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밀양 표충사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호국불교와 연관이 많은 곳이다. 표충사란 이름 자체가 사명대사를 모신 유교 사당이었던 표충사에서 유래했고 상당한 기간 동안 불교의 중심전인 대광전과 지금은 팔상전으로 바뀐 유교 서원인 표충서원이 나란히 있어 왔다. 사찰 규모가 크거나 웅장한 편은 아니지만 불보 사찰인 양산 통도사의 말사였던 관계로 경내의 정원이 잘 꾸며져 있다.영남 알프스 중의 하나인 재약산 아래에 자리 잡은 표충사는 맑고 깊은 계곡속에 있고, 맑은 계곡물이 사찰 옆으로 흐르고 있다.
1. 표충사 중심불전인 대광전과 표충서원 사당이었던 팔상전
2. 표충사 명부전과 관음전
3. 표충사 만일루, 범종루, 누각
4. 표충사 삼층석탑(보물), 석등
5. 표충서원
6. 표충사 사천왕문
7. 표충사 일주문, 들어가는 길
8. 표충사 계곡
표충사(表忠寺)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에 있는 사찰이다. 654년(태종무열왕 1)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죽림사(竹林寺)라 하였다. 1286년(고려 충렬왕 12)에는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一然) 국사가 1,000여 명의 승려를 모아 불법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1839년(조선 헌종 3) 사명대사의 법손(法孫)인 월파선사(月坡禪師)가 사명대사의 고향인 무안면에 그의 충혼을 기리기 위해 세워져 있던 표충사(表忠祠)를 이곳으로 옮기고 절 이름도 표충사라 고쳐 부르게 되었다. <출처:위키백과>
반응형
'전국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 계조암] 흔들바위와 함께 있는 작은 암자 (0) | 2010.09.12 |
---|---|
[인제 설악산 백담사] 내설악에 자리한, 만해 한용운 선생이 수행했던 사찰 (0) | 2010.09.12 |
하동 삼신산(지리산) 쌍계사, 한국 불교음악(범패)을 이끌어 온 사찰 (0) | 2010.09.12 |
서울 북한산 문수사(文殊寺) (0) | 2010.09.12 |
양평 용문산 용문사 (0) | 2010.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