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이집트여행 30

카이로 중심부 나일강변 풍경

나일강은 카이로 시민의 젖줄이자, 무더운 사막날씨 속에 살고 있는 카이로 시민들의 휴식공간입니다. 나일강은 수량이 워낙 풍부해서 그런지 우리나라 한강처럼 고수부지가 넓지 않습니다. 그래도 많은 시민들이 저녁이면 나일강변으로 나와 휴식을 취하고 데이트를 즐깁니다. 저녁 강변에서 데이트를 즐기는 사람들. 이 곳 강변공원에 출입할려면 입장료를 내야 합니다. 저녁무렵의 나일강변은 상당히 아름다운 풍경입니다. 앞에 보이는 건물은 카이로에서 제일 오래된 현대식 호텔인 나일 힐튼호텔이고 오른쪽편의 하얀 건물은 옛날 아랍연맹 본부 건물입니다. 나일강을 건너는 다리입니다. 벤치는 데이트를 즐기는 연인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이집트 사람들은 가족적이고 낭만적인 생활을 하는 것 처럼 보입니다. 카이로에도 중심부 나일강을 운행..

이집트(Egypt) 2010.08.30

이집트 덴데라 신전 (Dendera Temple), 사랑의 여신 하토르의 성지

덴데라 신전은 룩소르 북쪽 나일강변에 자리잡고 있다. 덴데라는 이집트 신화의 하늘과 번식의 여신인 하트로에 바쳐진 도시로서 상이집트에서도 매우 오래된 곳으로 고왕국 시대에 쿠푸왕도 이 도시를 단장했고, 신왕국 시대에 투트모시스3세도 이 곳을 단장했다고 한다. 지금의 신전은 프롤레마이오스 왕조시대에 건설을 시작해서 로마시대에 완성했다고 하며, 그런 까닭에 이곳에서는 그리스 풍의 건축물과 로마풍의 건축물도 함께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덴데라신전 탐방 1. 신전 들어가는 길 2. 신전 출입문 3. 신전 외관 4. 원기둥이 있는 홀 5. 제실들 6. 신전내 벽화들 7. 이층 테라스 덴데라 신전 위성사진(구글어스)입니다. 덴데라 신전의 중심인 하토르 여신의 신전입니다. 하토르 여신의 조각상이 있는 6개..

이집트(Egypt) 2010.05.30

이집트 덴데라 신전 (Dendera Temple), 이층 테라스

남쪽 계단을 통해서 이층 테라스로 오르게 되는데 오르는 길 양쪽 벽으로는 계단을 오르는 예배행렬이 묘사된 벽화들로 가득차 있다. 이 계단을 따라 오르면 이집트 신전으로서는 드물게 이층으로 올라가서 새로운 공간을 만나게 된다. 이 곳에서는 태양원반의 결합의식이 펼쳐졌다고 하며 이 곳 제실 천정에는 지금은 파리 루브르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천궁도(덴데라 황도대)가 있었다고 한다. 이층 테라스에 있는 상이집트의 상징인 독수리와 하이집트의 상징인 태양원반의 결합의식을 보여주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이층 테라스 벽면을 장식하고 있는 상형문자 기록들 이층테라스에 있는 제실. 이 곳 안쪽에 천궁도가 있었다고 한다. 오시리스의 부활의 장면을 보여주는 듯한 그림인데 이층 제실 내부에 있다. 이층 제실 내부. 이 곳에 천..

이집트(Egypt) 2010.05.30

이집트 덴데라 신전 (Dendera Temple), '성자중의 성자'와 제실들

덴데라 신전 내부에는 '성자 중의 성자'를 포함하여 많은 제실들이 있다. 각 제실들은 다름대로의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화려한 모습의 조명과 어울어진 제실 내부. 덴데라 신전 내부의 많은 제실들이 연결된 통로입니다. 제실 내부의 별도의 2층 공간에 제실이 있다. 덴데라 신전 내부의 제실에 그려진 벽화. 크게 보기

이집트(Egypt) 2010.05.30

이집트 덴데라 신전 (Dendera Temple), 내부 벽화들

덴데라 신전 내부에도 많은 벽화가 그려져 있다. 이 곳의 벽화는 그림의 내용이 다양하지는 않고 많이 알려진 신화의 내용이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내부 제실에 새겨진 부조벽화. 내용이 이전 것들이랑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비슷한 내용이 여러곳에 그려져 있다. 오시리스 신화와 관련된 내용으로 생각된다. 통로에 그려진 벽화. 미이라를 만드는 모습을 그린 벽화. 오시리스의 부활을 표현하는 그림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층으로 연결된 계단에 그려진 벽화. 크게 보기

이집트(Egypt) 2010.05.30

이집트 덴데라 신전 (Dendera Temple), 원기둥이 있는 홀

덴데라 신전의 첫번째 방도 대부분의 신전과 유사하게 거대한 원기둥이 있는 홀이다. 이 곳 원기둥은 하토르 여신을 위한 공간답게 원기둥 위쪽에 여신의 얼굴이 장식되어 있다. 원기둥이 있는 홀의 거대한 기둥들. 거대한 원기둥에 새겨진 각종 그림과 기록들 원기둥의 상단에는 하토르 여신의 얼굴이 조각되어 있다. 상이집트의 영관을 쓴 거대한 독수리들과 하이집트의 영관과 관계있는 태양 원반들 그림과 번갈아 나타나고 있다. 크게 보기

이집트(Egypt) 2010.05.30

이집트 덴데라 신전 (Dendera Temple) - 신전 입구, 외관

이집트 덴데라 신전의 외관은 입구에 6개의 하토르여신 얼굴이 있는 기둥이 있고, 현대의 중요기관의 건물들 처럼 보이는 건축물이다. 아마도 프롤레마이오스 왕조시절에 지은 건물답게 그리스 건축의 모습을 느낄 수 있는 건축물이다. 정면에서본 덴데라 신전의 외관. 하토르여신의 얼굴이 들어 있는 6개의 기둥과 막혀있는 외벽이 특징이다. 멀리 입구쪽에서 덴데라 신전의 전체적인 모습. 단일 건물로 되어 있지 않고 여러개의 건물들 함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전 정면으로 난 길에서 본 신전의 외관 신전 입구의 하토르여신의 얼굴이 있는 기둥. 입구 외벽의 부조벽화입니다. 덴데라 신전 안내표지판 크게 보기

이집트(Egypt) 2010.05.30

이집트 덴데라 신전 (Dendera Temple), 신전 입구 출입문 흔적

덴데라 신전의 출입문은 탑문인 것처럼 보기도 합니다만 정확한 설명이 없습니다. 특이하게도 출입문 부분만 형태가 남아 있다. 물론 최근에 복원 했는지 알 수는 업지만 출입문에 남아 있는 부조벽화는 완벽한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 덴데라 신전의 출입문. 탑문 같기도 한데 정확한 설명은 없어서.... 신전 안쪽에서 본 신전 출입문 탑문에 새겨진 부조벽화. 이시스여신, 오시리스신, 호루스신이 등장하는 전형적인 부조벽화이다. 앞에는 목이 없는 스핑크스 등 여러 유물들이 있다. 비슷한 그림같은데 일부가 훼손되어 있다. 통로 안쪽에서 볼 수 있는 그림 이집트 신전에 빠질 수 없는 이시스여신의 날개 장식 크게 보기

이집트(Egypt) 2010.05.30

이집트 덴데라 신전 (Dendera Temple), 들어가는 길

덴데라 신전은 하늘과 번식의 여신인 하트로에게 바쳐진 신전이다. 이 신전은 프롤레마이스 왕조시절 건설하기 시작하여 로마시대에 완성된 신전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구푸왕 시절부터 이 곳의 토대는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고대의 유적들이 이곳 주변에 남아 있고 2,000년 이상의 세월에 걸쳐서 형성된 지역이다. 덴데라 신전으로 들어가는 길. 주변의 넓은 지역에 많은 유적들이 남아 있다. 정면에서 본 덴데라 신전 덴다라 신전으로 들어가는 길에 있는 유적들. 덴데라는 오랜 세월에 걸쳐서 중요한 기능을 해왔던 도시답게 많은 유적들이 남아 있다. 그리스 양식으로 보이는 신전 유적. 아마도 프롤레마이오스 왕조 시절 건축한 유적으로 보인다. 벽돌로 쌓아 올린 건축물 유적 안내표지판 크게 보기

이집트(Egypt) 2010.05.30

이집트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 이시스 여신에게 바쳐진 신전

이집트 아스완 여행의 주요 패키지중의 하나로 대부분 아침에 아부심벨을 관람한 후 오후에 방문하게되는 곳이 아스완 로우댐으로 조성된 호수 위 작은 섬 아킬리아에 있는 곳이 필레신전이다. 이곳이 필레신전이라 불리는 이유는 원래 이 신전이 자리잡고 있는 곳이 필레섬이고 그 섬은 댐건설로 수몰되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진 것이다. 필레신전은 후대 이집트에서 오시리스, 호루스 신과 함께 중요한 의미와 숭배를 받고 있는 이시스 여신을 위한 신전이다. 이시스 여신의 신비로운 분위기에 맞게 이 신전은 예나 지금이나 나일강 가운데 작은 섬에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이 신전은 종교적 색채를 많이 가지고 있는 신전이고 고대 이집트에서 건설한 신전은 아니고 후대에 그리스에서 이주한 플로레마이오스왕조 시대에 건설된 헬레니즘의 영..

이집트(Egypt) 2010.05.26

[대영박물관] 고대 그리스 리키아(Lycians) 파야바 석관(The tomb of Payava)

가장 유명하고 전형적인 리키아 무덤 양식으로 통모양의 석관 형태인 파야바 석관입니다. 석재를 이용해서 목조 구조물처럼 만들었습니다. 주위에는 화려한 부조 조각으로 장식을 하고 있습니다. 리키아는 터어키의 서남부 해안에서 고대 그리스 시기 동안에 독립적으로 국가를 유지해 오던 지역입니다. 장식된 부조 조각상을 보면 그리스와 페르시아의 문화가 융합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입니다. 터어키 해안지방 산토스에서 발견된 유물로 그리스 시대에 번성했던 리키아를 대표하는 유물입니다. 목조건축 양식을 본떠서 석재로 만든 무덤입니다. 파야바 석관 전면부에 새겨진 섬세한 부조 조각입니다. 파야바 석관의 중간에 위치한 부분은 장식이 없고 아주 간결하게 만들어졌습니다. 목조 건축의 양식을 이용했다고 볼 수 있는 부분 입니..

해외 박물관 2010.01.23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이시스 신전의 원기둥이 있는 홀과 신상 봉안소

필레 이시스신전의 핵심 영역인 원기둥이 있는 홀과 신상봉안소이다. 내부는 어두운 편이고 아마 룩소르나 카르나크 신전에도 지붕이 아직 온전하다면 이런 모습일 것 이다. 내부에는 원기둥들이 있고 여러개의 제실들과 많은 부조벽화들이 있다. 필레 이시스신전의 핵심부분인 신상봉안소. 대부분의 신상봉안소와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신상봉안소를 들어가는 길 신상봉안소의 여러 제실 중의 하나입니다. 오시리스 신의 모습을 그린 부조벽화 이시스 여신이 부활의 상징인 앙크의 십자가를 오시리스 신의 입으로 넣는 장면. 부활의 의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면이다. 파라오가 이시스여신에게 봉헌물을 바치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한손에 앙크의 십자가를 들고 있는 것으로 봐서, 파라오나 호루스신이어야 되는데 아마 이시스여신..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이시스신전 큰 안뜰과 제2탑문

필레 이시스 신전의 본당이라고 할 수 있는 신전 건물의 입구 역할을 하는 것이 제2탑문이다. 필레신전은 이전에 지어졌던 룩소르 신전이나 카르나크 신전에 비해 규모는 크지 않은데 비해 비교적 세밀함을 보여주고 있다. 제2탑문을 들어서면 원기둥들과 거룩한 성소가 자리잡고 있다. 제2탑문. 여기에는 이시스여신과 그의 아들인 호루스(유아)신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른쪽 편에는 이시스여신과 오시리스신이 등장하고 있다. 이 부조벽화의 그림을 쪼아서 훼손시켜 놓고 있는데, 비잔틴 시절 기독교인들 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제2탑문의 전체적인 모습. 왼편으로 하토르의 기둥들이 떠 받들고 있는 마미시가 보인다. 하토르의 기둥들이 떠받들고 있는 호루스신이 태어났다고 알려진 마미시이다. 하프를 연주하는 모습을 그린 벽화 마미시..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마미시 ('아들신'의 탄생 신전)

필레의 이시스신전 제1탑문 좌측의 작은 통로를 통해서 들어가면 이시스가 호루스를 낳은 곳이라고 알려진 마미시에 들어가게 된다. 그 안에는 여러 종교적인 부조벽화들이 있고 입구 천정에는 우리에 앰블럼 등으로 많이 알려진 독수리 들이 그려진 것이 인상적이다. 입구 천장에 그려진 독수리상. 이 그림은 로마시대의 독수리부터 시작하여 중세 기사들의 문장, 미국 여러기관의 문장, 독일 나찌가 애용했던 문장, 그리고 수많은 기업 앰블럼에 사용되는 그림이다. 내부에 새겨진 부조벽화. 크놈신이 아기의 '카'를 만드는 장면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오시리스 신이 이시스 여신에게 뭔가를 주고 있늠 모습을 그린 부조벽화 내부 천정에 있는 독수리를 그린 부조. 옆에는 하토르의 기둥이 보이는데 헬레니즘 양식인 코린트식 기..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제1탑문

필레신전에서 실질적인 이시스신전의 입구 역할을 하는 제1탑문이다. 카라나크 신전 이후 보여주는 전형적인 이집트 신전의 양식을 그대로 계승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필레신전이 헬레니즘 시대에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카르나크나 룩소르 신전에서 만들어진 신전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입구와 벽면에 많은 신화 내용을 보여주는 부조 벽화가 많아졌다는 것이 약간 발전된 모습이다. 필레신전 선착장에서 주랑들이 있는 광장에 들어서면 볼 수 있는 필레신전의 제1탑문. 제1탑문부터 사실상 이시스신전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제1탑문 위쪽의 부조 벽화. 오시리스신과 머리에 뿔 장식을 한 이시스 여신이 옥좌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후대에 세워진 신전이라서 그런지 뿔장식이 원래의 이시스 여신의 뿔 장식이 아니라 하토로 여..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Philea Temple)] 신전 앞 주랑(회랑)의 벽화들

필레신전 앞 주랑 안쪽 벽을 장식하고 있는 벽화들이다. 필레신전에 그려진 벽화 그림들은 신왕국 시절 신전인 카르나크 신전에 비해 현대의 그림들과 비슷해지는 경향이 있다. 파를레마이오스왕조 시대에 만든 벽화로 그리스 그림의 특징들이 많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필레신전 제1탑문 앞 회랑 기둥 안쪽 벽면에는 부조형태로 벽화가 그려져 있다. 이시스여신과 오시리스신, 호루스신과 파라오의 관계를 그림과 글로써 설명하고 있는 듯 하다. 부조벽화 그림들이 이전의 카르나크나 룩소르 신전보다도 좀더 세련되어 졌지만, 카르나크 신전이 건설되던 람세스2세와 플롤레마이오스 왕조 간에는 세대가 천년 가까이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된 모습이 많지 않다는 점을 느낄 수 있다. 오시리스신, 이시스여신, 호루스신이 등장하..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신전 앞 회랑의 기둥과 천정의 부조들

필레신전의 제1탑문 앞 주랑의 기둥들과 천정에 그려져 있는 부조들이다. 그림은 그리스 왕조인 프롤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그린 그림들이라 그리스 풍으로 그려져 있다. 신왕국시절의 신전인 룩소르나 카르나크 신전의 경우 파피루스 모양을 본떠서 기둥을 장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이 신전은 헬레니즘 신전 양식인 코린트양식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이집트 룩소르의 신전 양식을 사용한 것 같은데 헬레니즘적인 요소가 많은 신전이다. 이 곳 회랑은 신왕국시절에 세워진 신전에는 없는 구조로 보이며, 현재 불국사의 경내 회랑, 경복궁, 자금성 등 동양 궁궐의 법전 주위에 이런 회랑이 형성되어 있다. 필레신전 탑문 앞에 있는 원기둥이 있는 주랑(회랑)은 기둥과 벽, 천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회랑의 각 벽면과..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신전 앞 원기둥이 들어선 주랑

필레신전의 정문 격인 제1탑문을 들어서기 전에 만날 수 있는 것은 지금도 바티칸 성당, 불국사, 경복궁 등 많은 건물에서 볼 수 있는 기본적인 구조인 전형적인 회랑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필레신전이 헬레니즘 문화의 전성기를 이룬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시대에 세워진 신전답게 고대 이집트 신왕국의 신전과는 달리 정형화되어 있다는 느낌과 그리스 건축물을 연상시킨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이 곳의 기둥에는 많은 그림과 기록들이 적혀 있다. 정면에는 필레신전의 제1탑문이 자리하고 있고, 양쪽으로 기둥들이 있는 회랑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운데는 행사를 위해선 광장 형태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 신전은 후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때 세워진 신전이라 그런지 입굿의 숫양 스핑크스 등 많은 부분이 기존의 카르나크 신전..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넥타네보1세의 닫집

배를 타고 도착하게 되면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건물이자 유적은 넥타네보1세의 닫집이라고 한다. (사실은 신전에 찾아 갔을 때는 알지 못했지만 책에 그렇게 적혀있어서 알게된 내용임.) 아마 예전에 선착장 입구에 있으면서, 방문객이 제일 먼저 찾는 곳이 아닐까 생각된다. 입구쪽에 있는 작은 독립된 건물의 흔적이 넥타네보1세의 닫집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니까 여행을 가면 안내판을 열심히 읽어야 제대로 된 내용을 알 수 있는 것 같다. 닫집: 기둥에 의해 지지되며 특히 독립구조로 주변의 벽과 분리되어 있을 때는 더욱 그러하다. 이 용어는 스페인어 baldaquin에서 유래된 것으로 '정성스럽게 수를 놓은 비단재료'를 뜻하는데, 바그다드에서 수입되어 제단이나 문간 위에 캐노피처럼 매달려 있었다. 훗날 닫집이 ..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ae Temple)] 신전으로 들어가는 뱃길

아스완에 자리잡고 있는 필레신전은 아스완 로우댐으로 조성된 호수 내의 작은 섬에 자리잡고 있는 이시스(Isis)신을 모신고 있는 신전이다. 필레 신전은 원래 이름이 이시스(Isis)신전이었으나, 필레 신전에 자리잡고 있다해서 필레신전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필레신전이 자리잡고 있는 섬은 필레섬이 아니라 아스완 로우댐의 건설로 필레섬이 수몰되자 근처의 좀 더 높은 아길리카 섬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예부터 필레신전에 가기 위해서는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하며 지금도 그것은 변하지 않고 있다. 이집트 아스완하이댐 아래에 있는 필레신전은 이시스여신을 위한 신전으로 원래 위치인 필레섬에서 이 곳 아길리카 섬으로 옮겨왔다고 한다. 아부심벨과 함께 유전 복원기술의 집결체라 할 수 있다. 필레신전이 있는 섬에..

이집트(Egypt) 2010.01.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