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근대_현대 건축

부산근대역사관, 일제강점기 동양척식회사 건물이자 부산 미문화원으로 사용되었던 곳

younghwan 2014. 3. 25. 17:08
반응형


  부산근대역사관은 일제의 대표적인 경제적 수탈기관이었던 동양척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 지어진 건물이다. 철근콘크리트로 지어진 이 건물은 근대건축이 도입되던 시기에 지어진 건축물 중 부산에서 남아 있는 많지 않은 건물 중 하나이다.  해방 이후 한반도에 진주한 미군의 숙소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1949년부터 1999년까지 부산미문화원으로 사용되었다. 1980년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의 현장이기도 하다.

 용두산 공원 뒷편은 조선시대 초량왜관이 있었던 곳으로 구한말 부산항이 개항된 이래 일본인 거주지가 형성되었던 곳이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은행 부산지점을 비롯하여 동양척식회사(현 부산근대역사관), 식산은행 부산지점 등 각종 금융기관과 최초의 공설시장인 부평정시장(현 부평시장)이 들어섰던 지역으로 부산항의 경제적 중심지였던 곳이다. 이곳에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건축물로 지금은 부산근대역사관으로 이용되고 있는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과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성당, 부산지방기상청 등이 근대건축물이 남아 있고, 60년대 새로운 건축양식을 적용해 설계한 건축물인 구)한국은행부산지점 건물도 볼 수 있다. 또한 주변에는 부평시장, 광복동 거리, 용두산공원, 보수동 책방거리, 국제시장, 자갈치시장 등 근대도시 부산을 대표하는 명소들이 모여 있다.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부산 중구 대청동 2가
1920년대에 건립된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서 서구양식이 도입되는 당시 건축의 경향을 알 수 있는 몇 남지 않은 건물로서, 일제의 대표적인 경제수탈기구인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 부산에 진주한 미군 숙소로 이용되다가 1949년 미문화원으로 개원한 후 1999년 반환될 때까지 외세지배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한국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건축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자료이다. <출처: 부산시청>


부산 용두산 공원 뒷편 대청로에 위치한 부산근대역사관이다.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경제적 수탈을 위해 세운 동양척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한 건물이다. 이 건물은 해방이후 미군숙소, 부산 미문화원으로 사용되었으며, 1980년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이 일어난 장소이기도 하다. 1920년대에 건립된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서 서구양식이 도입되는 시기의 건축양식을 볼 수 있는 건물이다.


1층 창문. 장식적인 요소를 주고 있다.


현관으로 들어가는 정문. 일반적인 건물에 비해서 작은 편이다.


정문을 들어서면 넓은 로비가 나타난다.


로비 양쪽으로 복도가 있고, 복도 양쪽에 방들이 배치되어 있다.


계단


건물 장식


측면으로 들어가는 출입문


앞쪽과는 달이 옆쪽에서 보면 3층 건물임을 알 수 있다.

부산근대역사관
일제강점기인 1929년 건립된 이 건물은 최초에는 식민지 수탈기구인 동양척식회사 부산지점으로, 해방후인 1949년부터는 미국 해외공보처 부산문화원으로 사용되었다. 1982년 불평등한 한미관계의 개선을 요구하는 일부 대학생들이 미문화원 방화사건을 일으켰다. 이후 부산시민들의 끊임없는 반환요구로 미문화원이 이전되었고, 마침내 1999년 이 건물은 대한민국 정부로 반환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6월 부산시가 인수하였다. 부산시는 침략의 상징이었던 이 건물을 시민들에게 우리의 아픈 역사를 알릴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근대역사관으로 조성하였다. 전시내용은 외세의 침략과 수탈로 형성된 부산의 근현대역사를 중심으로 개항기 부산, 일제의 부산수탈, 근대도시 부산, 동양척식주식회사, 한미관계 등으로 구성하였다. <출처: 부산역사박물관>


건물 2층에는 부산의 근현대사를 보여주는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부산근대역사관 전시장


대전지점 모형. 대전지점은 1923년 설치되었다. 대전지점은 인근의 이리지점에 비해 농업적인 기반이 적었기때문에 농장관리보다 금융기능에 더 큰 목적을 두고 설립되었다.


부산지점 모형, 부산지점은 1908년 마산출장소로 출범해 1920년 마산지점으로 승격되었다. 이 지점은 1921년 부산으로 이전하였다.


경성지점 모형, 경성지점은 1908년 동양척식주식회사 설립 때 회사의 본점으로 개설되었다. 회사의 경영지역을 확대할 목적으로 일본 도쿄로 본점을 옮기면서 지점으로 되었다.


목포지점 모형, 목포지점은 1909년 영산포출장소를 설치했다가 1920년 영산포지점으로 승격되었다. 그후 곧 목포로 지점을 옮겼다.


동양척식회사 부산지점을 비롯하여 각종 금융기관, 공공기관이 들어서 있던 거리를 재현해 놓고 있다.


1층 로비 자료실


일제강점기 상가건물


옛 동양척식회사 건물 동쪽편에는 구)한국은행 부산본부 건물을 볼 수 있다. 구)한국은행 부산본부는 1909년 대한제국이 설립한 국책은행인 한국은행 부산지점이 있던 건물이다. 일제강점기에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물을 지었으나, 1963년 옛 건물을 철거하고 현재의 건물을 신축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두번의 화폐개혁이 이곳에서 시행되었다. 1963년에 신축한 현 건물은 건축가 이천승이 설계한 것으로 금융건축의 전형적 평면형식을 갖고 있으며, 당시로는 선진적인 건축기법이 적용된 건축물이다


구) 한국은행 부산본부 마당.


건물 뒷펴으로 보이는 용두산 공원


부산근대역사관이 앞을 지나가는 대청로 이 거리는 옛 경남도청에서 부산항까지 이어지는 큰 도로이며, 근대도시 부산의 중심도로였다. 도로 주변에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은행 부산지점을 비롯하여 동양척식회사(현 부산근대역사관), 식산은행 부산지점 등 각종 금융기관과 최초의 공설시장인 부평정시장(현 부평시장)이 들어섰던 지역으로 부산항의 경제적 중심지였던 곳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