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묘와 함께 서울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경복궁의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사직단이다. 일제에 의해 한때는 그 이름이 격하되어 사직공원이라고 불리던 장소이다. 사직은 조선의 정신세계에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유적으로 사직단 성격의 특성으로 인해 문화재라고 할 수 있는 구성요소는 없지만 의미는 아주 중요한 장소이다.
지금도 사직단 내부로는 출입을 할 수 없고 외부에서 담 너머로 봐야 하는 유적지이다. 사직단은 담장으로 둘러쌓여 있고 사방으로 출입문이 있으며 그 중에 동쪽인 경복궁 방향으로 난 출입문이 삼도로 사직단과 연결되어 있어 정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묘와 함께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조선을 세운 태조가 한양에 수도을 정하고, 궁궐과 종묘를 지을 때 함께 만들었다. 토지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사단은 동쪽에,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직단은 서쪽에 배치하였으며, 신좌는 각각 북쪽에 모셨다. 제사는 2월과 8월 그리고 동지와 섣달 그믐에 지냈다.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나 가뭄에 비를 기원하는 기우제 그리고 풍년을 비는 기곡제들을 이 곳에서 지냈다. 1902년 사직단과 사직단의 임무를 맡는 사직서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고, 일본인들은 우리나라의 사직을 끊고 우리 민족을 업신여기기 위하여 사직단의 격을 낮추고 공원으로 삼았다. 1940년 정식으로 공원이 된 사직공원이 옛 사직단의 자리이다. <출처: 문화재청>
반응형
'궁궐_종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잠단지, 누에신(잠신)에 제사를 지내던 곳 (0) | 2010.09.03 |
---|---|
[서울 사직단(社稷壇)]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 제를 올리는 제단 (0) | 2010.09.03 |
[서울 사직단] 정문(社稷壇 正門, 보물 177호)과 사직서 터 (0) | 2010.09.03 |
[서울 종묘(宗廟)] 정전(正殿), 역대 국왕의 신주를 모신 건물 (0) | 2010.09.03 |
[서울 종묘(宗廟)] 정전(正殿) 앞 마당(하월대), 출입문 外 (0) | 201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