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사 극락전 서쪽편에 위치한 탑비로 통일신라시대 고승 선각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탑비이다. 고려초 광종이 '선각'이라는 시호를 내렸다고 한다. 이 탑비는 비받침돌, 몸돌, 머리돌이 온전하게 남아 있으며, 당시에 세워진 탑비 중에서 큰 편은 아니지만, 받침돌의 조각이 사실적이고 생동감있게 만들었다.
무위사 선각대서편광탑비.
탑의 받침돌. 몸은 거북이고,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형상이다.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형상을 한 받침돌 머리.
탑비에는 고려초 문장가 최언위가 비문을 지었다고 한다.
탑비의 머리돌.
여러 방향에서 본 선각대사편광탑비.
무위사는 전라남도 강진의 월출산 동남쪽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의 명승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라 하였고, 명종 5년(1550) 태감(太甘)이 4번째로 세우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선각대사편광영탑과 나란히 서있는 이 탑비는 선각대사 형미(逈微)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고려 정종 원년(946)에 건립되었다. 선각대사는 신라 말의 명승으로, 당나라에 건너가서 14년만에 돌아와 무위사에 8년간 머물렀다. 고려 태조 원년(918)에 54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가 ‘선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이름을 ‘편광탑’이라 하였다. 이 비는 대사가 입적한 지 28년만에 세워진 것이다. 비는 비받침과 비몸돌, 머릿돌을 모두 갖춘 완전한 모습이다. 비받침은 몸은 거북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형상으로 사나워 보이며 사실성이 뚜렷하다. 중앙에 마련되어 비를 직접 받치고 있는 비좌(碑座)에는 구름무늬와 둥근형태의 조각을 새겼다. 비몸에는 선각대사에 관한 기록과, 최언위가 비문을 짓고 유훈율이 해서로 썼다는 기록이 있다. 머릿돌은 밑면에 연꽃무늬를 새긴 3단의 받침이 있다. 중앙에는 비의 이름을 새겼던 네모진 공간이 있으나 마멸되어 글씨를 알아볼 수 없고, 그 주위로 구름속 용의 모습을 조각하였는데 이는 죽은 사람의 영혼이 천상세계로 가기를 기원하는 의미이다. 각 부의 조각수법이 같은 시대의 다른 석비에 비해 사실적이며, 조각예술로서의 우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녕 송현동석불좌상, 통일신라시대 석불 (0) | 2010.03.04 |
---|---|
[강진 백련사] 백련사사적비, 고려시대 받침돌에 올려진 조선시대 비석 (0) | 2010.02.27 |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과 당간지주 (0) | 2010.02.26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고려 문인 이규보가 비문을 지은 비석 (0) | 2010.02.25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보물 298호), 백제 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석탑 (0) | 201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