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여주 고달사지] 석불좌, 거대한 석불이 놓여 있던 자리

younghwan 2009. 12. 27. 14:10
반응형


 여주 고달사지 경내에서 가장  중앙에 놓여 있는 석불좌이다. 통일신라시대까지는 사찰 경내 중앙에는 신앙의 중심이 되는 석탑이나 목탑이 서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곳 고달사지에는 석불좌가 자리잡고 있다. 아마도 거대한 석불이 이 곳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석불좌는 언제 만들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 조각 수법 등으로 미루어 고려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고달사지가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의 가람배치와 약간 다른 면을 잘 보여주고 있는 유물이기도 하다.


고달사지 경내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석불좌. 통일신라시대까지의 가람배치에서는 석불좌가 있는 자리에는 석탑이나 목탑이 자리하고 있던 자리이다.

고달사지 석불좌는 보존상태가 아주 완벽하여 석불좌만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아래 받침돌과 위받침돌에는 연꼿읖을 새겨 놓고 있으며, 규모가 상당히 큰 석불좌임에도 불구하고 가볍고, 날렵한 느낌을 주고 있다.

여러 방향에서 본 고달사지 석불좌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되었으나, 누구에 의해 창건되었는지 확실히 알 수 없다. 이 석불좌는 불상(佛像)은 없어진 채 대좌만 제 자리를 지키고 있는데, 보존상태가 거의 완벽하다. 받침돌은 위·중간·아래의 3단으로, 각기 다른 돌을 다듬어 구성하였는데, 윗면은 불상이 놓여져 있던 곳으로 잘 다듬어져 있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서로 대칭되게 돌려 새겼다. 이 대좌가 사각형으로 거대한 규모이면서도 유연한 느낌을 주는 것은 율동적이면서 팽창감이 느껴지는 연꽃잎의 묘사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꽃잎의 표현 수법은 고달사지부도(국보 제4호) 아래받침돌과 매우 비슷하며, 가운데 꽃잎을 중심으로 좌우로 퍼져나가는 모양으로 배열하는 방법은 고려시대의 양식상 공통된 특징이다. 조각솜씨가 훌륭한 사각형 대좌의 걸작으로, 절터에 있는 고달사지부도가 고려 전기의 일반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대좌도 10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