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산 김기현 가옥은 조선후기 정조대왕 관련하여 유명해진 정순왕후의 생가와 바로 붙어있는 저택이다. 정순왕후 생가는 화재로 소실되어 새로 건립한 까닭의 문화재로 가치가 높지 않은 반면, 생가와 이웃하고 있는 이 저택은 19세기에 지은 건물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주인이 대문을 열어 방문하는 사람을 반겨주는 듯한 느낌이다. 우리나라 각처에 있는 복원한 고택과는 달리 이런 저택들은 사람이 살고 있어 저택이 살아 있다는 느낌을 준다.
서산 김기현 가옥의 사랑채. 경북 안동지역의 사랑채와는 확실한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사랑채에는 '계암당(溪巖黨)'이라는 편액을 걸어놓고 있다.
사랑채에는 대청마루가 없는 대신 처마처럼 지붕만 있는 공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김기현 가옥 안채로 들어가는 출입문.
창고와 방이 있는 행랑채
행랑채 굴뚝
안채로 들어가는 출입문 옆에 있는 행랑채
김기현 가옥 출입문. 지붕이 있는 솟을대문처럼 보이는데 일반적인 솟을대문과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김기현 가옥'이라는 명칭에서 역사적인 인물처럼 생각했었는데, 현재 이 저택 주인 이름이 '김기현'이었다.
외부에서 본 서산 김기현 가옥
이 가옥이 세워진 건축연대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건립 당시의 모습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안채와 사랑채의 건축양식으로 볼 때 19세기 중반으로 추정된다. 600년 전부터 이곳 한다리에 경주김씨가 터전을 잡아 살았다는 고증에 의하면 그동안 타성씨로 소유권이 변경된 적도 있었으나 김기현의 선조가 건축한 것으로 전해오는 건축물이다. 안채와 사랑채는 1층 기단을 마련하여 그 위에 가공하지 않은 주춧돌을 놓고 기둥을 세운 후 홑처마 팔작지붕을 얹은 기와집이다. 'ㅡ'자형의 행랑채 뒷편에 동한한 '日'자형의 안채와 남항한 'ㅣ'자형의 사랑채가 있다. 이 집은 햇볕을 감안하여 배채한 안채의 남도식 평면구성이 특이하다. <출처: 서산시청>
정조대왕과 관련하여 유명해진 정순왕후 생가. 서산 김기현 가옥과 바로 붙어 있는 저택으로 한때 화재로 소실되어 건물자체로는 가치가 높지는 않고, 역사적인 의미만 있는 저택이다.
반응형
'고택_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 토지 무대, 하동 평사리 최참판댁 별당과 안채 (0) | 2010.09.11 |
---|---|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 섬진강변 하동 평사리 최참판댁 - 입구, 행랑채 (0) | 2010.09.11 |
판소리를 집대성한 신재효 고택(古宅), 고창읍성(高敞邑城) 입구 (1) | 2010.09.11 |
강진 영랑생가, '모란이 피기까지는' 시인 영랑 김윤식 선생 생가 (1) | 2010.09.11 |
녹우당 사랑채, 고산 윤선도 선생이 살았던 해남 윤씨 고택 (1) | 2010.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