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성곽(산성_읍성)

강화 무태돈대, 교동도 입구 바다를 감시하던 돈대

younghwan 2011. 11. 19. 14:30
반응형


 강화도 해안에 구축한 53돈대 중 교동도와 강화 본섬 사이의 해로를 지키던 무태돈대이다. 돈대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고 방어할 목적으로 접경지역이나 해안에 흙이나 돌로 쌓은 소규모 방어시설로 총포와 화포가 전쟁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병자호란 이후에 나타난 방어시설로 강화도의 돈대는 숙종때 강화유수 윤이제가 승군 등을 동원하여 40여일만에 완공하였다고 한다.

 무태돈대는 인화돈 등과 더불어 인화보 소속으로 삼도수군통어영이 있었던 교동도 남산포의 경기수영 외곽수비를 담당하는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던 돈대이다. 석축으로 쌓은 직사각형의 돈대로 길이가 44m 정도이다. 돈대에는 바다방향으로 포좌4문과 여장이 설치되어 있다. 무태돈대가 위치하고 있는 곳은 교동도와 강화본섬을 오가는 카페리호가 정박하는 창후리 선착장 북쪽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인화돈, 남쪽으로는 망월돈이 있다. 성곽이 많이 훼손되었던 것을 최근에 수리하여 원래 모습과 가깝게 복원하였으며, 다른 돈대와 마찬가지로 돈대에 올라서면 바다와 교동도, 석모도가 한 눈에 들어오는 경치가 빼어난 곳에 자리하고 있다.



무태돈대 내부 전경, 직사각형으로 석축을 쌓고 있으며 긴면이 44m, 짧은 면이 20m로 삼도수군통어영의 외곽을 방어하는 기능이 있어서 그런지 다른 돈대에 비해서 내부가 약간 넓은 편이다.


돈대출입문.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문짝은 달지 않고 사람키 정도 높이의 출입문만 있다.


돈대는 꽤 큰 석재를 다듬어서 석축을 쌓고 있는데 상당히 견고해 보인다.


무태돈대 내부. 보통 20~30명 정도의 소규모 군사가 주둔했던 것으로 보인다.


내부에서 본 돈대 출입문


무태돈대에는 바다방향으로 4문의 포를 장착할 수 있는 포좌를 두고 있다. 포좌에는 임진왜란 이후에 많이 사용한 블랑기포가 주로 설치되었다고 한다.


화포가 설치되었던 포좌 내부


돈대에는 바다방향으로 여장이 설치되어 있다. 여장은 주로 조총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무태돈대에 설치된 여장은 벌린타구평여장이라고 한다.


여장에 설치된 사혈, 주로 가까운 곳에 있는 적을 총으로 공격하기 위한 구멍이다.


무태돈대 남쪽편 석모도와 강화 본섬 사이의 바다. 이 곳은 망월돈대에서 지키는 바다이다.


무태돈대 정면의 교동도와 강화 본섬 사이 바다.


무태돈대 북쪽편 바다. 이 곳은 인화돈대에서 지키는 곳이다.


교동도를 들어가는 카페리호에서 본 무태돈대.


북쪽편에서 본 무태돈대


무태돈대 아래에 있는 창후리 선착장

크게 보기

무태돈대, 강화군 하점면 창후리
조선 숙종 5년(1679)에 강화도 여러 돈대 중 하나로 인화보 소관하에 감시소와 방어진지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삼도수영의 외곽 수비 돈대로서 기능을 가진 이 돈대의 규모는 해안쪽으로 긴 면이 44m, 짧은 면이 20m인 장방형이다. 돈대 안에는 원래 대포를 올려놓는 포좌 4문을 해안을 향해 설치하였다고 하나 지금은 성곽이 많이 훼손된 상태이다. <출처:강화군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