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택_정원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과 전통정원

younghwan 2011. 7. 13. 16:15
반응형


서울 중구 필동 남산골 공원에 있는 남산골한옥마을이다. 원래 이곳에는 수도방위사령부가 있었던 자리로 1989년 서울시와 수방사가 합의하여 그 부지에 서울시에 있었던 한옥 5채를 이전 복원하여 1998년에 공식개장하였다고 한다. 이 지역은 조선시대에는 계곡과 정자들이 있어서 여름철 피서를 겸한 놀이터로 이름이 있던 곳으로 한옥마을 조성과 함께 전통 공원을 조성하여 서울 도심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남산골 한옥마을 남쪽편 언덕에는 서울이 우리나라의 수도가 된지 600년을 기념하기 위해 타임캡슐을 묻어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남산골 한옥마을에는 서울 시내에 산재해 있던 '관훈동 민씨가옥', '옥인동 윤씨가옥',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 가옥',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 가옥'의 전통 한옥 5동이 옮겨져 있는데, 친일파 인사들이 살았던 저택도 포함되어 있다. 그 중 관훈동 민씨가옥은 원래 구한말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으로 알려졌으나, 대표적인 친일파로 휘문고와 풍문여고 설립자이자 일제강점기에 재벌로 통했던 민영휘의 가옥인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옥인동 윤씨가옥 또한 조선 마지막 왕비인 '숭정효황후 윤씨'의 친가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친일파 윤덕영의 별장건물이었다고 한다.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그러진 우리 사회이 모습을 보여주는 현장으로 그들이 일제에 협력하면서 치부했던 모습을 그대로 잘 보여주고 있는 역사의 현장이라고도 할 수 있다.


남산골 한옥마을은 원래 수도방위사령부가 있던 자리에 서울시내에 있던 5동의 한옥을 옮기면서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도심공원으로 변모하였다.


남산한옥골은 서울의 오래된 구도심이자 영화거리인 충무로와 마주보고 있는 곳에 자리잡고 있어서 도심에서의 접근성이 아주 좋은 편이다.


남산골 한옥마을의 건물 배치. 동쪽편에는 전통한옥을 옮겨 놓고 있으며, 서쪽편에는 전통 정원, 남쪽편에는 남산국악당과 서울타임캡슐이 자리잡고 있다.


남산골 한옥마을 들어오는 길


남산골 한옥마을에 들어서면 처음 볼 수 있는 우리나라 전통 정원이다. 궁궐 연못과 누대를 재현해 놓고 있다.


연못가에 있는 누대는 관아에서 주로 연회를 개최할 목적으로 건설했던 누대를 복원한 모습이다. 경복궁 경회루가 대표적인 누대이다.


연못 가운에 작은 섬을 만들어 놓고 있다.




누대 앞 마당에는 짚으로 전통공예품을 만드는 모습을 관람객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한옥마을 동쪽편 언덕에는 서울 시내에 산재해 있던 전통 한옥을 옮겨 놓고 있다. 주로 구한말에 지어진 권문세가의 저택으로 실제 양반들이 살았던 한옥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모습이다.


한옥들이 복원되어 있는 동쪽편 마당에는 각종 전통공연과 놀이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마당에는 마련된 각종 전통 놀이


윷놀이 판


투호


마당 한 가운데 행사를 위해서 준비해둔 솥과 아궁이

1. 관훈동 민씨가옥.


 이 가옥은 이 곳에 옮겨진 한옥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치부를 한 대표적인 친일파 민영휘의 가옥이다. 원래는 '부마도위 박영호 가옥'으로 잘 못 알려져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민영휘는 명성황후의 먼친척으로 구한말 대표적인 탐관오리로 임오군란 때 그의 집이 부서지고, 갑오경장때에는 대표적인 탐관오리로 유배형을 받기도 한 인물이며, 휘문고등학교와 풍문여고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지금 이곳에는 안채, 사랑채, 별채가 옮겨져 있는데 실제로는 더 많은 건물들이 있었다고 한다. 구한말에 지어져서 그런지 유교법도를 무시하고 궁궐에 준하는 규모로 건물들의 지어놓고 있다. 안채의 대청마루는 궁궐 전각보다도 더 넓어 보인다.


아마도 당대 최고의 저택이 아니었을까 생가된다. 안채의 안방과 건넌방가 사이가 상당히 멀게 느껴진다.


안방 또한 일반 대저택에서도 보기 힘든 구조를 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건물 구조는 궁궐 건물을 참고하여 지은 것으로 생각된다.


안채 뒷편에 있는 별채는 가운데 대청마루에 양쪽에 방을 두고 있는 아늑하게 꾸며진 건물이다.


사랑채는 안채와 담으로 분리되어 있어며, 안채에 비해서는 작지만 상당히 고급스럽게 지어진 건물이다. 원래의 건물은 없어지고 새로 복원한 건물이라고 한다.


누마루를 두고 있는 전형적인 구한말 사랑채 건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

2. 옥인동 윤씨가옥


옥인동 윤씨 가옥은 조선의 마지막 왕비인 '순정효황후 윤씨 친가'로 알려졌으나 황후의 일가인 친일파 윤덕영이 지인 별장 건물이라고 한다. 이 집은 윤덕영이 첩을 위해서 지은 건물로 전체적으로 'ㅁ'자형으로 건물을 배치했으며 다른 양반 가옥과는 달리 폐쇄적인 느낌을 주는 한옥이다. 외부에서 보기에는 그리 화려해 보이지는 않으나 내부는 상당히 넓은 편이며, 궁궐 건물을 참조하아 지은 화려한 저택이다.


'ㅁ'자형으로 건물이 배치된 안채 중심의 가옥으로 중앙에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방을 여럿 두고 있다. 일반 양반가옥이지만 전체적으로 궁궐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는 가옥이다.


통로인 마루에는 구한말 한옥에서 유행했던 난간을 설치해 놓고 있다.


일반 한옥과는 달리 문간방이 있어야 할 위치에 큰 방을 두고 사랑방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집 대문에서 내려다 보이는 남산골 한옥마을 입구

3.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제기동에 있는 순종의 장인인 해풍부원군 윤택영이 1906년에 지은 재실이라고 한다. 이 재실은 주로 순종이 제사를 지낼 때 사용했던 재실이라고 하는데, 아마도 근처에 있었던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에 행차할 때 잠시 들러서 머물렀던 곳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재실을 지은 윤택영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 채무왕으로 악명이 높았던 인물로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우리 사회의 난맥상을 잘 보여주는 인물이다.


재실 안채는 여인들이 주로 머물렀던 공간으로 일반적인 한옥과는 약간 다른 'ㄷ'자형의 건물 배치를 하고 있다.


안채의 안방


건물 뒷편에는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사당을 두고 있는데 앞면 4칸으로 일반적인 양반 저택의 사당과는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사당내부


사랑채 또한 'ㄷ'자형의 건물배치를 하고 있으며, 크고 화려한 누마루를 두고 있다.

4.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 가옥


이 가옥은 경복궁 중건 공사에 참여했던 당대 최고의 목수가 지은 저택으로 실제로는 구한말 경주이씨 집에서 거주했던 대표적인 양반가옥이라 할 수 있다. 구한말 최고의 건축가가 지은 한옥으로서 의의가 있는 저택으로 생각된다. 이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물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단정한 느낌을 주는 한옥이다.


이 가옥은 가족의 생활공간인 안채를 중심으로 지어졌다. 안채는 방의 갯수는 많지 않지만 격조있으면서 실용적으로 잘 지어진 건물이다.


앞면 3칸으로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방을 두고 있는 사랑채

5.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 가옥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가장 규모가 작아 보이는 가옥으로 원래는 삼청동에 있었다고 한다. 이 저택은 사랑채, 안채, 문간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채로 들어가는 출입문과 사랑채로 들어가는 출입문이 따로 있다. 일반적인 한옥과는 달리 도시의 지형에 잘 적응하여 건물을 배치하고 있다. 구한말 도시화에 잘 적응한 한옥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ㄱ'장으로 건물이 배치된 안채는 전형적인 양반 가옥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안채 대청마루


문간채와 붙어 있는 사랑채는 건물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안채와는 분리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한옥마을을 조금 지나서 올라가면 초가를 얹은 작은 정자가 있다.


정자를 지나서 조금더 올라가면 서울 정도 600년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타임캡슐을 묻은 자리가 보인다.



타임캡슐을 묻은 자리로 들어가는 출입문


타임캡슐을 묻은 자리를 기념하는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조형물에는 서울을 중심으로 여러 도시들을 새겨 놓고 있다.


남산골 한옥마을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한 정자


이 정자는 망북루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 육모정자이다.


정자에서 내려오는 길


작은 연못과 초가를 얹어 놓은 정자


남산골 한옥마을 입구 주변에 있는 연못과 정자


남산골 한옥마을에 있는 남산국악당


국악당은 최근에 지어진 현대식 건물이라 할 수 있다.

국악당 내부의 건물



남산골 전통정원 안내
우리 민족과 서울의 상징인 남산은 옛 이름을 목멱산이라고 하였으며, 도성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어 남산으로 불리어 왔다. 남산은 그 자연의 경치가 아름다워 선인들이 골짜기마다 정자를 짓고 자연의 순리에 시.화로 화답하는 풍류생활을 하던 곳으로 각종 놀이와 여가생활을 휘하여 수려한 경관을 찾는 선남선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었다. 이 곳 남산골 전통정원 내에는 그간 훼손되었던 지형을 원형대로 복원하여 남산의 자연식생인 전통 수종을 심었으며, 계곡을 만들어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였고 또한 정자.연못 등을 복원하여 전통양식의 정원으로 꾸몄다. 정원의 북동쪽 대지에는 시내에 산재해 있던 서울시 민속자료 한옥 5채를 이전 복원하고 이 한옥에 살았던 사람들의 신분성격에 걸맞는 가구 등을 배치하여 선인들의 삶을 재조명 하였으며, 전통 공예관에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기능보유자들의 작품과 관광 상품을 항시 전시. 판매하고 있다. 정원의 서쪽에는 물이 예스럽게 계곡을 흐르도록 하였고 주변에는 고충의 정자를 지어 선인들이 유유자작했던 남산기슭의 옛 정취를 한껏 느끼도록 하였다. 전통정원 남쪽에는 서울정도 600년을 기념하는 타임캡슐을 1994년 11월 29일 지하 15m 지점에 매설하였다. 보신각종 모형의 타임캡슐 안에는 서울의 도시모습, 시민생활과 사회문화를 대표하는 각종 문물 600점을 수장함으로써 현 시대의 사회상이 400년 이후 2394년 11월 29일 후손에게 공개될 것이다. <출처:남산골 한옥마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