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주 객사 서쪽편 동헌이 있던 곳 안쪽에는 나주목사 내아인 금학헌이 자리잡고 있다. ㄷ자형 집으로 19세기에 지어진 건물로 추정되며, 일제 강점기 이후에도 나주군수 사택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지금은 숙박과 교육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건물로 원형이 많이 바뀌었다고는 하지만, 내부에 사람이 지속적으로 거주해 온 관청 건물이다.
조선시대 나주목에 파견된 지방관리인 목사(牧使)의 살림집으로, 건물의 이름은 ‘금학헌’이었다. 목사가 업무를 처리하던 동헌의 정문이었던 정수루에서 서쪽으로 약 65m 떨어진 곳에 있다. 언제 지었는지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고, 다만 대문 옆에 있는 문간채를 고종 29년(1892)에 만든 것으로 보아 살림집 역시 19세기에 지은 건물로 여긴다. 앞쪽에 퇴칸을 둔 ㄷ자형 집으로 앞면 3칸 규모이며, 현재 본채와 문간채만 남아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일제시대 이후 군수의 살림집으로 사용하면서, 원래 모습을 많이 잃어버린 상태이다. 나주목사 내아는 궐패(闕牌)와 전패(殿牌)를 모셔놓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절을 올리던 객사와 아문루가 함께 오늘날까지 남아 있어, 관아건축의 원래 모습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
'조선 관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 해미읍성] 호서좌영 동헌, 해미 현감겸영장이 근무하던 곳 (0) | 2010.09.21 |
---|---|
부평도호부 청사 내아, 초등학교로 변한 전형적인 지방 관아 (0) | 2010.09.21 |
[서산 해미읍성] 내아(內衙), 해미 현감겸영장이 거주하던 관사 (0) | 2010.09.21 |
강릉 임영관지 칠사당 (0) | 2010.09.21 |
[서산 해미읍성] 옥사와 회화나무, 천주교 박해의 현장 (1) | 201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