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근대_현대 건축

장충동 남산자유센터, 건축가 김수근의 초기 대표 작품

younghwan 2013. 5. 13. 16:32
반응형


 남산 동쪽편 서울 성곽 안쪽에 장충동 언덕에 위치해 있는 자유센터는 해방 이후 한국 건축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이다. 현대 한국건축을 대표하는 건축가 김수근의 초기 작품으로 노출콘크리이트 기법과 목조건축물의 특징을 조화시킨 웅장한 건축물이다. 1950년대 일본에서 공부한 후 귀국하여 첫작품으로 워커힐 호텔 힐탑바(현 피자힐)을 지은 이후 당시 대표적인 관변단체인 반공연맹을 위해 지은 대형건축물로 자유센터라 불린다. 이곳에서는 대형 컨벤션센터라 할 수 있는 자유센터 본관과 고위층들의 사교클럽인 서울클럽, 외국인들을 위한 호텔인 타워호텔이 세워졌는데 김수근이 설계한 작품들로 60년대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은 주로 결혼식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컨벤션센터 개념의 자유센터는 웅장한 기둥과 곡면을 강조한 처마, 내부의 복잡한 기둥들로 장식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실무적인 공간이라기보다는 건축적인 미(美)를 추구한 작품의 성격이 강한 건축물이다.

 노출콘크리트 기법은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특징을 드러내는 건축기법이다. 김수근의 초기작품인 워커힐호탤 피자힐(구 힐탑바)에서 시작하여 세운상가, 옛 한국일보사옥, 옛 부여박물관에서 잠실 올림픽주경기장에 이르기까지 그의 작품에서 일관성 있게 볼 수 있는 작품형태로 콘크리트기둥으로 목조기둥과 기와를 연상시키는 구조의 건축물이다. 옛 부여박물관 건축에서 마치 신사를 연상시킨다고 하여 친일논쟁이 있기도 했는데, 그가 일본에서 공부를 했으며 이런 형태의 건물 자체가 한옥에 비해 날엽하면서 경사가 있게 지어졌기때문에 일본의 대표적인 목조건축물인 신사를 연상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건축가 김수근의 초창기 대표작품인 남산 자유센터. 노출콘크리트 기법으로 목조건축물 형태를 구현한 초기 작품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목재로 만든 계단을 연상시키는 중앙출입 계단.


건물 전면부에는 목조건축물의 1칸에 해당하는 회랑형식의 통로를 만들어 놓고 있다.


회랑의 기둥은 둥근대리석 원기둥을 하고 있는 석조건축물이나 일반적인 목조건물과는 달리 날렵한 콘크리트 기둥을 사용하고 있다.


목조건축물의 처마와는 달리 빗물이 뒷쪽으로 흐르도록 차양막같은 느낌의 구조를 하고 있다.


중앙 통로에서 본 회랑형식의 통로. 본건 창쪽에 베란다형식으로 만든 콘크리이트 가림막이 있고, 벽면에도 작은 목조기둥을 연상시키는 장식을 많이 두고 있다.


건물 중앙로비로 올라오는 계단. 최근의 건물과는 달리 유리벽과 출입입을 별도로 두지 않고 개방된 느낌을 주고 있다.


센터 중앙 로비. 남쪽 출입문까지 개방된 형태의 통로를 유지하고 있다. 로비 양쪽에 설치된 계단을 통해 건물내부로 출입하게 되어 있다.


목조건축물의 서까래가 노출된 연등천정을 연상시키는 콘크리트로 만든 천정


중앙 로비를 중심으로 각방으로 연결되는 통로가 있고, 로비 중앙에도 큰 기둥이 세워져 있다.


지금은 대부분 예식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유센터 내 큰 홀.


앞쪽과 마찬가지로 뒷쪽도 큰 기둥이 한칸 앞쪽에 세워져 회랑의 형식을 하고 있다. 앞쪽꽈는 달리 처마에 곡면의 차양막같은 시설은 두지 않고 있다.


건물 뒷쪽 출입문. 지붕 아래 차양막같은 콘크리트 장식이 중앙 출입문에도 설치되어 있다.


원래 유리창이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정문 왼쪽편에는 회랑형식을 하지 않고 건물로 사용하고 있다.


주차장 북쪽편 서울클럽 앞에서 본 자유센터 전면부


건물 뒷쪽에서 본 자유센터


자유센터 들어오는 길


주차장 뒷편 언덕에 있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건물


자동차극장으로도 사용하고 있는 자유센터 주차장


예식장 식당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유센터 뒷편 건물


자유센터 뒷편에 세워진 서울클럽. 붉은 벽돌로 쌓은 폐쇄적인 형태의 건축물로 김수근이 설계하였다고 한다. 경동교회, 마산양덕동교회, 불광동성당 등에서 볼 수 있는 김수근의 후기 작품경향을 볼 수 있는 건물이다.


서울클럽 현관 출입문


자유센터입구에 중부수도사업소

* 참조: 1. 김수근,위키백과
          2. 김수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 현대 문화예술사를 새로 쓴 건축가 김수근, 네이버캐스트, 이주연, 2012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