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충열사는 남해 충렬사와 함께 국왕이 사액을 내린 이충무공을 모신 사당으로서 통영에 소재한 수군통제영의 통제사가 창건하고 유지관리하던 사당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있는 많은 사당 중에서도 유서가 깊고 의미가 있는 사당입니다. 그리고 당시 명나라에서 충무공에 하사한 팔사품으로 보관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 곳에서 임진왜란의 의미를 생각하고 충무공의 업적을 기리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됩니다.
임진왜란 중에 수군통제사로서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충무공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으로 충무공의 활동무대가 한산도를 중심으로 한 통영 근처였기 때문에 남해 충렬사와 함께 이곳에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게 된 것이다. 선조39년(1606)에 왕의 명령에 따라 제7대 이운용 통제사가 창건 하였으며, 현종4년(1663)에는 남해 충렬사와 함께 임금이 내린 충렬사 사액을 받은 사액사당이다. 그 후에는 역대의 수군통제사들이 매년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내왔다. 경내에는 본전, 정문, 중문, 외삼문, 동서재, 경충재, 숭무당, 강한루, 유물전시관이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경내에는 많은 비석들이 보존되어 있는데 이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숙종7년(1681)에 60대 민섬통제사가 세운 통제사충무이공충렬묘비이며 충무공 후손통제사 비각 2동에 6기가 있고, 이운용 통제사 비각, 김중기 통제사 비각, 유형 통제사 비각이 있다. 이곳에는 명나라 신종황제가 내린 8가지의 선물인 명조팔사품(보물440호)과 정조가 충무공전서를 발간하고 1질을 통영충렬사에 내리면서 직접 지어 내린 제문 등이 유물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다. <출처:문화재청>
'서원_향교_사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영 충렬사] 입구, 동백나무, 강한루(江漢樓) (0) | 2010.02.08 |
---|---|
[통영 충렬사 (忠烈祠)] 외삼문, 내삼문, 부속 건물, 충렬묘비 (0) | 2010.02.08 |
[아산 현충사] 구본전, 옛날 현충사 사당 (0) | 2010.02.08 |
[아산 현충사] 충의문, 홍살문 (0) | 2010.02.08 |
[아산 현충사] 정려(旌閭), 연못 (0) | 2010.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