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전 정전은 조선 왕조를 개국시킨 태조 이성계의 어진이 모셔진 건물입니다. 1410년에 창건된 경기전은 1597년 정유재란 때 소실되고 광해군때인 1614년에 중건했다고 합니다. 정전은 다포계 양식으로 조선 중기의 형식이 반영된 건물로 유교의 법도를 잘 표현하고 있는 건물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경기전 내부에는 임진왜란때 유일하게 살아남은 전주사고를 비롯하여, 전주이씨의 시조를 모신 조경묘, 예종대왕태실등이 있습니다. 경기전의 중요성을 말해주듯이 입구에는 제일 먼저 하마비가 방문객을 맞이해 주고 있으며, 옆으로는 경기전의 권위를 말해주듯 종묘와 비슷한 규모로 많은 부속건물(복원한 건물이지만...)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경기전 정전에서 본 출입문인 외삼문/내삼눈입니다.
사적 제339호의 경기전 정전은 조선 왕조를 개국시킨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봉안한 곳이다. 태조 어진을 모신 곳을 어용전, 태조진전 등으로 명명하던 것을 1442년(세종24년)에 경기전이라고 명명하였다. 1410년에 창건된 경기전은 1597년 정유재란 때 소실되고 1614년에 중건했다. 1872년 태조 어진을 새롭게 모사하여 봉안하면서(태조영정 보물 931호) 경기전의 전반적인 보수가 이루어졌다. 정전은 다포계 양식으로 외3출목, 내3출목이고, 5량 구조의 맞배, 겹처마 지붕이다. 살미의 쇠서가 발달되어 있고 내부에서는 초각 처리되어 안정된 조선 중기의 형식이 반영되어있다. 배례청은 이익공을 가진 익공계 양식으로 겹처마 맞배지붕이며 배례청의 박공면은 정전의 정면 모습이 된다. 정전과 배례청은 화강암 원형 초석 위에 민흘림의 원기둥을 세웠다. 내부의 5.8m나 되는 2개의 고주는 종보를 직접 받고 있으며, 양측면의 기둥도 대들보를 받는 고주로 되어 측부재 구조가 간결하고 견고하게 짜여있다. 포작의 내부 살미 조각과 보아지 및 종도리를 받는 파련 대공의 섬세한 조각과 우물천정 단청 등의 의장이 화려한 편으로 다른 유교 건축과 차별화된 권위성을 볼 수 있다. 구조 부재들의 이음과 맞춤이 정확하며 견고하고 조선 중기의 전통 건축 기법이 잘 전수된 안정된 구조와 부재의 조형 비례는 건축적 품위를 돋보여준다. 조선왕조를 개국한 태조 어진이 봉안된 정전 기능과 품위에 기준한 내신문 내의 신로 및 향로의 엄격한 격식, 그리고 정전과 배례청 평면 조합 및 어방구조 등이 보물로서의 문화재 가치가 인정된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
'궁궐_종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종묘(宗廟)] 정문격인 외대문(外大門)과 입구 주변 (0) | 2010.09.03 |
---|---|
[서울 종묘(宗廟)] 하마비(下馬碑), 어정(御井) (0) | 2010.09.03 |
[전주 경기전(慶基殿)] 정전(正殿), 태조 이성계의 어진(御眞)이 모셔진 건물 (2) | 2010.09.03 |
[전주 경기전(慶基殿)] 조선태조어진(朝鮮太祖御眞), 태조 이성계 초상화 (0) | 2010.09.03 |
[전주 경기전(慶基殿)] 예종대왕 태실(胎室) 및 비(碑), 그 외 부속 건물 (1) | 201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