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중앙박물관

[중앙박물관 특별전] "문자, 그 이후: 한국고대문자전", 삼국시대 글자가 새겨진 토기와 기와

younghwan 2011. 11. 18. 16:36
반응형


삼국시대 사람들이 문자를 사용했던 흔적들은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돌에 글을 새긴 비석일 것이다. 비석에서는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 후대에 만들어진 역사서 등을 통해서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반면에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한 문자는 화물이나 물건의 꼬리표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던 목간이나 그릇, 건축에 사용한 벽돌이나 기와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기와나 토기는 전국적으로 많이 발견되는편인데, 주로 제작연도나 제작자, 제작경위 등이 기록되어 있어 당시 사람들이 살았던 모습을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이런 유물들 중 지명이나 마을이름 등이 적혀 있는 것에서 당시 이런 물건들을 만들었던 사람들의 집단이나 물건의 유통경로 등을 알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글자가 새겨진 토기나 기와는 고구려 집안, 가야, 발해, 백제, 신라와 통일신라에 걸쳐서 다양한 지역에 출토된 것들이 있으며, 일본과 비교를 위해서 일본의 것도 같이 전시하고 있어, 당시 사람들의 문자생활을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글자새김 벽돌, 고구려 집안


'상찬간'이라 쓴 뚜껑굽다리접시(영남지방), '대간'새김 굽다리접시(창녕), '세택'이라 쓴 굽대접(경주 안압지)


'하부사리리'새김 토기, 6세기 가야, 합천


'대왕'새김 뚜껑단지, 가야, 합천


먹글씨가 씌여진 토기뚜껑조각(경주 안압지), '현기촌'새김 토기(서울 사당동)

서울 사당동 가마터에서 발견된 토기이다. '현기촌 하지'라 씌여 있는데, 하지는 토기를 만드는 사람이다. '그릇마을'이라는 문구로 보아 그릇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마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관내용'새김 토기조각, 백제, 나주


지명을 쓴 기와,

해구는 이성산성에서 발원하여 한강으로 빠지는 서울 고덕동의 '개내'를 일컫는다. 이 기와는 <지명 + 受 + 해구초>로 씌여 있는데, "어디에서 맡아 제작한 개내기와"란 뜻이다. 이와 같은 기와는 포천, 하남, 서울 고덕동 등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기와에 새겨진 지명들은 개성, 인천, 과천, 양주 등으로 통일신라의 한산주 지역에 해당한다. 이 시기 주를 중심으로 기와제작과 물류를 짐작케 한다. <출처:중앙박물관>


'4말5되'새김 토기, 경주 안압지


'일근' 새김 거푸집(부여),'병이두'새김 토기조각(경주)


'계문작_'새김토기, 부여. 이 토기에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 백제에서 만든 한자가 새겨져 있다. 


'소상'새김토기, 부여


'조로2년'새김 보상화무늬전돌, 680년, 경주 안압지


'만정지사'새김 수막새, 경주


무령왕릉명문벽돌, '양관외위사의'새김 벽돌, 공주


'남방동간'새김 기와, 경주 사천왕사지


'루와'새김 치미조각, 경주 사천왕사지


'재성'새김 수막새, 경주 월성


새김기와, 일본 동경


글자새김 암키와조각(발해), '천주'새김 암키와 조각,'남궁지인'새김 수키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