것처럼 규모가 크다. 그래서 전국에서도 교육시설 규모로는 성균관 다음이라고 불릴 정도이다.
나주는 삼국시대 때부터 농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농업이 산업의 근간을 이루던 전근대 사회 동안 풍요를 누리던 지역이었고, 고려왕조부터 조선왕조까지 약 1,000년 동안 목(牧)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한 전라도의 대표적 큰 읍치이었으며, 현존하는 관아 건물과 향교 건물들이 그에 상당한 권위를 보여주고 있어 상당한 가치가 있음. 나주 관아는 신증동국여지승람, 금성읍지, 여지도, 나주목지도를 비롯한 고지도 등에서 위치와 건물 구성을 비교적 자세히 알 수 있으며. 객사 등의 발굴 성과와 옛 사료들을 토대로 조선시대 지방통치 중심지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할 때, 현존하는 관아 건물이 좌표축의 구실을 하는 중요한 가치가 있음. 나주 향교는 평지에 들어선 전묘후학의 배치형태를 띠고 있는 전형적인 예이며, 특히 보물 제394호로 지정되어 있는 대성전은 그 규모가 대단히 웅장할 뿐 아니라 양식, 격식이 뛰어나 조선후기 향교건축을 대표할 수 있어 건축학적 가치가 있음. 또한 나주향교는 조선시대 교육시설의 규모를 따지면 성균관 다음이라고까지 지칭될 정도로 규모가 클 뿐 아니라 교육과 제사의 고유기능을 간직하고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 <출처:문화재청>
'서원_향교_사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균관] 명륜당 마당 은행나무(천연기념물)와 고목들 (1) | 2010.09.19 |
---|---|
나주목 관아, 나주향교 대성전 (0) | 2010.09.19 |
강릉향교 (1) | 2010.09.19 |
파주향교, 고을 크기에 비해 규모가 작은 향교 (0) | 2010.09.19 |
인천향교, 인천도호부 청사와 함께 있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향교 (0) | 201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