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부소산성 내 유물/유적:
1. 계백, 성충, 홍수 3명의 충신을 모신 사당: 삼충사
2. 3천궁녀가 떨어진 낙화암, 백마강 그리고 고란사
백마강 남쪽 부소산을 감싸고 쌓은 산성으로 사비시대의 도성(都城)이다.『삼국사기』「백제본기」에는 사비성·소부리성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성이 위치한 산의 이름을 따서 부소산성이라 부른다. 웅진(지금의 공주)에서 사비(지금의 부여)로 수도를 옮기던 시기인 백제 성왕 16년(538)에 왕궁을 수호하기 위하여 쌓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성왕 22년(500)경에 이미 산 정상을 둘러쌓은 테뫼식 산성이 있던 것을 무왕 6년(605)경에 지금의 모습으로 완성한 것으로 짐작되어 백제 성곽 발달사를 보여주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성곽의 형식은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빙 둘러싼 테뫼식과 다시 그 주위를 감싸게 쌓은 포곡식이 혼합된 복합식 산성이다. 동·서·남문터가 남아 있으며, 북문터에는 금강으로 향하는 낮은 곳에 물을 빼는 수구가 있던 것으로 보인다. 성 안에는 군창터 및 백제 때 건물터와 영일루·사자루·고란사·낙화암 등이 남아있다. 성 안에 군창터와 건물터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유사시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고, 평상시에는 백마강과 부소산의 아름다운 경관을 이용하여 왕과 귀족들이 즐기던 곳으로 쓰인 듯하다. 이 산성은 사비시대의 중심 산성으로서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수도를 방어한 곳으로 역사적 의의가 있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
'한국의 성곽 > 산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 성흥산성 (가림성,사적4호), 백제수도 사비성을 지키던 주요 산성 (0) | 2010.09.23 |
---|---|
용인 처인성, 몽고침입때 명장 김윤후가 몽골 장군 살리타이를 사살, 몽고 침입을 물리친 곳 (2) | 2010.09.23 |
나주 자미산성, 고대국가 마한의 중심 (0) | 2010.09.23 |
부여 부소산성 (1) | 2010.09.23 |
[서울 북한산성] 대동문에서 대성문까지 (0) | 2010.09.23 |
[서울 북한산성] 대남문, 청수동 암문 (0) | 2010.09.23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영일루.. 왠지 댄디한 느낌이 마음에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