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무량사는 부여군 서쪽편에 위치한 만수산에 있는 오래된 사찰로서 조선 세조때 생육신의 한 사람이자 당대의 천재로 유명했던 매월당 김시습이 만년을 보냈던 곳이기도 한다. 조선시대 행정구역 상으로는 이 곳이 홍산현이었기때문에 홍산 무량사로 많이 알려져 있던 곳이다. 무량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사찰이지만 대부분의 전각들은 임진왜란때 불타버렸다고 하며, 현재의 전각들은 그 이후에 중건된 것들이라고 한다. 김시습이 만년을 보낸 사찰이라서 후대의 유생들에 의해서 우대를 받아서 그런지 무량사 중불전인 극락전은 조선시대에 세워진 많은 사찰들의 전각들 중에서도 규모가 큰 편에 속하며, 그 모습도 삼국시대 금당인 장륙전의 모습을 하고 있다.
무량사는 주불전이 크기는 하지만, 승려들이 수양을 하는 수도 도량으로서의 역할은 그리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이 지역에서는 깊은 산중에 속하는 만수산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곳에서 숙박을 원하는 신도들 또한 많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무량사에는 주불전인 극락전을 제외하고는 불전의 규모가 크지는 않고, 승려들이 머무는 공간인 요사채 또한 극락전 옆에 있는 건물을 제외하고는 내력이 있거나 규모가 큰 건물이 보이지는 않는다. 이는 불교에서 차지하는 무량사의 위상이 그리 높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무량사 주불전인 극락전 서쪽편에 위치한 요사채 건물. 앞면이 6칸으로 되어 있으며, 유리를 창호에 사용한 것으로 볼 때 일제강점기나 그 이후에 세워진 건물이 아닐까 생각된다.
요사채 건물 기둥에 걸린 주련
뒷편에서 본 요사채 건물
무량사 극락전 뒷편 한적한 곳에는 삼성각과 맞배지방을 한 한옥 사랑채의 모습을 한 작은 요사채 건물을 볼 수 있다.
이 건물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사찰에 장기간 머무는 신도들을 위한 공간이 아닌가 생각된다.
부여 무량사와는 불가분의 관계인 매월당 김시습의 초상화를 모시는 전작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불전이나 요사채가 아니라서 별도의 이름을 부여하지는 않고 있다.
이 건물에 모셔진 매월당 김시습 초상화.
'김시습 초상'은 좌안7분면의 복부까지 내려오는 반신상으로, 밀화영의 끈이 달린 평량자형의 입을 쓰고 담홍색 포를 입고 있으며 공수자세를 취하고 있다. 얼굴과 의복은 옅은 살구색과 그보다 약간 짙은 색상의 미묘하고 절제된 조화로 묘사되 있다. 양미간을 찌푸리고 있는 표정은 '찌푸린 눈썹에 우수 띤 얼굴이라'고 묘사했던 서유영(19세기)의 배관기와 상통하는데, 눈의 총기가 생생하다. 매월당 김시습의 초상화라는 인물사적 가치 위에 조선시대 야복초상화의 가작이란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출처:문화재청>
사찰경내에는 평이하게 보이는 요사채 건물을 볼 수 있다.
사찰 경내 동쪽편에 있는 범종각.
이 범종은 최근에 만든 것으로 보이며, 전통적인 범종의 형태를 잘 구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범종에 새겨진 비천상
'불교건축(불전_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800호)과 명부전 (0) | 2011.04.24 |
---|---|
[공주 마곡사] 천왕문과 해탈문 (0) | 2011.04.23 |
양양 낙산사 불전과 요사채들 (2) | 2011.02.06 |
부여 무량사 불전들 (1) | 2011.02.05 |
양양 낙산사 홍련암, 동해안 바닷가 작은 암자 (3) | 2011.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