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검몸의 형태가 비파(琵琶)처럼 생겼다고 하여, 비파형동검이라고도 부르며, 요령(遼寧)지방에서 주로 출토되었다고 하여 요령식동검이라고 부른다. 검자루를 따로 만들어 검몸(檢身)에 끼울 수 있도록 짧은 슴베(莖部)가 달려 있어, 중국식동검이나 북방계의 오르도스식동검과 다른 특징을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요령식동검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변하는 형식적인 특징이 있어, 고조선 청동기문화의 변천과정을 살피는데 기준이 되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주로 돌널무덤과 고인돌에서 출토되고 있다. <출처:경주박물관>
검몸의 폭이 좁아 세형동검(細形銅劍)이라고도 부르며, 청천강 이남의 한반도와 일본 구주지방에서 발견되는 어임[抉入部]이 있는 동검을 특히 한국식동검이라 부른다. 한국식동검은 요령식동검처럼 검자루를 따로 만들며, 검몸 한가운데 등대가 있는 점에서 서로 공통될 뿐만 아니라, 비파형동검에서 한국식동검으로 이행하는 중간형태의 것이 있어 서로 계승관계에 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한국식동검은 주로 돌덧널무덤이나 널무덤에서 청동방울, 동꺽창, 동투겁창 등과 함께 출토되는데, 경주 입실리 유적에서는 닻모양의 청동방울이 함께 출토되어 주목된다. <출처:경주박물관>
동물모양의 띠고리는 윗도리를 저밀 때 쓴 허리띠의 두 끝에 매단, 지금의 버클(buckle)과 같은 것으로 가죽이나 천으로 만들었을 허리띠는 부식되어 버리고 띠고리만 발견되고 있다. 동물모양 띠고리의 동물로는 주로 호랑이나 말인데 예나 지금이나 호랑이는 대단히 두렵고 신령스런 존재이며, 말은 그 강인함으로 하여 사람들이 늘 부러워 한 동물로 숭배되었다. 이러한 동물모양의 띠고리는 북방계 유물로서 당시 소유자의 신분을 상징하며 수장급 무덤에서만 출토되고 있다. <출처:경주박물관>
반응형
'박물관 여행(Museum) > 경북.대구(경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 신라실1 - 금관총 금관을 비롯한 다양한 금세공품 (0) | 2009.06.24 |
---|---|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 신라실1 - 천마총 출토 유물, 금관/금제관모/관식 (0) | 2009.06.24 |
쇠검, 판금 갑옷, 말머리 가리개 -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 원삼국실 (철기시대) (0) | 2009.06.22 |
마제석검, 비파형(요령식)동검, 한국형동검 外 - 국립 경주박물관 고고관 원삼국실(청동기 시대) (0) | 2009.06.22 |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 원삼국실 - 토기들 (0) | 2009.06.22 |
국립 경주박물관 - 성덕대왕신종, 에밀레종의 전설이 내려오는 ... (0) | 2009.01.21 |
댓글을 달아 주세요