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조선 관아

[고창읍성(高敞邑城)] 객사, 동헌 등 읍성내 관청들

younghwan 2010. 9. 21. 00:33
반응형

 고창읍성은 지역민이 거주하던 장소는 아니고 산성의 형태와 비슷한데 지방관청 들이 모여 있는 곳이라 생각되는 곳이다.  남강변에 자리잡은 진주성이 고창읍성과 비슷한 형태이다. 읍성내 제일 높은 곳에는 중앙정부를 상징하는 객사가 있고 그 아래로 동헌, 작청 등이 있다. 읍성의 가운데에는 연못과 누각이 있어 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성문 입구에는 감옥이 있고 서쪽편으로는 지방토호들이 모여서 수령을 보좌하고 논의할 수 있는 향청이 자리잡고 있다. 대부분은 복원된 건물처럼 보입니다만 지방관청의 배치와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고창읍성 내부 전경.

조선시대 관청에서 제일 중요한 건물인 객사. 임금의 전패와 궐패를 안치하고 문안을 드리는 주사(主舍)와 온돌방을 두어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의 숙소로 사용한 익사(翼舍)로 구분된다고 한다.

지방수령이 머물던 동헌과 내아입니다. 동헌은 집무를 보는 곳이고 내아는 수령과 가족이 머무는 숙소입니다. 동헌 앞으로는 장청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방하급관리들이 근무던 작청

동쪽편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관청이라는 건물입니다. 용도는(?)

북문을 들어서면 입구 서쪽편에는 지방 토호들의 모여서 수령을 보좌하는 향청이 있다.

성문을 들어서면 제일 먼저 볼 수 있는 관청 건물인 옥(獄).

읍성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누각입니다. 연회를 베풀거나 전시에 지휘부 역할을 하는 장소로 생각됩니다.



지방의 관아는 왕권을 상징하는 객사(客舍), 중앙에서 파견된 수령의 집무처인 동헌(東軒), 지방민을 대표하여 수령을 보좌하는 향청(鄕廳), 창고와 감옥인 옥사 기타 지방통치에 필요한 건물들이 있다. 객사는 크게 2가지 기능을 갖는데, 하나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와 궁궐을 상징하는 궐패(闕牌)를 안치하여 중앙에서 떨어진 지방에서도 왕의 정책을 충실히 시행하고 있다는 것을 상징하는 기능이다. 다른 하나는 외국의 사신이나 중앙의 관리들을 접대·수행하는 숙소로서의 기능이다. 객사는 읍성 안의 가장 중심지에 자리하며, 임금의 전패와 궐패를 안치하고 문안을 드리는 주사(主舍)와 온돌방을 두어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의 숙소로 사용한 익사(翼舍)로 구분된다. 객사의 모습은 주사를 익사보다 한 단 높은 맞배지붕으로 구성하고 익사는 우진각지붕으로 구성하여 외관을 다르게 꾸민 것과 전체를 하나의 팔작지붕으로 구성하여 내부에 2가지 기능을 모두 갖춘 2가지로 나뉜다. 나라의 중심이 되는 큰 도로 근처에 자리한 지방과 전국각지의 경승지에 있던 객사에는 사신과 중앙 관리들의 접대를 위해 큰 누정을 세웠다. 수령의 집무처인 동헌은 지방관아의 대표적인 건물로 객사 옆에 자리하고, 동헌의 동서쪽에는 향교와 사직단이 자리잡아 한양의 경복궁 주변과 비슷한 배치를 보인다. 동헌은 성격상 집무를 보는 공간인 외아(外衙)와 수령의 가족들이 생활하는 내아(內衙)로 나뉜다. 전체 모습은 조선시대 상류 살림집과 비슷하다.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동헌 안에 연못을 파고 정자를 세운 예가 많고 살림을 하던 내동헌에는 사당을 두었다.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 관아는 일반적인 모습이 있다고는 하나 지금은 과거의 모습을 전혀 알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출처: 브리태니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