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대표적인 한옥마을은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에 위치한 북촌마을 조선시대부터 권문세가들이 살았던 마을이다. 조선시대 붕당을 상징하는 동인.서인 중 동인에 속한 사람들이 주로 살았던 곳으로 현재 남아 있는 대표적인 조선시대 주거지이다. 물론 지금 남아 있는 북촌의 한옥들 중에서 조선시대에 지어진 권문세가들이 살던 대저택들은 99칸의 대저택인 윤보선가를 제외하고는 남아 있는 곳이 많지는 않, 대부분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개량한옥들이다. 그렇다고해서 북촌의 한옥들이 한국의 한옥으로서 큰 의미가 없다고 볼 수는 없고, 서울의 도시화에 따른 한옥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는 곳이기도 한다.
계동 현대사옥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북촌 관람의 출발점 역할을 하는 북촌문화센터는 본래 조선 말기 세도가의 집인 '민재무관댁' 한옥에 들어선 한옥을 서울시에서 매입하여 재단장한 것이라고 한다. 북촌문화센터는 본래 조선 말기 세도가의 집인 '민재무관댁' 한옥에 들어섰다. 민재무관댁은 창덕궁 후원의 연경당을 본떠 지었다. 민재무관댁은 탁지부의 재무관을 지낸 민형기의 집으로 창덕궁 후원의 연경당을 본떠 대궐목수를 지낸사람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집 며느리였던 이규숙 씨가 반가 음식에 대해 구술한 책으로 인해 계동마님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저택은 한옥이기는 하지만 조선시대에 지어진 것은 아니고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서울 계동 현대사옥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북촌문화센터 입구. 대문과 행랑채로 구성된 출입문을 보면 서울에 소재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문간채가 작아 보인다.
대문을 들어서면 이 집 마당과 안채로 들어가는 출입문을 볼 수 있는데, 마당은 그리 넓지 않아 보인다.
문칸채는 대문 양쪽으로 1칸씩이 있다.
문간채 창문.
대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사랑채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으로 창덕궁 후원 연경당을 본떠서 안채와 사랑채가 한 건물로 되어 있고, 중간에 출입문과 담으로 분리하고 있다.
이 집은 전체적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붙어 있는 'ㄷ'자형 건물과 뒷편에 별당과 또다른 'ㄱ'자형 안채 건물이 있다. 사랑채는 2칸 정도이며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사랑채와 안채사이는 마루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경계에는 출입문을 두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를 구분해주는 담과 출입문
안채 앞 마당.
안채 건물
안채와 사랑채를 연결해 주는 마루
안채 뒷편 마당과 별당 건물로 돌아가는 길
안채 서쪽편에는 작은 정자를 두고 있다.
건물 뒷쪽편 모습. 벽보다는 문을 많이 달아두고 있는 점이 이집의 특징 중 하나이다.
담에 화강석과 붉은 벽돌을 사용한 것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서울의 한옥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안채 뒷편에는 'ㄱ'자형으로 지어진 별당 건물이 있는데, 안채로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
장독대가 건물앞에 놓여 있는데, 실제 사람이 사는 집에서는 이런 모습을 잘 보기는 힘든 경우인 것 같다.
별당이라고 이릅이 붙여져 있기는 하지면, 일반적인 한옥의 별당과는 거리가 있는 듯 하다.
옛날 음식을 말리든 채
북촌문화센터 전경
북촌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에 위치한 북촌은 서울 600년 역사와 함께 해 온 서울의 대표적인 전통 주거지역이다. 청계천과 종로의 윗동네라는 이름에서 북촌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어진 이곳은, 이름도 정겨운 가회동과 송현동, 안국동 그리고 삼청동이 있다. 사간동, 계동과 소격동 그리고 재동에는 역사의 흔적이 동네이름으로 남아 수백년을 지켜온 곳이기도 하다. 조선 말기에 이르러 사회, 경제상의 이유로 대규모의 토지가 소규모의 택지로 분할되었으며, 지금 볼 수 있는 어깨를 맞댄 한옥은 1920년대를 전후하여 개량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한옥형식의 변화는 도심으로 밀려드는 인구들로 인해 고밀도화 되어가는 사회상을 반영한 것이었다. 조선시대로부터 근대까지 이어지는 유적과 문화재들은 이 지역을 찾는 이들에게 이 지역의 역사를 이야기해주고 있다. 한편 조선 말기 세도가였던 '민재무관댁' 부지에 세워진 북촌문화센터는 '계동마님집'으로도 잘 알려진 곳으로서 서울시가 매입하여 외관 개보수를 마치고 2002년 10월 29일 개관하였다. <출처:서울시청>
'고택_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산골 한옥마을, 관훈동 민씨가옥 안채 (0) | 2011.04.06 |
---|---|
남산골 한옥마을,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 가옥 (4) | 2011.04.04 |
홍성 엄찬 고택, 성삼문선생이 태어난 마을에 남아 있는 후손들의 집 (4) | 2010.12.25 |
홍성 전용일 가옥, 99칸 대저택의 영화가 남아 있는 19세기 양반가옥 (0) | 2010.12.24 |
홍성 김우열 가옥, 19세기 후반에 세워진 양반 가옥 (0) | 201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