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전흥법사 염거화상탑(국보104호),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리탑

younghwan 2012. 4. 29. 22:58
반응형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된 국보 104호로 지정된 통일신라시대 고성 염거화상의 승탑이다. 이 승탑은 팔각집 모양을 하고 있으며 기단부에는 안상과 연꽃무늬를 새겨서 장식하고 있으며, 기와지붕을 얹은 모양을 하고 있는 팔각집모양의 탑신에는 사천왕상과 문을 번갈아 가면서 새겨놓고 있다. 이 승탑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승탑으로 후대에 만들어진 많은 승탑들이 이 탑의 형식을 따르고 있는데, 이 탑이 발견되었다고 전해지는 남한강변 절터에 뛰어난 승탑들이 많이 남아 있다.

 염거화상(?~844)은 선종 산문 중 하나인 가지산문의 2대선사로 도의선사의 제자이다. 주로 설악산에 머물면서 선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다고 한다. 이 승탑은 원주 흥법사 절터에 있었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른 없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 서울로 옮겨진 뒤 탑골공원 등 여러곳으로 옮겨다니다가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고 한다. 이 탑에서 탑의 내력을 알려주는 금동탑지지가 발견되어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에 이탑을 세웠음이 알려지게 되었다.



흥법사터에서 옮겨왔다고 전해지는 염거화상 사리탑. 조형미가 뛰어나 보이지는 않지만, 탑신이난 기단에 새겨진 조각상이 인상적이다.


염거화상 사리탑 기단. 연꽃무늬를 새겨 놓고 있다.


기단부 안상안에 새겨진 부조상


탑신 기단부에 새겨놓은 연꽃무늬


탑신 괴임돌 안상에 새겨 놓은 부조상


팔각으로 이루어진 탑신 몸돌에는 사천왕상와 문을 번갈아 가면서 새겨놓고 있다.


몸돌에 사실적으로 새겨 놓고 있는 사천왕상


염거화상 사리탑 지붕돌. 목조건축물 기와지붕을 재현해 놓고 있다.



전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이 탑을 옮기는 과정에서 발견된 동판에 새겨진 염거화상탑의 기록.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에 염거화상을 위해서 세워졌음을 기록하고 있다.


2009년 염거화상탑


원주 흥법사지는 원주시 문막읍에 여주방향으로 연결되는 교통로 중의 하나인 88번 지방도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절터이다. 이 도로는 여주 고달사지로 연결되는데, 고려초 번성했던 남한강 주변 교통로에 있었던 큰 사찰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횡성에서 발원해 원주를 지나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섬강이 내려다 보이는 경치가 빼어난 곳에 자리잡고 있다.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의 사리탑이다. 염거화상(?∼844)은 도의선사의 제자로, 선(禪)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던 당시 주로 설악산 억성사에 머물며 선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다. 체징에게 그 맥을 전하여 터전을 마련한 뒤 문성왕 6년(844)에 입적하였다. 이 탑은 원래 강원도 흥법사터에 서 있었다 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탑이름 앞에 ‘전(傳:∼라 전하다)’자를 붙이게 되었고, 원래 위치에서 서울로 옮겨진 후에도 탑골공원 등 여러 곳에 옮겨졌다가 경복궁에 세워졌으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탑은 아래위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기단(基壇)은 밑돌·가운데돌·윗돌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마다 소박한 조각이 멋스럽게 펼쳐져 있다. 밑돌에는 사자를 도드라지게 새겼고, 가운데돌에는 움푹 새긴 안상(眼象)안에 향로를 새겨 두었다. 2단으로 마련된 윗돌은 아래단에는 연꽃을 두 줄로 돌려 우아함을 살리고 윗단에는 둥그스름한 안상(眼象) 안에 여러 조각을 두어 장식하였다. 사리를 모셔둔 탑신(塔身)의 몸돌은 면마다 문짝모양, 4천왕상(四天王像)을 번갈아 가며 배치하였는데, 입체감을 잘 살려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당시의 목조건축양식을 특히 잘 따르고 있어서 경사면에 깊게 패인 기왓골, 기와의 끝마다 새겨진 막새기와모양, 밑면의 서까래표현 등은 거의 실제 건물의 기와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탑을 옮기기 전까지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 탑을 옮겨 세울 때 그 안에서 금동탑지(金銅塔誌)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에 이 탑을 세웠음을 알게 되었다. 사리탑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단아한 기품과 깨끗한 솜씨가 잘 어우러져 있다. 이후 대부분의 사리탑이 이 양식을 따르고 있어 그 최초의 의의를 지니는 작품이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